28
2020-Jul
DR.DAC3 passthrough 질문작성자: 아리령 조회 수: 321
제품명 : | dr.dAC3 |
---|
⑮ Digital Out (Optical) ※ 3
USB 사운드 카드로 사용시에는 디지털 출력(Optical)이 동작하며 스테레오 PCM 신호뿐만 아니라 AC3(Dolby Digital) / DTS Pass Through 출력이 가능합니다.
※ PassThrough 사용시에는 본체 전원을 끄거나 볼륨 노브를 최소로 하고 사용하시기 바라며, Mac OS X에서는 마스터 볼륨을 100%로 설정하시기 바랍니다.
------------------------------------------------------------------
이렇게 작동이 가능하려면 회로 설계를 할 경우에 usb에서 입력하는 신호가 5.1ch digital 신호인지를 확인해야 하고 그 신호를 광 출력으로 보내는 회로에는, 본체 전원을 끄더라도 이에 필요한 전력을 계속 공급이 되어야 하는 것입니다.
.
---------------------------------------------------------------
usb에서 입력하는 5.1ch digital 신호를 광 출력으로 보내는 회로에 전원이 공급이 되지 않는데도 동 장비를 통해서 5.1ch digital 신호가 광으로 pass 가 될 수는 없는 것입니다.
--------------------------------------------------------------------
그러므로 회로 설계상, 기기 내부의 다른 회로를 전혀 사용할 필요가 없는 passthrough 기능만을 사용하려면 효율적으로 회로를 설계하기 위하여 전원 adapter만 연결이 되어 있으면, 기기 자체내의 메인 전원 sw를 끄더라고, 내부적으로는 전원 adapter의 전기가 최소한의 필요 회로에 전기가 계속 흐른다고 보아야 한다고 보는 것입니다.
---------------------------------------------------------------------
이 주장에 대하여 코멘트를 부탁 드립니다.
이렇게 작동이 가능하려면 회로 설계를 할 경우에 usb에서 입력하는 신호가 5.1ch digital 신호인지를 확인해야 하고 그 신호를 광 출력으로 보내는 회로에는, 본체 전원을 끄더라도 이에 필요한 전력을 계속 공급이 되어야 하는 것입니다.
.
---------------------------------------------------------------
usb에서 입력하는 5.1ch digital 신호를 광 출력으로 보내는 회로에 전원이 공급이 되지 않는데도 동 장비를 통해서 5.1ch digital 신호가 광으로 pass 가 될 수는 없는 것입니다.
--------------------------------------------------------------------
그러므로 회로 설계상, 기기 내부의 다른 회로를 전혀 사용할 필요가 없는 passthrough 기능만을 사용하려면 효율적으로 회로를 설계하기 위하여 전원 adapter만 연결이 되어 있으면, 기기 자체내의 메인 전원 sw를 끄더라고, 내부적으로는 전원 adapter의 전기가 최소한의 필요 회로에 전기가 계속 흐른다고 보아야 한다고 보는 것입니다.
---------------------------------------------------------------------
이 주장에 대하여 코멘트를 부탁 드립니다.
--> 코멘트 드립니다.
내용이 좀 길더라도 처음부터 끝까지 읽어 주시기 바랍니다 ^^
질문주신(주장하신) 내용은 MAYA U5를 예로 든다면 일부 내용에 한해서는 얼추 맞을 수 있겠지만, DR.DAC3는 완전히 틀린 내용(주장)에 해당합니다.
왜냐하면 안타깝게도 질문자 분의 경우 DR.DAC3에서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과정과 디지털 오디오 신호의 전달 매커니즘 등에 대해서는 거의 제대로 알지 못 하고 계시기 때문인데요, 최대한 이해하기 쉽게 설명(팩트체크)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설명(팩트체크)
1. DAC란?
디지털 입력 신호를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는 기기를 DAC라고 합니다.
DAC = Digital to Analog Converter
DR.DAC3는 3개의 디지털 입력을 선택해서 사용할 수 있는 DAC 기기입니다.
3개의 디지털 입력 = USB / Optical / Coaxial
USB 단자 = USB Audio Interface 연결에 사용되는 단자 규격으로 DR.DAC3에는 USB Type B 단자 채용
광 단자 (Optical = TOSLink) -->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광케이블로 전송하는 단자 규격으로 DR.DAC3에는 각형 광 단자 채용
코엑시얼 단자 (Coaxial Connector) -->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동축(코엑시얼) 케이블로 전송하는 단자 규격으로 DR.DAC3에는 RCA 단자 채용
아날로그 오디오와 디지털 오디오의 차이
일반적으로 아날로그라고 하면 인간의 눈으로 볼 수 있고 귀로 들을 수 있는 것을, 그리고 디지털은 0과 1로 구성되는 컴퓨터 언어로 이해하면 쉬운데요
아날로그 오디오란 사람의 귀로 들을 수 있는 소리 신호. 즉 공기가 진동되는 파동(음파)과 스피커나 헤드폰의 무빙코일을 움직여서 소리가 나오게 만드는 아날로그 전기 신호 등이 모두 아날로그 오디오에 해당하고요
디지털 오디오는 소리신호를 디지털로 저장하거나 전송하기 위해 변환시킨(샘플링 된) 형태로, 아날로그 오디오를 디지털로 변환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ADC(Analog to Digital Converter)가 필요합니다
※ USB / Optical / Coaxial로 전송되는 디지털 신호는 사람 귀로 직접 들을 수 없는 디지털 오디오에 해당
즉 0과 1로 구성된 디지털 오디오 신호는 사람의 귀로 들을 수 없으므로 반드시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해야만 사람이 들을 수 있기 때문에 디지털 신호를 입력받아서 아날로그 전기 신호를 출력하는 음향기기인 DAC가 필요한데요, DR.DAC3는 3개의 디지털 입력을 받을 수 있으며, 고성능 헤드폰앰프를 내장한 하이엔드 DAC으로 설계되어 있습니다.
- 핵심 요약 -
DAC = 디지털 오디오를 아날로그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음향기기
DR.DAC3에서 지원하는 3개의 디지털 입력 = USB / Optical / Coaxial
DR.DAC3의 핵심 기능 = 아날로그 출력 = RCA 라인아웃 단자 / 고성능 헤드폰앰프를 내장한 헤드폰출력 단자(6.35폰잭 x 2)
여기까지는 쉽게 이해되셨죠?
그럼 다음은 무척이나 궁금해 하시는 '전원'에 대해 설명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2. 전원
디지털 신호를 입력 받아서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전원공급이 필요한데요
즉 DR.DAC3의 주전원단 회로는 바로 아날로그 회로를 구동하기 위해 존재한다는 뜻입니다 !!
DR.DAC3에서 지원하는 3개의 디지털 입력(USB / Optical / Coaxial)을 고품질의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기 위해서는 양질의 전원단 회로 설계가 무척이나 중요한데요
- DR.DAC3 주전원단 회로의 작동 방식 -
DR.DAC3의 주전원단은 고성능 부품으로 설계된 정류회로와 인버터회로에서 +12V 전원과 -12V 전원을 동시에 생성하여 아날로그 회로와 헤드폰앰프에 공급하게 되는데요
DR.DAC3 구입시 제공되는 어댑터를 DR.DAC3 후면의 DC 잭에 연결하고 전원스위치를 눌러서 켜면 파란색 LED가 두번 깜빡인 후 전원이 들어옵니다.
즉 반드시 스위치를 눌러서 전원을 켜야만 아날로그 회로에 전원이 공급된다는 뜻입니다 !!
전원을 켜지 않는다면?
당연하게도 DR.DAC3의 핵심 기능인 아날로그 출력(RCA 라인아웃 / 고성능 헤드폰앰프를 내장한 헤드폰출력)에서 아무런 소리도 들을 수 없게 됩니다 ^^
아마 여기까지의 내용은 비교적 쉽기 때문에 대부분 이해하셨을 것으로 생각되는데요
다음은 '패스쓰루'란 도대체 무엇을 뜻하는 건지 설명 드립니다.
3. 패스쓰루(Dolby Digital(AC3) / DTS Audio Pass-through)
Dolby Digital(AC3) / DTS Audio는 디지털 오디오 신호의 포맷 종류를
그리고 Pass-through는 디지털 신호의 처리방식을 의미합니다.
패스쓰루는 Dolby Digital 포맷과 DTS Audio 포맷으로 분류되는데요
Dolby Digital(AC3) --> 돌비(Dolby Laboratories)사의 라이센스 중에서 멀티채널 오디오 데이터(PCM)를 Dolby Digital 포맷으로 인코딩하는 압축데이터 형식입니다.
DTS Audio --> Digital Theater System 사의 라이센스. 멀티채널 오디오 데이터(PCM)를 DTS 포맷으로 인코딩한 압축데이터 형식입니다.
※ 멀티채널이 아닌 일반 2채널, 모노채널 등도 얼마든지 해당 포맷으로 인코딩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요즘은 5.1채널 7.1채널 등이 일반화 되어 있지만 멀티채널 개념이 없던 시절에 녹음된 영화의 음성트랙이나 스테레오 개념 조차 없던 시절에 녹음된 영화의 음성트랙 등이 이에 해당됩니다.
패스쓰루 데이터는 어떻게 처리되는가?
패스쓰루 지원 앱에서 처리합니다.
좀 더 정확하게 설명하자면 동영상 재생 앱에 포함된 오디오 코덱/필터 소프트웨어에서 패스쓰루 데이터를 처리합니다.
오디오 코덱/필터 소프트웨어는 동영상 재생 앱에 자체적으로 내장되는 경우도 있고 외부 코덱/필터 프로그램을 별도로 설치하기도 합니다.
패스쓰루 지원 동영상 재생 앱 : 팟플레이어, 넷플릭스 앱
패스쓰루 지원 오디오 코덱/필터 소프트웨어 : AC3Filter
팟플레이어 : 패스쓰루 지원 (내장 오디오 코덱에서 패스쓰루 지원 !!)
기본설정은 Disable. 사용자가 동영상 재생 앱의 환경설정에서 패스쓰루 설정을 켜야만 패스쓰루 사용 가능
- 팟플레이어 패스쓰루 설정 방법 -
https://audiotrack.co.kr/kr/before/231664
넷플릭스 : 패스쓰루 지원
- 윈도우 10 넷플릭스 앱 사용시 패스쓰루 설정 방법 -
https://audiotrack.co.kr/kr/question/226337
팩트체크 !!
질문하신(주장하신) 내용은 완전히 잘 못 알고 계신 부분인데요, DR.DAC3에서 패스쓰루 데이터를 처리하는게 아닙니다 ^^
동영상 재생 앱에 내장된 코덱/필터 소프트웨어에서 패스쓰루 데이터를 처리한다는 것이 팩트입니다.
아직 무슨 소린지 이해가 잘 안 된다면
계속해서 설명 이어갑니다.
USB 오디오 재생시 지원되는 광출력 기능
DR.DAC3 / MAYA U5 / PRODIGY CUBE 모두 해당하는 내용으로
USB 오디오 재생시에는 부가기능으로 광출력이 지원되는데요
광출력 디지털 신호는 PCM과 Non PCM으로 분류됩니다.
PCM = Pulse Code Modulation --> DAC에서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할 수 있는 디지털 오디오 신호입니다.
Non PCM --> AC3(Dolby Digital) / DTS 포맷으로 인코딩된 압축데이터.
Non PCM 데이터를 패스쓰루 하려면? --> 해당 포맷을 지원하는 외부디코더와 패스쓰루 지원 동영상 재생 앱이 반드시 필요합니다.
디코더란? --> 돌비디코더(Dolby Decoder)가 내장된 사운드바, 리시버앰프, 홈시어터 스피커
싸구려 저가형이나 보급형인 경우 돌비디코더만 내장되는 경우가 있으나 가격대가 어느 정도 하는 제품은 대부분 Dolby Decoder와 DTS Decoder를 모두 지원합니다.
물론 디코더가 내장된 사운드바, 리시버앰프, 홈시어터 스피커에는 디코더 뿐만 아니라 DAC 회로도 당연히 들어갑니다.
왜냐하면 사운드바, 리시버앰프, 홈시어터 스피커에 DAC가 없으면 소리를 못 듣기 때문인데요, 싸구려 저가형의 경우 낮은 등급의 DAC가 들어가기 때문에 오디오 품질이 영 안 좋습니다.
그나마 가격대가 어느 정도 하는 제품은 중간 등급 이상의 DAC 회로가 채용되므로 그럭저럭 들을만 한 소리가 나옵니다.
DR.DAC3에 채용된 스펙 정도의 DAC 회로가 채용되는 리시버는 1000만원 이상의 가격대가 형성됩니다.
- 패스쓰루 초간단 요약 -
Non PCM --> AC3(Dolby Digital) / DTS 포맷으로 인코딩된 압축데이터
패스쓰루 지원 동영상 재생 앱에서 Non PCM 데이터를 패스쓰루 --> 광입력 단자가 있는 홈시어터 스피커에서 해당 디코더가 작동 --> 디코딩 과정 후에 5.1채널/ 7.1채널의 리얼 서라운드 사운드가 출력됩니다.
패스쓰루는 어디서 어떻게 처리하는가? --> 동영상 재생 앱의 코덱/필터 소프트웨어에서 처리합니다.
DR.DAC3 USB 오디오 재생시 지원되는 광출력 기능
DR.DAC3 USB 오디오 재생시 지원되는 광출력 기능은 PCM Stereo와 Pass-through(AC3 / DTS)를 모두 지원합니다.
※ PCM Stereo 지원 샘플레이트 스펙 --> 최대 24bit 192kHz 지원 (44.1 / 48 / 88.2 / 96 / 176.4 / 192 kHz)
※ Dolby Digital(AC3) --> Dolby Decoder 패스쓰루 지원 동영상 재생 앱이 있어야만 사용 가능
※ DTS Audio --> DTS Decoder와 패스쓰루 지원 동영상 재생 앱이 있어야만 사용 가능
- 핵심 요약 -
패스쓰루 디지털 출력을 사용하려면 반드시 외부 디코더와 패스쓰루 지원 동영상 재생 앱이 필요합니다.
아날로그 단자는 사용하지 않고 외부 디코더와 광케이블로 연결한 상태에서 패스쓰루 디지털 출력만 사용한다면 스위치를 눌러서 전원을 켤 필요가 없습니다.
USB / Optical / Coaxial 입력을 사용하려면?
USB Audio (Microsoft Windows)
1. USB 케이블을 연결하고 어댑터 전원을 연결합니다. (연결 순서는 상관 없음)
2. 입력 스위치를 아래로 --> USB로 선택합니다.
Optical Input
1. 광 케이블을 연결하고 어댑터 전원을 연결합니다. (연결 순서는 상관 없음)
2. 입력 스위치를 중간으로 --> Optical로 선택합니다.
Coaxial Input
1. 코엑시얼 케이블을 연결하고 어댑터 전원을 연결합니다. (연결 순서는 상관 없음)
2. 입력 스위치를 위로 --> Coaxial로 선택합니다.
아날로그 출력을 사용하려면?
DR.DAC3의 핵심 기능인 아날로그 출력을 사용하려면 RCA 라인아웃 단자에 앰프(파워앰프/인티앰프) 또는 액티브스피커를 연결하거나 헤드폰 단자에 헤드폰을 연결한 상태에서 USB / Optical / Coaxial 중에서 어떤 방식의 입력을 사용할지 선택합니다.
USB Audio
1. DR.DAC3 스위치를 눌러서 전원을 켜면 아날로그 회로에 전원이 인가됩니다 (Power LED가 두번 깜박인 후 켜짐)
2. Microsoft Windows 운영체제가 설치된 PC의 USB에 연결하고 드라이버 설치 후 사용 가능
DR.DAC3 USB Audio Driver 다운로드 (윈도우 10 / 윈도우 7 / 8 / 8.1)
https://drive.google.com/open?id=0B95cS0SH9FivTzBtODZDUzdpMVE
Optical Input
1. DR.DAC3 스위치를 눌러서 전원을 켜면 아날로그 회로에 전원이 인가됩니다 (Power LED가 두번 깜박인 후 켜짐)
2. 광출력 기기의 광출력 단자에서 나오는 디지털 오디오 신호가 PCM인 경우 DAC 입력으로 사용 가능
※ DAC는 돌비디코더가 아닙니다 !!
※ TV 광출력, 셋탑박스 광출력, XBox One 시리즈 광출력, PS4 / PS4 Pro 광출력 등은 모두 Dolby Digital이므로 DAC 입력 불가 !!
※ TV, 셋탑박스, XBox One, PS4/PS4 Pro 설정에서 오디오 출력 모드를 PCM 또는 Linear PCM으로 설정을 변경하면 DAC 입력으로 사용 가능
Coaxial Input
1. DR.DAC3 스위치를 눌러서 전원을 켜면 아날로그 회로에 전원이 인가됩니다 (Power LED가 두번 깜박인 후 켜짐)
2. 코엑시얼 디지털 출력 기기에서 나오는 디지털 오디오 신호가 PCM이면 DAC 입력으로 사용 가능
아날로그 출력 선택 스위치 설정 방법
라인아웃 사용시에는 스위치를 아래로 내리고, 헤드폰 사용시에는 스위치를 위로 올리면 해당 단자에서 고품질의 아날로그 신호가 출력됩니다.
정리하면,
DR.DAC3의 스위치를 눌러서 전원을 켜면 아날로그 회로 구동을 위한 주전원단 회로가 활성화 되고, 고성능 헤드폰앰프를 포함한 전체 아날로그 회로에 전원이 인가되어 동작하는 방식입니다.
DR.DAC3의 주전원단은 고성능 부품으로 설계된 정류회로와 인버터회로에서 고품질의 +12V 전원과 -12V 전원을 동시에 생성하여 아날로그 회로와 헤드폰앰프에 공급하게 되는데요, DR.DAC3의 아날로그 회로는 Full Differential Output 방식으로 설계되는 FDO Triple OPAMP와 Line Out Buffer로 구성된 총 4개의 고성능 OPAMP와 하이엔드 오디오 전용의 WIMA Metal PET Capacitor 필터부품이 채용되며 고성능 헤드폰 드라이버 회로에는 Ti 사의 TPA6120A2 Headphone Amplifier 부품으로 설계되어 있으며, 헤드폰앰프를 포함한 전체 아날로그 회로에 고품질의 전원을 인가하기 위해 리니어 방식의 어댑터 전원을 채용하고 있습니다.
즉 질문주신(주장하신) 패스쓰루 디지털 출력은 아날로그 회로을 위해 설계된 주전원 회로와 전혀 관계가 없습니다.
USB 오디오 재생시 지원되는 부가적인 기능에 불과한 광출력 기능 사용시 지원되는 PCM Stereo / Dolby Digital & DTS Audio Pass-through 디지털출력은 아날로그 회로을 위해 설계된 주전원 회로와 전혀 관계가 없으므로 스위치를 눌러서 켜든 끄든 상관없이 USB 오디오 재생시에는 광출력 단자에서 디지털 신호가 항상 나옵니다.
고품질의 아날로그 출력은 전혀 필요 없고 단순히 광출력시 패스쓰루 기능만 필요하다면 MAYA U5를 구입하도록 하세요.
광출력시 96kHz 스펙이 필요하다면 PRODIGY CUBE를 구입하면 되고요
만일 광출력시 192kHz 스펙이 절실하게 필요하다면 DR.DAC3를 구입하시면 됩니다.
매번 똑같은 내용의 질문을 계속해서 반복하고 계시는 이유는 바로 '전원'과 '아날로그 회로' 그리고 '디지털 오디오'에 대해 잘 못 알고 계시기 때문인데요, DR.DAC3에 채용되는 대부분의 고성능 부품과 회로설계는 모두 고품질의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것이며, USB 오디오 재생시 지원되는 부가기능에 불과할 뿐인 광출력 사용시 지원되는 PCM Stereo / Dolby Digital & DTS Audio Pass-through 디지털출력은 DR.DAC3 전체에서 극히 미미한 일부분이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DR.DAC3 기능 요약 -
DR.DAC3의 디지털 입력은 USB, Optical, Coaxial을 지원합니다.
1. DR.DAC3 USB : 44.1 / 48 / 88.2 / 96 / 176.4 / 192 kHz
2. Optical Input : 44.1 / 48 / 88.2 / 96 / 176.4 / 192 kHz
3. Coaxial Input : 44.1 / 48 / 88.2 / 96 / 176.4 / 192 kHz
DR.DAC3 USB Audio 기능은 최대 192kHz의 재생 스펙과 최대 96kHz의 녹음 스펙을 갖추고 있습니다.
● 재생 장치(USB Audio) : PCM 재생 스펙 최대 24bit 192kHz, Dolby Digital(AC3) / DTS Audio 패스쓰루 지원
● 녹음 장치(USB Audio & Optical Input) : 최대 24bit 96kHz, USB 오디오 재생 및 광입력 녹음 지원, PCM Stereo 대응
※ DAC는 디코더(Dolby Decoder)가 아니므로 광 입력, 코엑시얼 입력은 'PCM Stereo'에 대응합니다. 즉, Dolby Digital / DTS 포맷은 DAC 입력에 사용불가이니 참고하세요.
CD Player 광출력 : CD Player의 광출력은 16bit 44.1kHz PCM Stereo 신호이므로 DR.DAC3 광입력에 연결하여 고음질의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재생할 수 있고, 추가로 광입력 무손실 녹음기능을 활용하면 CD의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손실 없이 PC에서 녹음할 수도 있습니다.
TV 광출력 및 셋탑박스 광출력, PS4 / PS4 Pro 광출력 / XBox One 시리즈 광출력 등의 경우 기본값은 Dolby Digital 이므로 DAC에서 사용하려면 반드시 TV 환경설정에서 오디오 포맷을 PCM 또는 Linear PCM으로 설정하면 됩니다.
블루레이 플레이어 광출력 : 기본값은 Dolby Digital 또는 DTS Audio입니다. 따라서 블루레이 플레이어의 광출력을 DAC 광입력에 사용하려면 반드시 블루레이 플레이어 환경설정에서 오디오 포맷을 PCM 또는 Linear PCM으로 설정하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