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7
2020-Dec
프로디지 큐브와 액티브스피커 연결작성자: Dluupgus 조회 수: 248
제품명 : | 프로디지 큐브 블랙에디션과 액티브스피커 에리스 E3.5 |
---|
프로디지 큐브 블랙에디션과 액티브스피커 에리스 E3.5 모니터스피커를 연결해 쓰고있어요.
1.스피커에도 앰프가 있어서 앰프 2개를 연결해 사용하는 것인데 문제는 없나요? 패시브스피커를 사야하나요?
문제가 없다면
2. 큐브와 스피커의 볼륨의 레벨은 어느 것을 어디에 고정하고 큐브 스피커중 어떤 볼륨으로 소리를 조절해야하나요?
감사합니다. 수고하세요.
프로디지 큐브 블랙에디션과 액티브스피커 에리스 E3.5 모니터스피커를 연결해 쓰고있어요.
--> 아주 좋은 매칭입니다 ^^
USB 사운드장치와 액티브스피커 조합은 가장 많이 사용되는 형태입니다.
질문 1.스피커에도 앰프가 있어서 앰프 2개를 연결해 사용하는 것인데 문제는 없나요? 패시브스피커를 사야하나요?
--> 프로디지 큐브는 앰프가 아닙니다 ^^
프로디지 큐브는 헤드폰앰프 회로를 채용한 USB 오디오장치입니다.
USB 사운드카드와 USB DAC는 앰프가 아니므로 액티브스피커와 연결해서 사용하는 것이 맞습니다.
프로디지 큐브 후면의 RCA 라인아웃 단자는 앰프 또는 액티브스피커를 연결하는 단자입니다.
즉 프로디지 큐브는 앰프가 아니므로 패시브스피커 연결단자가 없습니다.
'앰프'와 '헤드폰앰프'는 사용목적이 완전히 다른 음향기기입니다.
● 앰프 : 파워앰프, 인티앰프를 통칭하는 음향기기. 앰프가 없는 스피커통(패시브 스피커)에서 소리가 나오기 위해서는 반드시 앰프(파워앰프, 인티앰프)가 필요
● 액티브 스피커 : 앰프 내장형 스피커. 파워앰프(인티앰프) 회로를 인클로저 내부에 채용. 앰프구동을 위한 전원회로를 채용.
● 패시브 스피커 : 그냥 스피커 통. 혼자서는 아무것도 할 수 없는 말 그대로 그냥 스피커 통. 반드시 앰프(파워앰프, 인티앰프)에 연결해야 소리가 나옴.
● 헤드폰앰프(Headphone Amplifier) : 헤드폰 구동을 위한 헤드폰 드라이버 회로를 채용
● USB 오디오 : USB 연결방식의 음향기기 (USB DAC, USB 사운드카드, USB 헤드셋)
● USB DAC : 고성능 DAC 회로를 내장한 USB 오디오기기
● USB 사운드카드 : MAYA U5, PRODIGY CUBE
● USB DAC : DR.DAC3, PRODIGY CUBE
● 외장 DAC : DR.DAC3
● 사운드카드는 DAC 회로를 포함합니다.
● 사운드카드는 ADC 회로를 포함합니다. (ADC 회로가 없는 사운드카드도 있음)
● DAC는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합니다.
● ADC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합니다.
● 사운드카드 : 소리출력 및 마이크 입력을 갖추고 있는 컴퓨터 주변기기를 사운드카드라고 합니다.(마이크 입력이 없는 사운드카드도 있음)
● 사운드카드는 컴퓨터 인터페이스 연결방식에 따라 PCI 사운드카드와 PCIe 사운드카드 그리고 USB 사운드카드로 분류됩니다.
- PCI 사운드카드 : 메인보드 PCI 슬롯에 설치 - PRODIGY HD2
- PCIe 사운드카드 : 메인보드 PCIe 슬롯에 설치 - MAYA 5.1PCIe
- USB 사운드카드 : 메인보드 USB 포트에 설치 - MAYA U5, PRODIGY CUBE
● USB DAC : USB 인터페이스 연결을 지원하는 고성능 DAC - DR.DAC3, PRODIGY CUBE
● 외장 DAC : 광입력 기능을 지원하는 고성능 DAC - DR.DAC3
● DAC가 없으면 인간의 귀로 소리를 들을 수 없습니다. 메인보드 내장사운드, PCI 사운드카드, PCIe 사운드카드, USB 사운드카드, USB DAC, 외장 DAC에는 모두 DAC(Digital to Analog Converter) 회로가 들어갑니다.
● DAC(Digital to Analog Converter) : 인간의 귀는 디지털 신호를 해석할 수 없으므로 반드시 아날로그 컨버터에서 아날로그 형태의 전기 신호를 생성해서 스피커, 헤드폰, 이어폰 등으로 음파의 형태로 소리를 출력해야 인간이 소리를 들을 수 있습니다.
질문 2. 큐브와 스피커의 볼륨의 레벨은 어느 것을 어디에 고정하고 큐브 스피커중 어떤 볼륨으로 소리를 조절해야하나요?
--> PRODIGY CUBE의 아날로그 볼륨조절기(포텐셔미터)는 맥시멈(5시 방향)일때 바이패스(By-pass) 모드가 됩니다.
바이패스(By-pass) 모드에서는 출력신호가 100% 그대로 전달됩니다. 클리핑 없음 !!
따라서 PRODIGY CUBE의 아날로그 볼륨조절기 맥시멈 설정으로 고정하고 스피커 볼륨으로 조절해도 됩니다.
하지만 스피커 볼륨을 조금만 올려도 소리가 매우 크다면 PRODIGY CUBE의 아날로그 볼륨조절기를 10시 ~ 2시 사이에 고정해 놓고 스피커 볼륨으로 조절하면 됩니다.
스피커 볼륨조절이 용이한 경우 PRODIGY CUBE의 아날로그 볼륨조절기는 일반적으로 11시, 12시, 1시 정도 위치로 놓고 사용합니다.
스피커의 볼륨조절기가 스피커 뒤에 위치해 있거나 스피커 볼륨조절이 애매하고 불편한 경우에는 스피커 볼륨조절기를 11시, 12시, 1시 정도 위치로 고정해 놓고 PRODIGY CUBE의 아날로그 볼륨조절기를 사용하면 편리합니다.
참고로 DR.DAC3의 아날로그 볼륨조절기(포텐셔미터)는 약 3시 방향일때 바이패스(By-pass) 모드가 됩니다.
(3시 ~ 5시까지는 600옴 헤드폰 사용을 위한 오버게인 구간에 해당하므로 600옴 헤드폰이 아닌 경우 클리핑 생길 수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