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커뮤니티

AUDIOTRAK logo, are trademarks of GYROCOM C&C Co., LTD.
조회 수 389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Q. CUBECUBE BLACK 무엇이 바뀌었나요?

기본적인 성능은 동일하며 OPAMP와 케이스 색상이 다릅니다.


· 프로디지 CUBE
1) OPAMP: OPA2134

2) 케이스 색상: 그레이


· 프로디지 CUBE BLACK EDITION 
1) OPAMP: LME49720 또는 LME49860
2) 
케이스 색상: 블랙





Q. 인터넷 방송이 가능한가요?

CUBE 제품은 스테레오 믹스를 지원하지 않는 제품입니다.

따라서 기본적인 마이크만 녹음, 채팅용으로 사용이 가능하며 USB 사운드 카드 방송용 제품으로는 MAYA U5가 있습니다.

 



Q. 드라이버가 없는데 어디서 다운을 받죠?

CUBE 제품은 드라이버 설치가 필요 없는 제품이며 연결 시 자동으로 인식되어 Windows 10까지 드라이버 설치없이 사용이 가능합니다.




Q. 출력 시 패스쓰루(passthrough)가 뭔가요?

광출력시 패스쓰루 기능을 통해 플레이어 재생시 5.1채널로 채널이 확장됩니다.

Windows 7를 제외한 모든 Windows OS에서는 지원이 됩니다.

    



Q. 광 출력 시 볼륨 조절이 안되나요?

CUBE 전면 볼륨 단자는 RCA 단자 or 헤드폰 단자 (아날로그 출력)시에만 조절이 가능하고

출력시에는 원도우 볼륨이나 스피커 볼륨으로 조절 가능합니다





Q. 휴대폰에 단독으로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나요?
홈페이지 > 커뮤니티 > 호환성 테스트 게시판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Q.  CUBE BLACK EDITION 제품에 장착된 OPAMP가 두 가지이던데 이유가 뭔가요?

CUBE BLACK EDITION에 채용된 OPAMP는 LME49860 또는 LME49720입니다.

LME49860는 단종됨에 따라 LME49720로 대체되어 장착된 제품도 있으니 착오없으시기 바랍니다.

위 두 OPAMP는 최대 공급 전압만 살짝 차이가 있으며, 기본 회로 구성이 동일하여 차이가 없다고 보셔도 됩니다.


Frequency는 아래와 같습니다. 


> LME49720



custom_diagram_2_LME49720.gif




> LME49860

custom_diagram_2_LME49860.gif




  • Q: [자주하는 질문] 마이크 증폭 방법
    A:

    마이크 제품은 QC(품질 관리)가 통과되어 출고 되고 있습니다.


    만약 소리가 나지 않는다면 대부분 설정 문제이므로, 저희 고객센터 032-876-9420 으로 연락주시면 되겠습니다.


    마이크 소리가 원하는 만큼의 음량이 나오지 않는다면 아래와 같이 증폭 방법으로 설정해주시기 바랍니다.



    mic_faq.jpg



  • Q: [자주하는 질문] CUBE 와 CUBE BLACK EDITION 의 대하여
    A:

    Q. CUBECUBE BLACK 무엇이 바뀌었나요?

    기본적인 성능은 동일하며 OPAMP와 케이스 색상이 다릅니다.


    · 프로디지 CUBE
    1) OPAMP: OPA2134

    2) 케이스 색상: 그레이


    · 프로디지 CUBE BLACK EDITION 
    1) OPAMP: LME49720 또는 LME49860
    2) 
    케이스 색상: 블랙





    Q. 인터넷 방송이 가능한가요?

    CUBE 제품은 스테레오 믹스를 지원하지 않는 제품입니다.

    따라서 기본적인 마이크만 녹음, 채팅용으로 사용이 가능하며 USB 사운드 카드 방송용 제품으로는 MAYA U5가 있습니다.

     



    Q. 드라이버가 없는데 어디서 다운을 받죠?

    CUBE 제품은 드라이버 설치가 필요 없는 제품이며 연결 시 자동으로 인식되어 Windows 10까지 드라이버 설치없이 사용이 가능합니다.




    Q. 출력 시 패스쓰루(passthrough)가 뭔가요?

    광출력시 패스쓰루 기능을 통해 플레이어 재생시 5.1채널로 채널이 확장됩니다.

    Windows 7를 제외한 모든 Windows OS에서는 지원이 됩니다.

        



    Q. 광 출력 시 볼륨 조절이 안되나요?

    CUBE 전면 볼륨 단자는 RCA 단자 or 헤드폰 단자 (아날로그 출력)시에만 조절이 가능하고

    출력시에는 원도우 볼륨이나 스피커 볼륨으로 조절 가능합니다





    Q. 휴대폰에 단독으로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나요?
    홈페이지 > 커뮤니티 > 호환성 테스트 게시판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Q.  CUBE BLACK EDITION 제품에 장착된 OPAMP가 두 가지이던데 이유가 뭔가요?

    CUBE BLACK EDITION에 채용된 OPAMP는 LME49860 또는 LME49720입니다.

    LME49860는 단종됨에 따라 LME49720로 대체되어 장착된 제품도 있으니 착오없으시기 바랍니다.

    위 두 OPAMP는 최대 공급 전압만 살짝 차이가 있으며, 기본 회로 구성이 동일하여 차이가 없다고 보셔도 됩니다.


    Frequency는 아래와 같습니다. 


    > LME49720



    custom_diagram_2_LME49720.gif




    > LME49860

    custom_diagram_2_LME49860.gif



  • Q: [자주하는 질문] 프로디지 HD2 ADVANCE DE와 프로디지 HD2 BLACK EDITION 의 차이점은?
    A:


    프로디지 HD2 ADVANCE DE 와 프로디지 HD2 BLACK EDITION 제품의 차이점을 알려드립니다.




    Q. 무엇이 바뀌었나요?

    HD2 ADVANCE DE의 화이트 기판이 블랙으로 변경되어 오랫동안 사용하여도 기판이 변색되지 않고 세련되게 바뀌었습니다.

    Triple OPAMP 구성이 바뀌었습니다. 

      · 프로디지 HD2 ADVANCE DE : 
    OPA2134 x 2, OPA2604 x 1

      · 프로디지 HD2 BLACK EDITION:  NE5532 X 3

       


    Q. 음질적으로 차이가 있나요?

    프로디지 HD2 시리즈는 오디오 컨트롤러의 스펙과 DAC 칩셋이 모두 동일하므로 기본적인 음질은 같습니다.

    차이가 있는  OPAMP 부품의 경우 음색이나 소리성향에 차이가 있고 음질의 차이는 없습니다.



    Q. 구성품이 다릅니다.

    프로디지 HD2 ADVANCE DE에 포함된 헤드폰 연장 케이블 2RCA 케이블은 HD2 BLACK EDITION에는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포함된 본 케이블을 사용하는 빈도수가 드물다고 판단되어 구성물에 포함시키지 않았습니다.

    이에 따른 소비자 가격도 내릴 수 있게 되었습니다.

  • Q: [자주하는 질문] Mac OS sierra 드라이버 테스트
    A:


    MAC OS가 업데이트 되어 새로 테스트를 진행하였으니


    MAC을 구입예정이시거나 OS 업데이트를 진행예정이신분은 아래의 표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제품명

     장치

     인식

      채널

     아날로그출력

     PCM출력 

     패스쓰루 

     비트레이트

    /샘플레이트

    입력

    /녹음 

    비고 

     MAYA U5

      지원

     5.1CH

    지원

    지원

    지원

      24/48

    지원

      ①참조

     RPODIGY CUBE

     지원

     2CH

     지원  

     지원  

     지원  

     24/96

     지원  

     

     DR.DAC2

     지원

     2CH

    지원  

     지원  

     지원  

     24/96

     지원  

     

      DR.DAC3

     X

    X

    X

     X

    X

     X

     X


    ① 24비트 6채널 설정시 장치가 오동작하니  참고하시어 6채널 활성화시 16비트로 설정해주시기 바랍니다.


    ☞ SIERRA 버전부터 DR.DAC3는 지원이 안되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맥 OS 패스쓰루 설정법

    1.  패스쓰루 코덱을 위해 Perian 설치 , VLC플레이어 설치

    2. 샘플레이트 48KHz로 설정

    4. Perian 해당 그림처럼 설정합니다.

    5. 터미널에서 아래의 명령으로 AC3와 DTS를 패스스루 하도록 코덱을 설정합니다

    "defaults write com.cod3r.a52codec attemptPassthrough 1"
    "defaults write org.perian.Perian attemptDTSPassthrough 1"


    6.Perian 실행후 VLC플레이어로 재생



    1ec8c40fd80318f3ba97b1a6079bf6dc.png







  • Q: [자주하는 질문] MacOS X 10 엘 캐피탄(El Capitan) 드라이버 테스트
    A:


    MAC OS가 업데이트 되어 새로 테스트를 진행하였으니


    MAC을 구입예정이시거나 OS 업데이트를 진행예정이신분은 아래의 표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제품명

     장치

     인식

      채널

     아날로그출력

     PCM출력 

     패스쓰루 

     비트레이트

    /샘플레이트

    입력

    /녹음 

    비고 

     MAYA U5

      지원

     5.1CH

    지원

    지원

    지원

      24/48

    지원

      ①참조

     RPODIGY CUBE

     지원

     2CH

     지원  

     지원  

     지원  

     24/96

     지원  

     

     DR.DAC2

     지원

     2CH

    지원  

     지원  

     지원  

     24/96

     지원  

     

      DR.DAC3

     부분지원

     2CH

    지원  

    지원  

     지원  

      24/192

     지원  

     ②참조



    ① 24비트 6채널 설정시 장치가 오동작하니  참고하시어 6채널 활성화시 16비트로 설정해주시기 바랍니다.


    ②DR.DAC3의 경우  OS 업데이트 이후 USB연결시 인식이 안될 수도 있습니다.

        유전원허브를 사용시 해결이 되긴하나 원인을 아직 모르기 때문에 추후 원인 파악후 추가 공지를 해드리겠습니다 .



    ※맥 OS 패스쓰루 설정법

    1.  패스쓰루 코덱을 위해 Perian 설치 , VLC플레이어 설치

    2. 샘플레이트 48KHz로 설정

    4. Perian 해당 그림처럼 설정합니다.

    5. 터미널에서 아래의 명령으로 AC3와 DTS를 패스스루 하도록 코덱을 설정합니다

    "defaults write com.cod3r.a52codec attemptPassthrough 1"
    "defaults write org.perian.Perian attemptDTSPassthrough 1"


    6.Perian 실행후 VLC플레이어로 재생


    스크린샷 2016-03-04 오후 4.01.34.png



  • Q: [제품활용] [카드 공통] 플레이어(곰플레이어, 다음팟, KM 플레이어) passthrough 설정법(16.01.13)
    A:


    대표적인 플레이어(곰플레이어, 다음팟, KM 플레이어)에 맞는 AC3Filter를 이용한 passthrough 설정 법입니다.


    다운로드 : http://www.ac3filter.net/


    [5.1채널 테스트 파일 다운받기] ←  클릭



    1. AC3Filter를 통한 기본 설정.


    시작 -> 모든 프로그램 -> AC3Filter -> AC3Filter Config를 눌러주세요.


    팝업창이 뜨면 확인을 눌러주세요.


    아래와 같은 창이 뜨면 시스템에 들어가 언어를 변경해 주세요.

    (반드시 바꿔야 하는 건 아니므로 다음으로 넘어가셔도 됩니다.)


    3.png


    언어 설정이 끝나면 메인메뉴에서 출력 포맷 부분을 따라 해 주세요.


    1.png


    그다음 SPDIF 메뉴에서 그림과 같이 AC3, DTS, MPEG AUDIO를 체크해 주세요.


    2.png


    위 그림과 같이 설정 후 확인을 눌러주시면 AC3Filter 설정은 끝났습니다.



    2. 플레이어 설정법.


    [곰플레이어]


    AC3Filter를 설치하고 위에 나온 것처럼 따라 했다면 곰플레이어의 설정은 끝입니다.


    1.png


    AC3, DTS 파일을 재생하고 필터에 있는 AC3Filter를 눌러보면 아래와 같은 창이 뜹니다.

    아래 그림처럼 입, 출력 레벨이 안 올라간다면 passthrough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것입니다.


    2.png



    [KM 플레이어]


    이번에는 KM 플레이어 설정을 보겠습니다. 플레이어를 실행시킨 후 F2를 눌러 환경설정을 띄웁니다.

    외부 오디오 코덱에 있는 외부 코덱 사용자 정의를 눌러 시스템 코덱 추가 -> AC3Filter를 선택해 주세요.


    1.png


    2.png


    3.png


    그다음 외부 오디오 코덱에서 AC3, DTS Sound를 AC3Filter로 바꿔주세요.


    4.png


    마지막으로 '필터 우선순위 변경'을 선택 후 등록된 필터 추가를 눌러 AC3Filter를 추가 후 

    사용 조건을 강제 사용으로 체크해주시면 설정이 끝납니다.


    5.png


    6.png


    7.png



    [다음팟 플레이어]


    마지막으로 다음팟 플레이어 설정을 보도록 하겠습니다.


    다음팟 플레이어는 위 두 개의 플레이어와는 다르게 AC3Filter를 사용하지 않고 내장 코덱을 사용하여

    설정하도록 하겠습니다.


    F5를 눌러 환경 설정 창을 띄워주세요.

    소리 -> 내장 오디오 코덱 설정을 눌러주세요.


    1.png


    Pass Through(S/PDIF. HDMI) 항목에 'AC3 / DTS / DTS-HD' 항목을 그림과 같이 변경해주세요.


    2.png


    이것으로 다음팟 플레이어도 설정이 끝났습니다.


    이제는 보고자 하는 영화를 다운받아 광출력 passthrough 설정을 통해 5.1 채널로 영화를 감상하면 되겠습니다.


    단, 파일명 중 AC3, DTS라는 단어가 들어가 있지 않으면 이 설정을 하여도 5.1 채널로 출력되지 않으니 착오 없으시기 바랍니다.




  • Q: [자주하는 질문] 오디오트랙 사운드카드 스테레오믹스(방송) 설정방법
    A:

    안녕하세요오디오트랙입니다.

     

    본사에서 판매중인 사운드카드 중 스테레오믹스를 지원하는 기종인

    MAYA MK-II ZENI / MAYA MK-II POS / MAYA U5의 스테레오믹스 설정방법을 알려드립니다.

     

    저희 사운드카드는 일반적인 스테레오믹스 방식과 달리

    마이크나 라인입력의 모니터링되는 신호를 믹스하는 방식으로

    스테레오믹스가 구동됩니다.

     

    따라서 일반적인 스테레오믹스 설정과는 좀 다르게 설정해주셔야 하기에

    동일한 질문이 다소 많이 접수되어 설정방법을 올려드립니다.


     

    1. 작업 표시줄에 있는 스피커 아이콘을 마우스 우측 클릭  녹음장치 클릭

     

    1.png


    2. 마이크 증폭

     

    마이크를 마우스 우측 클릭  사용을 클릭 후 마이크 더블 클릭

    마이크 속성  사용자 지정 AGC 클릭

     

    ※ 마이크 증폭기능은 마이크에 입력되는 음성만을 높여주는 기능이 아닌

    전체적인 소리를 증폭시키는 것이기에 주변소음 또한 증폭되어 입력됩니다.

     

    상황에 맞게 설정하시기 바랍니다.

     2.png


    ※일반적인 마이크 사용시에는 볼륨 조절이 가능하나

    스테레오믹스(방송)사용시에는 믹스방식이 마이크음을 믹스하는 것이 아닌

    모니터링되는 소리를 믹스하는 것이기에 조절되지 않습니다.

     

    ※방송목적이 아닌 일반적인 마이크 사용(음성채팅)시에는

    마이크를 기본장치로 설정 후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3. 마이크 증폭 설정이 끝나면 마이크는 '사용 안 함'으로 변경 후

    스테레오 믹스를 기본 장치로 설정


     3.png


    스테레오 믹스 볼륨 조절 방법 : 스테레오 믹스 속성  수준에서 조절 가능


    4. 소리  재생 탭에서 스피커를 기본 장치로 설정

    스피커 속성  수준 탭으로 이동하여 마이크를 클릭하여 음소거 해제

     

    라인입력을 사용 시에는 마이크와 마찬가지로 라인’ 항목의 음소거를 해제하시면 됩니다. 

     

    (아래 사진에 보이는 마이크 항목과 스피커볼륨이 믹스되어 출력)

     

    4.png



     음성채팅과 인터넷 방송을 같이 할 경우 음성채팅에도 스테레오 믹스된 소리가 출력

    아프리카 방송 및 음성채팅 동시에 하기(win xp) : http://audiotrack.co.kr/kr/68020

    아프리카 방송 및 음성채팅 동시에 하기(win 7) : http://audiotrack.co.kr/kr/67050


    *저희 사운드카드는 위에서 언급했듯이 모니터링을 통해 스테레오 믹스가 작동하므로

    스피커에서 마이크음이 나온다고 하여 모니터링을 해제하면 스테레오 믹스로 방송을 하실 경우

    마이크음이 송출되지 않기에 모니터링을 끄면 안됩니다.


    [PRODIGY 7.1 e X-Fi와 PRODIGY CUBE 제품을 제외한 나머지 사운드카드는  기본제공되는

    드라이버인 VIA 레퍼런스 드라이버로는 스테레오믹스가 불가능 하며 EWDM이라는 별도

    제공되는 드라이버로 사용가능하오니 아래 링크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EWDM드라이버 스테레오믹스 설정법] ←  클릭


    감사합니다.

  • Q: [자주하는 질문] 아프리카 방송 및 음성채팅(토크온/스카이프 등) 동시에 하기(Win XP)
    A:

    윈도우XP 운영체제에서 아프리카 방송과 토크온과 같은 음성채팅 프로그램 동시에 이용하는 방법입니다.

    윈도우 7 운영체제와는 다르게 윈도우 XP 운영체제에서는 반드시 스테레오 케이블을 이용하여 내장사운드 카드와 저희 제품을 연결하여야 동시 이용이 가능합니다.

     

    ○ 참고사항

     1. 이 방법은 부득이하게 메인보드 내장사운드 카드와 외장사운드카드(PCI,USB형 사운드카드)를 이용하여

         설정하는 방법으로 권장하는 방법은 아닙니다.

     2. 스테레오 케이블로 두 장치를 연결하는 것이다 보니 케이블을 통한 잡음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 부분은

         사용자 본인이 감수해야하는 부분이며 아래의 설정 방법엔 MAYA U5 제품이 사용되었습니다.

     3. 앞으로 나올 설정 방법은 외장사운드 카드의 스테레오 믹스 기능을 이용하는 방법이며 반대로 메인보드 내장

         사운드카드의 스테레오 믹스 기능을 이용하고자 한다면 해당 설정법과 반대로 설정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연결도

     

    방송채팅 설정법(XP).jpg  

    위의 그림과 같이 장치들을 연결해주시기 바랍니다.

     

    ○ MAYA U5 출력 설정

     

    u5출력설정1.jpg

    u5출력설정2.jpg

     

    1.제어판- 사운드 및 오디오 장치를 클릭하여 등록정보창을 띄웁니다.

    2.오디오탭의 소리 재생-기본장치를 MAYA U5로 선택하고 볼륨버튼을 클릭합니다.

    3. 스피커 창이 뜨면 스피커,웨이브,라인입력을 제외한 다른 장치들은 음소거 설정을 합니다.

     

    ※ 메인보드 내장사운드의 출력이 MAYA U5 라인입력으로 입력되어 스테레오 믹스기능에 의해 방송에 송출되며

        라인입력 볼륨을 낮추게 되면 마이크 소리도 줄어들기 때문에 잘 조절하여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 MAYA U5 입력 설정

     

    u5입력설정1.jpg

    u5입력설정2.jpg

     

    1. 출력설정이 끝나면 스피커 창을 닫고 사운드 및 오디오 장치 등록정보 창에서 소리 녹음-기본장치를 MAYA U5

       로 선택합니다.

    2. 볼륨 버튼을 클릭합니다.

    3. 입력 장치 관련 창이 뜨면 스테레오 믹스 혹은 아날로그 커넥터를 선택하여 줍니다.

     

    ○ 메인보드 내장사운드카드 출력 설정

     

    내장출력설정1.jpg

    내장출력설정2.jpg

     

    1. MAYA U5 설정이 끝난 후 소리 재생- 기본장치와 소리 녹음- 기본장치를 메인보드 내장사운드 카드로 선택한

       후 적용   버튼을 클릭합니다.

    2. 소리 재생 기본장치의 볼륨 버튼을 클릭합니다.

    3. 마이크 소리 볼륨과 마스터 볼륨, 웨이브를 적절히 조절합니다.

     

    ※ 마스터 볼륨 창은 필요한 부분만 남겨두었으며 마이크 볼륨이 나타나지 않는 분들은 옵션-속성 버튼을 눌러 마이크 볼륨이나 Pink In 부분을 찾아 체크하신 후 해당 볼륨 부분을 조절하시면 됩니다.

      옵션- 고급 컨트롤 부분이 체크가 될 경우 위의 그림과 같이 '고급' 이라는 버튼이 생성되는데 고급 버튼을 누르게 되면 마이크 증폭 기능을 사용할 수 있으나 마이크 증폭 기능을 사용할 경우 잡음이 생길 수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메인보드 내장 사운드카드 입력 설정

     

    내장입력설정1.jpg

    내장입력설정2.jpg

     

    1.소리 녹음- 기본장치의 볼륨 버튼을 클릭합니다.

    2.녹음 컨트롤 창에서 마이크를 제외한 기타 입력 장치들은 전부 음소거 하거나 볼륨을 최하로 내리시기 바랍니다.

    3. 소리 재생- 기본장치를 MAYA U5 로 다시 선택한 후 적용 버튼을 클릭합니다.

     

    ○ 음성 채팅 프로그램 설정 (토크온)

     

    토크온설정1.jpg

    토크온설정2.jpg

     

    - 토크온 실행 후 환경설정- 오디오 설정- 오디오 설정 버튼을 누르게 되면 위와 같은 창이 뜨는데 1단계는 출력장치 설정이므로 헤드폰이 연결된 MAYA U5 제품으로 선택하여 주시고 다음 버튼을 누른 후 2단게에서는 입력장치 설정이므로 마이크가 연결된 메인보드 내장사운드카드의 Input 장치로 설정해주시고 다음 버튼을 누르고 마치시면 됩니다.

     

    ○ 아프리카 방송 설정

     

    아프리카설정.jpg

     

    - 아프리카 방송 설정시에는 오디오 장치 설정의 장치 선택에서 MAYA U5, 입력 창에선 아날로그 커넥터 혹은 스테레오 믹스 를 선택한 후 다른 부분은 본인이 평소 방송시 설정하던대로 설정하여 방송을 하시면 됩니다.

     

    ○주의 사항

     스테레오 믹스 기능을 제공하는 MAYA 5.1 MK-Ⅱ 시리즈나 DirectWire 기능을 이용할 수 있는 Prodigy 7.1(XT,LT,LTM) 제품군도 위와 같은 설정으로 아프리카 방송과 음성채팅 프로그램을 동시에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아프리카 방송이 아닌 멘트조절이 필요한 Winamp 방송에 경우 마이크가 항상 오픈되는 현상이 있으므로 위와 같은 방법으로 음성채팅과 Winamp 방송은 동시에 이용하지 마시기 바랍니다.

      위의 설정으로 동시에 이용하고자 하신다면 번거롭지만 멘트할때만 수동으로 마이크 부분을 음소거 하는 방법으로 이용하시거나 내장사운드카드의 스테레오믹스 기능을 이용하여 위와는 반대로 설정하여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 Q: [자주하는 질문] 스테레오 믹스 및 인터넷 방송 호환 여부
    A:


    각 사운드카드별 스테레오 믹스 기능 지원 및 인터넷 방송 호환 여부입니다.

     Untitled-1.jpg

     

    1) Prodigy 7.1e X-Fi AUDIO 제품은 Windows XP 운영체제에서만 내부음 녹음이 가능합니다.


    *Prodigy HD2, Prodigy 7.1 LTM 제품은 2개의 드라이버를 선택적으로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EWDM 드라이버는  Windows 7운영체제가 출시전 개발 중지된 드라이버로 Windows XP 이후 운영체제에서 호환성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Stereo Mix 기능을 지원하는 제품 중 Prodigy 7.1 LTM 제품을 제외하고는 운영체제와 상관 없이 ShoutCast

      플러그 인의 멘트조절 버튼을 통한 멘트 조절이 되지 않으며 멘트 버튼을 누르지 않는 상태에서도 마이크

      입력음이 송출되므로  제품   사용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이 문제는 제품문제가 아닌 HD_AUDIO 코덱을 사용하는 사운드카드와 윈앰프 방송을 위한 

      샤우트 캐스트와 코리아 캐스트의 장치 연동문제 입니다.

      본사 제품 뿐만이 아닌 타사 몇몇 제품과 메인보드 내장사운드에서도 동일한 증상을 확인하였습니다.

     

      제품 구매에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 Q: [자주하는 질문] 아프리카 방송 및 음성채팅(토크온/스카이프 등) 동시에 하기(Win7)
    A:

    *본 설정법은 아프리카방송이나 기타 방송 시 본사의 사운드카드로는 방송과 보이스채팅 프로그램의

    입력을 서로 다르게 설정 불가능하기에 사용하는 방법입니다.

    보이스채팅 프로그램을 사용하지 않고 방송만 하는것이라면 

    본 게시판에 있는 '오디오트랙 사운드카드 스테레오믹스 설정방법'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아프리카 방송과 음성채팅프로그램(게임톡, 토크온,스카이프 등)을 동시에 이용시 설정하는 방법입니다.

     

    ※ 테스트에 이용된 사운드카드는 메인보드 내장 사운드 카드(SoundMAX)와 MAYA U5 제품으로 사용자 PC에  따라 메인보드 내장사운드 카드는 Realtek, C-Media  등으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MAYA 5.1 MK-Ⅱ 시리즈 제품도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아프리카 방송과 음성채팅 프로그램을 동시에 이용할 수 있으나 메인보드 내장사운드 카드가 VIA 사의 제품일 경우 드라이버 충돌로 사용이 불가합니다.

     (단, MAYA U5 제품은 메인보드 내장 사운드 카드가 VIA 사의 제품이더라도 MAYA U5 제품의 드라이버 설치 없이 USB 연결로만 사용할 경우 이용이 가능합니다.)

     

    

    설정에 앞서 아래의 그림과 같이 이어폰과 마이크를 연결해주시기 바랍니다.

     

    연결도).jpg

     

    ○ 위와 같이 연결 후 제어판 - 하드웨어 및 소리 - 오디오 장치 관리 를 실행하면 아래와 같은 창이 뜹니다.

     

    재생장치.jpg

     

    ① 스피커(MAYA U5) 부분을 선택합니다.

    ② 기본값으로 설정 부분을 클릭하여 기본장치로 설정합니다.

     

    ○  녹음탭을 클릭합니다.

          

    녹음장치.jpg

     

    ㅇ스테레오 믹스(MAYA U5)를 클릭한 후 기본 장치 기본값으로 설정합니다.

     ○ 마이크(메인보드 내장사운드카드)를 오른쪽 마우스 클릭후 팝업창에서 '기본 통신 장치로 설정'부분을 클릭합니다.

       

    ※스테레오 믹스 장치가 표시 되지 않을 경우 빈공간에 오른쪽 클릭하여 '사용할 수 없는 장치 표시' 부분과 '연결이 끊긴 장치 표시' 부분을 체크해주시면 됩니다.

     

     

    녹음장치2.jpg

     

    ① 마이크를 선택합니다.

    ② 속성 버튼을 클릭하여 마이크 속성 창을 띄웁니다.

     

    마이크 속성.jpg

     

    ① 마이크 속성창에서 수신대기 탭을 클릭합니다.

    ② '이 장치로 듣기' 부분을 체크합니다.

    ③ '이 장치로 재생' 부분에서 스피커(MAYA U5)로 선택합니다.

     

    ※ 위와 같이 설정 후 마이크에 대고 말을 할때 이어폰에서 본인의 목소리가 들리는지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이어폰에서 본인의 목소리가 들리지 않을 경우 아프리카 방송에서 목소리가 송출되지 않으니 반드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방송시 목소리가 작을 경우 사용자 지정 탭에서 증폭을 키거나 수준탭에서 마이킁 입력 게이지를 높여보시기 바랍니다.

     

    ○위와 같이 설정 후 게임톡을 실행 시켜 도구 - 환경 설정 - 오디오 쪽을 클릭하면 아래와 같은 창이 뜹니다.

     

    게임톡설정.jpg

     

    ○ 스피커에서 '스피커(MAYA U5)를 선택하고 마이크 부분에선 '마이크(내장사운드카드)'를  선택합니다.

    ○ '스테레오 믹스 자동으로 끄기' 부분은 반드시 체크 해제해주시기 바랍니다. 이 부분이 체크되어 있을 경우 방송이 정상적으로 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아프리카방송설정.jpg

     

    ○아프리카tv 제어판- 오디오장치 설정에서 '스테레오 믹스(MAYA U5)로 선택합니다.

     

    ○위와 같이 설정을 하게 되면 아프리카 방송과 음성채팅프로그램(게임톡, 토크온, 스카이프)를 동시에 이용할 수 있습니다.

     

    ※ MAYA U5 제품이 아닌 MAYA 5.1 MK-Ⅱ 제품군을 이용할때는 위의 설정에서 MAYA U5 제품으로 선택된 것들을

        Envy24 Family Audio Controler WDM 으로 설정해서 이용하시면 됩니다.

     

    ○추가사항

      종종 마이크를 통한 본인 목소리가 안들리게 하여 방송 및 음성채팅 프로그램을 동시에 이용하는 방법을 문의하시는데

    본사에서 판매중인 사운드카드는 일반적인 스테레오믹스 방식과 달리 모니터링 되는 소리를 믹싱하여

    송출되는 방식이므로 스피커에서 본인 목소리가 들리지 않게 설정할 경우 방송에서 마이크소리가 나오지 않습니다.


  • Q: [자주하는 질문] 마이크 사용시 점검사항
    A:

     

    마이크 사용시 점검사항을 말씀드리겠습니다.

     

    마이크 동작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간단한 방법은 XP운영체제에선 녹음기를 이용, 윈7 운영체제에선 녹음장치 게이지를 확인해보면 알 수 있습니다.

     

    XP 운영체제일 경우

     

    시작 - 제어판- 사운드 및 오디오장치를 실행시켜 사운드 및 오디오장치 등록정보 창을 띄웁니다.

     

    마이크볼륨.JPG

     

    사운드 및 오디오 장치 등록정보 창에서 오디오 탭을 누른 후 소리 녹음쪽에 볼륨을 클릭합니다.

     

    ※HDMI를 지원하는 그래픽 카드 드라이버 설치시 그래픽카드에 내장된 사운드 드라이버가 설치되어 NVIDAI 혹은 ATI 명칭

    으로 된 장치가 나타나는데 그러한 장치들은 내장사운드 카드와 관련이 없으니 반드시 기본장치를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마이크고급컨트롤.JPG

     

    위와 같은 창이 뜨면 마이크 부분에 선택되어있는지 확인하고 옵션-고급컨트롤 부분을 활성화 시켜 생성되는 고급 버튼을 클릭합니다.

     

    마이크증폭.JPG

     

    고급 버튼을 클릭하면 위와 같은 고급 컨트롤 창이 뜨는데 기타 컨트롤 부분에서 마이크 증폭을 체크하고 모든 창을 닫습니다.

     

    ※마이크 증폭을 키지 않으면 입력되는 소리가 적어 입력이 정상적으로 되는지 확인하기 어려우므로 반드시 증폭을 키시기 바랍니다.

     

    시작 - 프로그램 - 보조프로그램 - 엔터테인먼트 - 녹음기를 실행하시고 녹음 버튼을 누른 후 녹음해보시기 바랍니다.

     

    녹음확인(XP).JPG

     

     

    윈도우7 운영체제

     

    바탕화면 오른쪽 아래 스피커 모양의 아이콘을 오른쪽 클릭하여 녹음장치를 클릭하면 다음과 같은 창이 뜨는데 마이크가 기본장치로 설정되어 있는지 확인하고 마이크가 선택된 상태에서 속성창을 클릭합니다.

     

    7녹음장치등록정보1.jpg

     

    마이크 속성창에서 사용자 지정탭을 클릭한 후 마이크 증폭 부분을 체크합니다.

     

    7마이크증폭.jpg

     

    마이크 증폭을 체크한 후 확인 버튼을 클릭하고 마이크에 대고 말을 해보고 아래와 같이 게이지가 움직이는지 확인합니다.

     

    7마이크 녹음확인.jpg

     

    위와 같이 녹음기에서 파형이 생성되거나 마이크에서 게이지가 올라갈 경우 마이크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것으로

    볼 수 있으며 반대로 아무런 움직임이 없다면 아래와 같이 점검해보시기 바랍니다.

     

    -다른 PC에 연결하여 입력이 되는지 확인해본다.

    -마이크 케이블을 변경하여 테스트해본다.

    3.5mm 변환잭을 이용한다면 3.5mm 변환잭을 바꿔서 테스트해본다.

     

    위와 같은 조치에도 마이크 입력이 안된다면 점검을 받으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마이크 연결시 입력은 확인되는데 스피커에서 소리가 안나온다면 다음과 같이 해보시기 바랍니다.

     

     

    XP 운영체제일 경우

     

    먼저 시작 - 제어판- 사운드 및 오디오장치를 실행시킵니다.

    사운드 및 오디오 장치 등록 정보 창에서 오디오 탭을 선택한 후 재생장치 쪽 볼륨을 클릭합니다.

     

    모니터링음소거.JPG

     

    볼륨창이 뜨면 마이크쪽에 음소거가 체크되어 있다면 체크해제하시기 바랍니다.

     

    ※ MIC, Pink In 등도 마이크의 다른 표현이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윈도우7 운영체제일경우

    

     

     

    바탕 화면 오른쪽 하단의 스피커 모양을 오른쪽 클릭 후 재생장치를 선택하여 소리 설정창을 띄웁니다.

    스피커 부분을 선택하고 속성 버튼을 누릅니다.

     

    7스피커속성.jpg

     

    속성창에서 수준 탭을 클릭한 후 마이크 부분에 음소거 체크가 되어 있다면 음소거를 해제하시기 바랍니다.

     

    7마이크모니터링.jpg

     

    위와 같이 설정을 하게 되면 마이크로 입력되는 소리가 스피커를 통해 출력이 됩니다.

    다만 PC 스피커이기 때문에 마이크를 앰프나 노래방 기기에 연결했을때처럼 크게 울리지 않으며 마이크로 입력되는 소리를 보다 크게 듣고자 한다면 스피커가 아닌 이어폰이나 헤드폰을 연결하여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 Q: [자주하는 질문] 윈도우 기본음이나 익스플로러에서 잡음이 나올 경우
    A:

    안녕하세요. 오디오트랙입니다.

    윈도우 시작/종료음이나 인터넷 익스플로러 화면전환시의 딸깍하는 소리 등에서 잡음이 들리는 경우에 대한 해결 방법을 정리하였습니다.

    아래 설명은 하드웨어 가속을 지원하는 모든 사운드카드에 해당되는 내용입니다.


    재생장치에서의 사운드 출력 방식에는 다이렉트 사운드 출력과 웨이브 아웃 출력 방식이 있습니다.

    사운드 설정이 "웨이브 아웃"으로 설정되어 있을 경우에는 시스템 자원을 많이 사용하게 되어 소리가 끊기거나 잡음의 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 윈앰프나 곰플레이어, KMPLAYER, 아드레날린, 기타 동영상이나 MP3 등의 음악파일을 재생하는 모든 재생플레이어 및 프로그램의 사운드 옵션에서 "다이렉트 사운드 장치"로 설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인터넷 익스플로러에 링크된 음악이나 동영상(Streaming Media), 플래시 게임 등은 기본적으로 윈도우 미디어 플레이어에 연동되어 있으므로 윈도우 미디어 플레이어의 사운드 출력장치를 다이렉트사운드(DirectSound Out)으로 설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참고로, 재생프로그램을 종료했다가 다시 실행할 경우 또는 컴퓨터를 껏다가 다시 켰을때 웨이브 볼륨이 0으로 떨어져 있어 소리가 안 나오거나 100%로 올라가 있어 갑자기 소리가 크게 나오는 경우에도 해당되는 내용이며 해결방법 또한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 다이렉트 사운드 장치로 설정하는 법 ☜

    1. 아래 링크를 눌러 AC3Filter 를 설치합니다.

    [AC3Filter 1.45b 다운받기] ←  클릭

    만일, 통합코덱이나 필수코덱 등이 설치되어 있다면, 제어판 → 프로그램 추가/제거 에서 언인스톨 시키고 재부팅한 후 설치하는 것이 좋습니다.

    2. 시작 → 설정 → 제어판 → AC3Filter 에서 아래와 같이 설정합니다.



    (시작 → 프로그램 → AC3Filter → AC3Filter Config 를 눌러도 됩니다)



    윈도우 제어판의 사운드 기본 설정을 프로디지 모드(ProDigy 7.1 XT)로 사용시에는,

    윈앰프의 경우,
    Options → Preferences → Plug-ins → Output → DirectSound ouput → Configure → ProDigy 7.1 XT로 설정하하시기 바랍니다.

    제트오디오의 경우,
    Preferences (Ctrl + P) → Advanced → Output → Config → Use DirectSound → ProDigy 7.1 XT로 설정하시기 바랍니다.

    곰플레이어의 경우, 환경 설정(F5) → 소리 → 출력 장치 → DirectSound: ProDigy 7.1 XT로 설정하시기 바랍니다.

    KMPlayer의 경우, 환경 설정(F2) → 음성 처리 → 음성 장치 → DirectSound: ProDigy 7.1 XT로 설정하시기 바랍니다.



    윈도우 제어판의 사운드 기본 설정을 큐사운드 모드(QVE 96-24)로 사용시에는,

    윈앰프의 경우,
    Options → Preferences → Plug-ins → Output → DirectSound ouput → Configure → QVE 96-24 로 설정하시기 바랍니다.

    제트오디오의 경우,
    Preferences (Ctrl + P) → Advanced → Output → Config → Use DirectSound → QVE 96-24 로 설정하시기 바랍니다.

    곰플레이어의 경우, 환경 설정(F5) → 소리 → 출력 장치 → DirectSound: QVE 96-24 로 설정하시기 바랍니다.

    KMPlayer의 경우, 환경 설정(F2) → 음성 처리 → 음성 장치 → DirectSound: QVE 96-24 로 설정하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Q: [제품활용] 다이렉트와이어 설정방법(내부녹음 및 스테레오믹스)
    A:
    다이렉트와이어 설정방법 및 NSP 사용 매뉴얼입니다.

    프로디지 7.1XT 처음사용자를 위한 초보사용자 위주의 설명입니다.(캡쳐화면은 프로디지 7.1LT를 기준으로 설명합니다)

    ※ 프로디지 7.1XT를 녹음용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반드시 프로디지 컨트롤패널 우측 상단의 'Q'로고를 눌러 흑백으로 비활성화시킨 상태인 프로디지 모드로 설정하고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제어판 → 사운드 및 오디오 장치 → 오디오 항목에서도 소리 재생과 소리 녹음의 기본 장치를 반드시 모두 'ProDigy 7.1 XT'로 설정하고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큐사운드 드라이버(QVE 96-24)는 게임에서의 사운드가속 등에 사용하는 에뮬레이션 드라이버이므로 녹음시에는 절대로 큐사운드 드라이버인 'QVE 96-24'로 설정하면 안 되니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 마이크나 라인인 등의 아날로그 입력을 녹음시

    음성채팅, 인터넷폰, 팀보이스, TV수신카드(아날로그) 녹화 등을 할 경우에는 아래와 같이 연결합니다.


    * 마우스로 드레그해서 연결하면 됩니다.


    ▶ 윈도우즈 내부재생음을 녹음시

    윈앰프재생을 비롯하여 인터넷 스트리밍 음악이나 동영상강의 등 인터넷 익스플로러에서 재생되는 스트리밍 사운드를 녹음시에는 아래와 같이 연결합니다.





    ▶ 아날로그 입력과 윈도우즈 내부재생음을 믹싱해서 녹음시

    인터넷 음악방송이나 인터넷 노래방 또는 MR 반주에 맞춰 보컬녹음을 할 경우에는 아래와 같이 스테레오 믹스 모드로 설정합니다.


    * 만일 인터넷 음악방송시 마이크 맨트를 할 때 상대방에서 틱틱하는 잡음이 들린다고 하거나 MR 반주에 맞춰 보컬녹음을 할 경우 틱틱하는 잡음이 나온다면 아래 링크의 방법을 참조하셔서 설정하시기 바랍니다.
    [ 스테레오 믹스 모드로 사용시에 틱틱하는 잡음이 나올 경우 ] ← 클릭
  • Q: [제품활용] 다이렉트와이어를 이용한 프로디지 마이크 에코효과 적용방법
    A:

    ▶ 마이크를 사용한 보컬녹음시 헤드폰 모니터링에만 이펙트를 적용하는 방법

    Spin Audio사의 NSP(Native Sound Processor) 프로그램과 VST 플러그인을 활용하여 마이크에 이펙트를 적용한 보컬녹음시에 헤드폰으로 모니터링되는 소리에만 음성보정을 위한 이펙트를 적용하고 실제 녹음에는 이펙트가 적용되지 않게 하는 방법입니다.

    우선, NSP 프로그램과 Free Plug-In 파일을 다운 받습니다.

     

     

    [NSP 설치프로그램] NSP.zip

     

    [Free Plug-In]  FreePlugIn.zip

     


    1. NSP를 실행한 후 SETUP → Routing을 눌러 아래의 그림과 동일하게 설정을 합니다.




    2. 첫번째 슬롯에는 헤드폰으로 모니터링되는 소리에만 음성보정을 위한 이펙트를 적용할 플러그인을 불러옵니다.


    * 상용 VST 플러그인 중에는 매우 뛰어난 고급기능을 사용할 수 있는 것도 있으므로 인터넷이나 PC-SPEAKER.COM 등에서 검색해서 활용해 보시기 바랍니다.


    3. 두번째 슬롯에는 실제 녹음에 적용되는 바이패스용으로 프리 플러그인 중 'Leveler'를 로딩합니다.


    * Leveler 의 경우 기본 게인값이 -6dB 이기 때문에 소리가 작을 수 있으므로 모두 0dB로 설정하시고, 그림에서 'Link'를 누르면 좌, 우 채널의 볼륨이 같이 조절됩니다.


    4. 프로디지 컨트롤패널에서 다이렉트 와이어 설정은 아래와 같이 하면 됩니다.


    * 보컬녹음만 한다면 위와 같이 연결하면 됩니다.

    * 보컬녹음시 재생되는 MR 반주와 믹싱을 할 경우에는 아래와 같이 연결합니다.



    5. 프로디지 컨트롤패널의 헤드폰 모니터링을 꺼 놓으면 7/8채널 헤드폰 출력에서는 이펙트가 적용된 소리가 나옵니다.


    * 1/2채널은 이펙트가 적용되지 않은 상태이므로 헤드폰 모니터링을 켜면 의미가 없게 되니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 녹음 후 재생을 해서 소리를 들어보면 이펙트가 적용되지 않고 녹음이 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재생시에는 프로디지 컨트롤패널의 헤드폰 모니터링 기능을 켜서 체크하시면 됩니다.

  • Q: [자주하는 질문] 프로디지 HD2 RMAA 자료입니다.
    A:
    2007년 4월 테스트자료입니다.
    출력기기 : PRODIGY HD2 GOLD (VIA 드라이버)
    입력장비 : ESI MAXIO XD (레코딩 인터페이스)

    Envy24 Family Audio (WDM)

    RightMark Audio Analyzer test


    Testing chain: External loopback (line-out - line-in)
    Sampling mode: 24-bit, 96 kHz

    PRODIGY HD2 Headphone Out → MaXiO XD EX8000 Input 1/2




    Summary

    Frequency response (from 40 Hz to 15 kHz), dB: +0.01, -0.10 Excellent
    Noise level, dB (A): -114.1 Excellent
    Dynamic range, dB (A): 113.8 Excellent
    THD, %: 0.0008 Excellent
    IMD + Noise, %: 0.0017 Excellent
    Stereo crosstalk, dB: -96.0 Excellent
    IMD at 10 kHz, %: 0.0055 Excellent

    General performance: Excellent




    Frequency response

    fr.png


    Frequency range Response
    From 20 Hz to 20 kHz, dB -0.19, +0.01
    From 40 Hz to 15 kHz, dB -0.10, +0.01




    Noise level

    noise.png 


    Parameter Left Right
    RMS power, dB: -84.3 -84.4
    RMS power (A-weighted), dB: -113.4 -114.1
    Peak level, dB FS: -73.7 -74.2
    DC offset, %: -0.00 -0.00




    Dynamic range

    dynamics.png


    Parameter Left Right
    Dynamic range, dB: +105.7 +108.5
    Dynamic range (A-weighted), dB: +113.8 +114.2
    DC offset, %: -0.00 -0.00




    THD + Noise (at -3 dB FS)

    thd.png


    Parameter Left Right
    THD, %: 0.0008 0.0033
    THD + Noise, %: 0.0013 0.0034
    THD + Noise (A-weighted), %: 0.0013 0.0045




    Intermodulation distortion

    imd.png


    Parameter Left Right
    IMD + Noise, %: 0.0017 0.0034
    IMD + Noise (A-weighted), %: 0.0014 0.0026




    Stereo crosstalk

    cross.png


    Parameter L <- R L -> R
    Crosstalk at 100 Hz, dB: -105 -104
    Crosstalk at 1 kHz, dB: -91 -95
    Crosstalk at 10 kHz, dB: -71 -76




    IMD (swept tones)

    imdswept.png


    Parameter Left Right
    IMD + Noise at 5 kHz, %: 0.0031 0.0048
    IMD + Noise at 10 kHz, %: 0.0055 0.0064
    IMD + Noise at 15 kHz, %: 0.0079 0.0083

    This report was generated by RightMark Audio Analyzer 5.5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Next
/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