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커뮤니티

AUDIOTRAK logo, are trademarks of GYROCOM C&C Co., LTD.
  • Q: [제품활용] [카드 공통] 플레이어(곰플레이어, 다음팟, KM 플레이어) passthrough 설정법(16.01.13)
    A:


    대표적인 플레이어(곰플레이어, 다음팟, KM 플레이어)에 맞는 AC3Filter를 이용한 passthrough 설정 법입니다.


    다운로드 : http://www.ac3filter.net/


    [5.1채널 테스트 파일 다운받기] ←  클릭



    1. AC3Filter를 통한 기본 설정.


    시작 -> 모든 프로그램 -> AC3Filter -> AC3Filter Config를 눌러주세요.


    팝업창이 뜨면 확인을 눌러주세요.


    아래와 같은 창이 뜨면 시스템에 들어가 언어를 변경해 주세요.

    (반드시 바꿔야 하는 건 아니므로 다음으로 넘어가셔도 됩니다.)


    3.png


    언어 설정이 끝나면 메인메뉴에서 출력 포맷 부분을 따라 해 주세요.


    1.png


    그다음 SPDIF 메뉴에서 그림과 같이 AC3, DTS, MPEG AUDIO를 체크해 주세요.


    2.png


    위 그림과 같이 설정 후 확인을 눌러주시면 AC3Filter 설정은 끝났습니다.



    2. 플레이어 설정법.


    [곰플레이어]


    AC3Filter를 설치하고 위에 나온 것처럼 따라 했다면 곰플레이어의 설정은 끝입니다.


    1.png


    AC3, DTS 파일을 재생하고 필터에 있는 AC3Filter를 눌러보면 아래와 같은 창이 뜹니다.

    아래 그림처럼 입, 출력 레벨이 안 올라간다면 passthrough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것입니다.


    2.png



    [KM 플레이어]


    이번에는 KM 플레이어 설정을 보겠습니다. 플레이어를 실행시킨 후 F2를 눌러 환경설정을 띄웁니다.

    외부 오디오 코덱에 있는 외부 코덱 사용자 정의를 눌러 시스템 코덱 추가 -> AC3Filter를 선택해 주세요.


    1.png


    2.png


    3.png


    그다음 외부 오디오 코덱에서 AC3, DTS Sound를 AC3Filter로 바꿔주세요.


    4.png


    마지막으로 '필터 우선순위 변경'을 선택 후 등록된 필터 추가를 눌러 AC3Filter를 추가 후 

    사용 조건을 강제 사용으로 체크해주시면 설정이 끝납니다.


    5.png


    6.png


    7.png



    [다음팟 플레이어]


    마지막으로 다음팟 플레이어 설정을 보도록 하겠습니다.


    다음팟 플레이어는 위 두 개의 플레이어와는 다르게 AC3Filter를 사용하지 않고 내장 코덱을 사용하여

    설정하도록 하겠습니다.


    F5를 눌러 환경 설정 창을 띄워주세요.

    소리 -> 내장 오디오 코덱 설정을 눌러주세요.


    1.png


    Pass Through(S/PDIF. HDMI) 항목에 'AC3 / DTS / DTS-HD' 항목을 그림과 같이 변경해주세요.


    2.png


    이것으로 다음팟 플레이어도 설정이 끝났습니다.


    이제는 보고자 하는 영화를 다운받아 광출력 passthrough 설정을 통해 5.1 채널로 영화를 감상하면 되겠습니다.


    단, 파일명 중 AC3, DTS라는 단어가 들어가 있지 않으면 이 설정을 하여도 5.1 채널로 출력되지 않으니 착오 없으시기 바랍니다.




  • Q: [제품활용] 다이렉트와이어 설정방법(내부녹음 및 스테레오믹스)
    A:
    다이렉트와이어 설정방법 및 NSP 사용 매뉴얼입니다.

    프로디지 7.1XT 처음사용자를 위한 초보사용자 위주의 설명입니다.(캡쳐화면은 프로디지 7.1LT를 기준으로 설명합니다)

    ※ 프로디지 7.1XT를 녹음용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반드시 프로디지 컨트롤패널 우측 상단의 'Q'로고를 눌러 흑백으로 비활성화시킨 상태인 프로디지 모드로 설정하고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제어판 → 사운드 및 오디오 장치 → 오디오 항목에서도 소리 재생과 소리 녹음의 기본 장치를 반드시 모두 'ProDigy 7.1 XT'로 설정하고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큐사운드 드라이버(QVE 96-24)는 게임에서의 사운드가속 등에 사용하는 에뮬레이션 드라이버이므로 녹음시에는 절대로 큐사운드 드라이버인 'QVE 96-24'로 설정하면 안 되니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 마이크나 라인인 등의 아날로그 입력을 녹음시

    음성채팅, 인터넷폰, 팀보이스, TV수신카드(아날로그) 녹화 등을 할 경우에는 아래와 같이 연결합니다.


    * 마우스로 드레그해서 연결하면 됩니다.


    ▶ 윈도우즈 내부재생음을 녹음시

    윈앰프재생을 비롯하여 인터넷 스트리밍 음악이나 동영상강의 등 인터넷 익스플로러에서 재생되는 스트리밍 사운드를 녹음시에는 아래와 같이 연결합니다.





    ▶ 아날로그 입력과 윈도우즈 내부재생음을 믹싱해서 녹음시

    인터넷 음악방송이나 인터넷 노래방 또는 MR 반주에 맞춰 보컬녹음을 할 경우에는 아래와 같이 스테레오 믹스 모드로 설정합니다.


    * 만일 인터넷 음악방송시 마이크 맨트를 할 때 상대방에서 틱틱하는 잡음이 들린다고 하거나 MR 반주에 맞춰 보컬녹음을 할 경우 틱틱하는 잡음이 나온다면 아래 링크의 방법을 참조하셔서 설정하시기 바랍니다.
    [ 스테레오 믹스 모드로 사용시에 틱틱하는 잡음이 나올 경우 ] ← 클릭
  • Q: [제품활용] 다이렉트와이어를 이용한 프로디지 마이크 에코효과 적용방법
    A:

    ▶ 마이크를 사용한 보컬녹음시 헤드폰 모니터링에만 이펙트를 적용하는 방법

    Spin Audio사의 NSP(Native Sound Processor) 프로그램과 VST 플러그인을 활용하여 마이크에 이펙트를 적용한 보컬녹음시에 헤드폰으로 모니터링되는 소리에만 음성보정을 위한 이펙트를 적용하고 실제 녹음에는 이펙트가 적용되지 않게 하는 방법입니다.

    우선, NSP 프로그램과 Free Plug-In 파일을 다운 받습니다.

     

     

    [NSP 설치프로그램] NSP.zip

     

    [Free Plug-In]  FreePlugIn.zip

     


    1. NSP를 실행한 후 SETUP → Routing을 눌러 아래의 그림과 동일하게 설정을 합니다.




    2. 첫번째 슬롯에는 헤드폰으로 모니터링되는 소리에만 음성보정을 위한 이펙트를 적용할 플러그인을 불러옵니다.


    * 상용 VST 플러그인 중에는 매우 뛰어난 고급기능을 사용할 수 있는 것도 있으므로 인터넷이나 PC-SPEAKER.COM 등에서 검색해서 활용해 보시기 바랍니다.


    3. 두번째 슬롯에는 실제 녹음에 적용되는 바이패스용으로 프리 플러그인 중 'Leveler'를 로딩합니다.


    * Leveler 의 경우 기본 게인값이 -6dB 이기 때문에 소리가 작을 수 있으므로 모두 0dB로 설정하시고, 그림에서 'Link'를 누르면 좌, 우 채널의 볼륨이 같이 조절됩니다.


    4. 프로디지 컨트롤패널에서 다이렉트 와이어 설정은 아래와 같이 하면 됩니다.


    * 보컬녹음만 한다면 위와 같이 연결하면 됩니다.

    * 보컬녹음시 재생되는 MR 반주와 믹싱을 할 경우에는 아래와 같이 연결합니다.



    5. 프로디지 컨트롤패널의 헤드폰 모니터링을 꺼 놓으면 7/8채널 헤드폰 출력에서는 이펙트가 적용된 소리가 나옵니다.


    * 1/2채널은 이펙트가 적용되지 않은 상태이므로 헤드폰 모니터링을 켜면 의미가 없게 되니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 녹음 후 재생을 해서 소리를 들어보면 이펙트가 적용되지 않고 녹음이 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재생시에는 프로디지 컨트롤패널의 헤드폰 모니터링 기능을 켜서 체크하시면 됩니다.

  • Q: [제품활용] MAYA EX5 AC3/DTS 아날로그 5.1ch 출력방법
    A:

    AC3/DTS 아날로그 5.1ch 소스를 감상하시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이 설정해주시기 바랍니다.

    센사우라 드라이버 설정 → Enable Filter을 체크해 주시기 바랍니다.


    setupsensaura.jpg


    큐사운드 드라이버 설정


    setupqsound.jpg


    AC3Filter 설정 초기화

    1.jpg


    위 그림과 같이 [시작] -> [모든프로그램] -> [AC3Filter] -> [Reset to Defaults] 를 클릭하여 코덱설정을 초기화 해주시기 바랍니다.

    AC3Filter 설정 클릭

    2.jpg


    위 그림과 같이 [시작] -> [모든프로그램] -> [AC3Filter] -> [AC3Filter Config] 를 클릭하여 설정화면으로 들어가시기 바랍니다.

    AC3Filter 설정하기

    3.jpg


    위 그림과 같이 [3/2+SW 5.1채널] 로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여기까지 설정하시면 5.1채널 동영상을 감상 하실수가 있습니다

  • Q: [제품활용] MAYA EX5 Windows 7에서의 아날로그 5.1 채널 가상 채널 확장 방법
    A:

    Windows 7 OS에서의 아날로그 5.1채널 스피커 사용시의 가상 채널 확장 방법을 소개해 드려 봅니다.

    우리가 듣고 있는 오디오 파일에는 2채널의 소스와 5.1채널의 소스가 있지요. 보통 음악이나 TVRip등의 동영상은 2채널이기 때문에 아무런 설정없이 바로 들을때에는 Front 출력에서만 소리가 출력 되게 됩니다. AC3, DTS와 같은 경우는 소스자체가 5.1채널을 지원하기에 동영상 소프트웨어에서의 채널 설정만 바꾸어 주시면 5.1채널로 감상이 가능 하게 됩니다.

    그렇기에 이럴때에는 Windows 7 운영체제에서 스피커 필이라는 기능을 적용 시켜 주시면 2채널의 소스를 5.1채널로 확장시켜 감상 하실수 있습니다.

    일단 스피커 필을 사용 하시려면 스피커 구성을 5.1채널로 바꾸어 주셔야 하는데요.

    Windows 7에서 제어판 → 하드웨어 및 소리 → 소리로 들어가셔서 아래 그림과 같이 스피커 클릭 후 마우스 오른쪽 키로 스피커 구성 메뉴로 들어가 주세요.


    1feel1.jpg


    5.1 서라운드 선택 후 다음을 선택해 주시구요. 아래 그림과 같이 설정을 진행해 주세요.

    1feel2.jpg

    1feel3.jpg

    1feel4.jpg

    1feel5.jpg


    위 그림과 같이 설정이 완료 되었다면 아날로그 5.1채널 설정은 완료 되었구요.


    지금 부터는 스피커 필 기능을 적용해 보겠습니다.

    아래 그림과 같이 속성 메뉴를 선택해 주시구요.

    1feel6.jpg


    속성을 클릭해 주신 후 고급 메뉴로 들어가서 스피커 필을 선택해 주시고 적용, 확인을 눌러 주시면 2채널의 소스 재생시 5.1채널로 확장이 가능하게 됩니다.

    1feel7.jpg


    지금 부터는 사운드카드에 프론티 리어 센터/우퍼 스피커를 연결해서 5.1채널로 나오는지 확인해 보시기 비랍니다.

  • Q: [제품활용] ASIO4ALL V2.9 사용하기 - 2
    A:

    보편적으로 많이 쓰이고 있는 Cubase SX 3.0버전에서의 ASIO4ALL을 이용한 드라이버 설정에 대해 알려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Cubase SX 3.0은 레코딩 작업이나 시퀀싱 작업시 고퀄리티의 이펙트를 제공하며 스튜디오에서도 많이 이용하고 있는 툴입니다. 맘같으면 이 프로그램도 링크 걸어드리고 싶지만 그럴수 없다는 점 이해해 주시고요. P2P 프로그램이나 공유 프로그램을 이용하시면 손쉽게 구할수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Cubase 설치후 메뉴에 보시면 Devices → Device Setup... 메뉴를 클릭해 주세요.

    cu1.jpg


    클릭해 보시면 아래와 같은 창이 생성 되는데 메뉴에 VST Audiobay를 클릭해신후 Master ASIO Driver를 ASIO4ALL v2로 선택해주시후 Switch를 클릭해 주세요.

    a4a3.jpg


    위 그림과 같이 설정후 Cubase종료후 다시 실행 하시면 아래 오른쪽 작업표시줄에 아래의 그림과 같이 아이콘이 생성이 됩니다.

    a4a2.jpg


    ASIO Buffer Size값과 Samplerate 값이 표시가 되며 아이콘을 실행해 주시면 ASIO4ALL의 컨트롤 패널이 생성됩니다.
    이창에서는 여러개의 WDM Device 사용시 ASIO드라이버를 적용시킬 장치를 선택하시거나 ASIO Buffer Size를 조절 하실수 있습니다.

    a4a4.jpg



    그리고 패널 오른쪽 하단의 Advanced Options를 클릭해 주시면 여러가지 조절을 하실수 있으니 사용하시는 환경에 따라 적용을 바꿔 보시며 자기 자신에 맞는 최적을 셋팅을 찾아보시기 바랍니다.^^

    a4a5.jpg


    이런식으로 설정해 주시면 ASIO 드라이버가 지원 되지 않는 사운드카드 에서도 Cubase를 문제없이 사용 가능 합니다. 

  • Q: [제품활용] ASIO4ALL V2.9 사용하기 - 1
    A:

    ASIO 드라이버가 지원 되지 않는 사운드카드에서도 안정적으로 ASIO 드라이버를 사용할수 있는 소프트웨어인 ASIO4ALL V2.9를 소개해 드릴까 합니다.

    PRODIGY CUBE, MAYA 5.1 MK-Ⅱ SERIES, DR.DAC2 제품들에서 ASIO드라이버를 이용 전문적인 레코딩툴이나 시퀀서로 MIDI작업이나 레코딩작업등 고퀄리티 음악작업등을 하실수 있습니다.

    ASIO4ALL V2.9 프로그램은 http://www.asio4all.com/ 에서 DOWN받으실수 있으며 소개해 드릴 버전은 올해 11월 15일날 업데이트된 2.9버전으로 예전 구버전보다 안정적으로 동작 하는것 같습니다. 그래도 혹시나 하는 마음에 다운받는 링크 주소도 아래에 알려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http://tippach.business.t-online.de/asio4all/ASIO4ALL_2_9_English.exe

    위에 드라이버를 다운 받으셨다면 아래의 그림과 같이 순서대로 진행 하시면서 드라이버를 설치해 보시기 바랍니다.

    설치 중간에 ReWuschel, off-Line Settings 선택해주는 부분이 있는데 ReWuschel는 Reason이라는 시퀀싱툴을 쓰실때 필요한 리와이어 기능이며 off-Line Settings는 ASIO드라이버를 사용하면서 드라이버 설정값 등을 따로 조절할수 있게 해주는 기능 이오니 필요 유무에 따라 설치해 주시기 바랍니다.

    저같은 경우 두가지 기능 다 필요 없다고 생각 하여 선택하지 않은 상태로 설치 하였습니다.  


    a4a1.jpg 

    이렇케 설치가 끝나셨다면 ASIO4ALL이 정상적으로 동작하실것 입니다. 다음편에는 보편적으로 많이 쓰고 있는 CUBASE SX 3.0에서 ASIO드라이버 설정에 대해서 알아 보도록 하겠습니다.

  • Q: [제품활용] [마야5.1시리즈] 리눅스 드라이버 설치 방법(예전자료 2001년)
    A:
    1. Backup the Config.in and Makefile in the sound driver directory
    (/usr/src/linux/driver/sound).

    -- 전에 있는 'Config.in' 과 'Makefile'를 백업합니다.


    2. Extract the tar file by 'tar xvzf cmpci-xx.tar.gz' in the above directory.

    --- <루트권한으로 이 디렉토리에다 모든 파일을 압축을 풉니다. 물론 덮어쓰기합니
    다.>


    3. Change directory to /usr/src/linux

    -- 위 디렉토리로 이동합니다. ---

    4. Config cm8338 driver by 'make menuconfig', 'make config' or
    'make xconfig' command.

    -- 'make menuconfig' 를 치면 메뉴가 뜨는데 아래부분에 가면 Sound 부분이 있는데
    그 곳 여러 사운드카드 종류가 있는데 Cmi 칩셋부분에 [m] 체크를 합니다. --< 중요 >
    >-- 그리고 나가시 전에 반드시 저장을 합니다.

    5. Please select Sound Card (CONFIG_SOUND=m) support and CMPCI driver (CONFIG_SO
    UND_CMPCI=m) as modules. Resident mode not tested.
    For driver option, please refer 'DRIVER PARAMETER'

    6. Compile the kernel if necessary.

    --< 필요하시면 커널 컴파일 시키는데 꼭 그럴 필요없습니다.

    7. Compile the modules by 'make modules'.

    --- 'make modules'를 쳐서 방금 사운드부분의 컴파일시킵니다. 시스템마다 틀리지만,
    조금 시간이 걸립니다.

    8. Install the modules by 'make modules_install'

    --- 그리고 나서 'make modules_install'를 하면 설치리스트 나옵니다.
    여기까지 modules 인스톨입니다.


    INSTALL DRIVER
    ================================================================================

    1. Before first time to run the driver, create module dependency by 'depmod -a'

    - 그대로 'depmod -a' 를 칩니다.

    2. To install the driver manually, enter 'modprobe cmpci'.

    - 그대로 'modprobe cmpci' 를 칩니다.

    3. Driver installation for various distributions:

    RedHat 6.0 and S.u.S.E. 6.1

    Add following command in /etc/con f.modules:

    alias char-major-14 cmpci

    -- /etc.conf.modules 의 편집하여 'alias char-major-14 cmpci' 라고 그대로 칩니다.
    그리고 나서 재부팅하여 Xwindows에 가셔서 XMS를 실행해보십시오.

    그러면 끊김없는 MP3을 연주를 들을 수 있을 겁니다..


    죄송하지만 현재 리눅스에 대해서는 고객지원을 하지 않고 있으니 양해해 주시기 바랍니다.
  • Q: [제품활용] [레코딩] 외부 음원없이 처음 미디를 사용하시는 분들은...
    A:
    외부 음원이 없는 상태에서 다른 패치리스트만을 등록 시키셔서 사용하시는 분들이 이러한 질문을 많이 하십니다.

    (예 : 롤랜드 JV1080, KORG KARAMA를 시퀀서에 패치리스트를 등록. 그러나 외장음원은 전혀 없는 상태.)
    (또 한 예로는 그 패치리스트를 "소프트 신디"로 착각 하시는 분들도 대다수입니다.)

    cakewalk. sonar, logic, cubase 등의 미디시퀀서 프로그램 등을 사용하시면서

    " 교재에서는 사운드카드만 있으면 소리가 난다고 합니다. 근데 기껏사고 설치를 했더니 소리가 나질 않는군요..'

    'cubase 에서 롤랜드의 xx를 install 했습니다. 근데 소리가 안나네요'

    일단 위에서 처럼 당사의 사운드카드에는 음원이 없습니다.(음원이 내장된 카드는 몇 개 되지 않습니다.)
    미디 인터페이스와 마스터 건반을 모두 연결해도 저 롤랜드의 해당악기 소리는 나오질 않습니다.
    그래도 미디 음이 재생되는 것은 초기 윈도우 설치시에 제공되는 GS WAVETABLE S/W SYNTH라는 것이 RAM으로
    로딩되어 GS방식의 음색만 나오게 되는 것입니다.

    또한 이것은 단순히 패치리스트 즉 텍스트로된 문서파일이거나 또는 문서파일을 컴파일한것이며,
    이것을 설치한다고 해도 음원이 없는 상태에서는 이 음색이 나오질 않습니다.

    미디를 처음 하시는 분들중 대부분이 " 이것이 소프트 신디가 아닙니까? " 라고 물어보시는데 이것은 절대로!!
    "소프트 신디" 가 아닙니다. 직원으로써, 관리자 이름을 걸고 말씀드립니다.

    정말 진짜 절대로 "소프트 신디" 가 아닙니다. 정말입니다.


    이것은 단순한 패치리스트 및 패치의 이름을 적어놓은 것에 불과합니다.
    ( 소프트 신디는 대부분 Vsti 나 DXi 등으로 되어있습니다.)

    상기에 명시한 음악 제작용 시퀀서 프로그램들은 악기들의 단순한 패치내임만을 제공하거나 사용자들이 만들어
    사용하게 됩니다.

    대부분의 패치리스트들은 시중에 널리 팔리거나 유명한 악기 제품들에 대하여 패치리스트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패치리스트는 단순한 텍스트에 불과하며 외장악기를 사용하시면서 손으로 외장악기를 일일이 사람이 컨트롤하고
    또는 악기의 매뉴얼을 보면서 숫자로 넘버링 하는 것보다 편리하게 하기위하여 텍스트 파일로 숫자를 요약하여 작성하여
    마우스 또는 컴퓨터 자판으로 편리하게 고를 수 있도록 해놓은 단순한 문자에 불과한 것입니다.

    이것을 마치 사운드카드가 있으면 이런 소리가 다 나와야 하는게 아닌가 하는 분들이 아주 많이들 계시는데 그것은 단순한
    텍스트 파일에 불과할 뿐입니다. 즉 그 해당음원이 있으셔야 정확한 재생이 됩니다.

    즉, 시퀀서에 악기 패치리스트를 선택하여 사용하셔도 제품명에 해당되는 악기 및 음원이 있으셔야 제대로된 소리가
    나오며(비싼 것은 정말 아주 비쌉니다. ), 다른 소리가 나오는 이유는 초기에 윈도우 설치시에 GS WAVETABLE
    S/W SYNTH라는 장치가 생겨나며 RAM으로 로딩되어 윈도우의 기본 미디 재생장치가 설정되기 때문입니다.

    기본적으로 GS 방식을 지원하기 때문에 음악 제작용 시퀀서에서 미디포트를 GS WAVETABLE S/W SYHTN로 설정하시면
    소리가 나오게 되며 GM 또는 GS의 음색을 지원합니다. WAV형식의 데이터가 이미 RAM으로 로딩이 되어있기 때문에
    재생이 가능한 것입니다.

    미디인터페이스는 말그대로 PC와 외장악기 및 신호를 연결해주는 매개체로 보셔야 하며, 마스터건반을 말그대로
    인식하시는 분들이 계신데. 모든 것을 마스터 할 수 있다는 것이 아닙니다. 절대로.!!!
    또한 마스터건반, 사운드카드, 미디인터이스 가 있다고 아무런 악기도 없는 상태에서 패치리스트를 작성하고 인스톨 한다고
    해도 그 해당악기 소리는 전혀 나오지가 않습니다.

    여기에 쓰인 마스터라는 의미는 외장 모듈과 신디사이저의 IN을 OUT포트에 연결하여 마스터 건반으로서 제어가 가능하다는
    의미에서 쓰입니다.

    위의 내용을 간단히 요약하지면,

    사운드 카드만 있다고 해서 프로그램에서 패치리스트를 설정하셔도 외부음원이나 선택한 악기들이 있으셔야 정확한 소리가
    나는것 이며, 이것은 절대로 소위 말하는 "소프트 신디"가 아니며 단순한 '패치 리스트" 일뿐입니다.

    해당하는 악기들을 미디인터페이스로 연결하셔야 합니다.
  • Q: [제품활용] EWDM 드라이버 설치 방법
    A:
    ▶ PRODIGY 7.1 LTM EWDM 드라이버 설치 방법

    1. 간단 설치
    다운받은 드라이버 파일을 적당한 폴더에 압축을 푼 다음 압축해제한 폴더 안에 있는 win32 폴더에서 Uninstall_32.exe 파일을 실행하여 'Update'를 누르면 드라이버가 자동으로 설치됩니다.

    2. 수동 설치
    다운받은 드라이버 파일을 적당한 폴더에 압축을 푼 다음, 시작 → 설정 → 제어판 → 시스템 → 하드웨어 → 장치 관리자에서 물음표로 표시된 '기타 장치' 항목의 '멀티미디어 오디오 컨트롤러'를 제거한 다음 시스템을 재시작하여 '새 하드웨어 발견' 메시지가 나오면 다운받은 파일을 압축을 해제한 폴더로 위치를 지정하여 드라이버를 설치를 진행하면 됩니다.


    ※ 드라이버 설치가 모두 완료되면 반드시 시스템을 재시작 하시기 바랍니다. 시스템 재시작 후 바탕화면 우측하단 시스템 트레이에 생성된 오디오트랙 아이콘을 눌러 컨트롤패널을 실행한 후 CONFIG 항목에서 Factory Default를 눌러 공장초기화를 시킨 후 사용하시면 됩니다.



    ▶ 윈도우에서 드라이버 설치 방법 및 기본적인 사용 방법

    부팅하여 '새 하드웨어 발견' 메시지가 나오면 아래의 순서를 따라 드라이버 설치를 진행하시면 됩니다.


    1.



    2.



    3.



    4. 압축을 해제한 폴더를 지정합니다.



    5.



    6.



    7.



    8. 드라이버 설치가 완료된 후 아래와 같은 컨트롤패널이 나오면 반드시 시스템을 재시작 하시기 바랍니다.



    9. 시스템 재시작 후에 바탕화면 우측하단 시스템 트레이에 생성된 오디오트랙 아이콘(빨간색)을 눌러 컨트롤패널을 실행한 후 CONFIG 항목에서 Factory Default를 눌러 공장초기화를 시킨 후 사용하시면 됩니다.
Board Pagination Prev 1 2 Next
/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