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디오트랙입니다.
마이크나 라인인 사용시 잡음이 나올 경우에는 아래와 같이 설정을 해 보시기 바랍니다.
NSP 라우팅 설정은 아래와 같이 합니다.
1번 슬롯과 2번 슬롯에 프리 플러그인 중 "Leveler"를 로딩합니다.
Leveler 의 경우 기본값은 -6dB 이기 때문에 소리가 작을 수 있으므로 모두 0dB로 설정하시고, 그림에서 "Link"를 누르면 좌, 우 채널의 볼륨이 같이 조절되며, 마이크 사용시에 에코효과를 주고자 할 경우에는 1번이나 2번 슬롯중 한 곳에는 Free Plug-In 중에서 "FreeverbToo15"를 불러오면 됩니다.
WDM 녹음이나 인터넷 음악방송시에 다이렉트 와이어 설정은 아래와 같이 하면 됩니다.
녹음은 하지 않고 스피커출력만 한다면 3번과 4번의 ASIO OUT → ASIO IN 연결만 놔두고 나머지 연결은 해지하셔도 됩니다.
안녕하세요? 오디오트랙입니다.
프로디지 7.1 LTM 내부 3핀 단자 핀배열입니다.
[2006년 게시물입니다]
안녕하세요? 오디오트랙입니다.
최근 TV에서 영화나 월드컵 방송 등을 시청하다 보면 TV화면 오른쪽 상단에 DD 5.1 이라고 표시되는 것을 보고 무조건 5.1채널로 나올 것으로 생각하시는 분들이 더러 계시는 듯 한데 아날로그 TV수신카드를 사용하고 계신 경우에는 디지털 HD방송의 5.1출력은 당연히 안 되며, 컴퓨터에서 디지털 HD방송을 수신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디지털 HDTV수신카드를 사용해야 하고 또한 디지털 방송수신가능지역에 거주하고 계셔야 가능합니다.
HDTV수신카드로 디지털 방송을 시청할 경우에는 윈도우즈 내부재생인 웨이브출력이므로 큐사운드 드라이버의 가상 5.1서라운드 기능인 QMSS기능이 동작하여 5.1출력이 되며 일반 아날로그 방송을 시청할 경우에는 외부 아날로그 오디오 입력신호를 라인입력 단자로 입력받아서 출력하므로 프론트 2채널만 출력됩니다.
프로디지 7.1XT / 프로디지 7.1LT / 프로디지 7.1 / 프로디지 192 사운드 카드의 경우 HDTV 수신카드로 일반 아날로그 방송을 시청하거나 또는 아날로그 TV수신카드을 사용시에는 아날로그 입력에 NSP 플러그인을 적용(프론트 채널을 다른 채널에 복제)하여 5.1출력을 하는 것이 가능은 합니다만 단순 채널 복제에 불과하므로 2채널과 다를바 없습니다.
그리고, 5.1채널을 지원하는 HD방송의 경우 TV수신 프로그램에서 5.1채널 돌비디지털 신호를 디코딩을 해줘야지만 사운드카드에서 5.1채널로 분리된 출력이 나옵니다.
TV수신 프로그램에서 5.1채널 돌비디지털 디코딩이 제대로 지원이 안 될 경우에는 일반 2채널 웨이브 출력으로 나오므로 이런 일반적인 2채널 웨이브 출력에 대해서는 큐사운드 드라이버의 가상 5.1 서라운드 기능인 QMSS 기능이 동작하여 5.1출력이 됩니다.
참고적으로 말씀드리자면, NVIDIA Pure Video Decoder를 지원하는 HDTV수신카드의 경우 엔비디아 홈페이지에서 5.1사운드패치를 다운받아 적용하면 NVIDIA Audio Decoder 가 적용되어 돌비디지털 신호의 5.1디코딩이 가능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저희쪽에서 체크해본 바에 따르면 NVIDIA Audio Decoder 지원목록에 포함되는 사운드카드가 아닐 경우 5.1디코딩이 제대로 지원되지 않는 것으로 나오며, NVIDIA Audio Decoder 버전이 업데이트 되거나 HDTV 수신카드 제조사에서 HDTV 수신카드의 드라이버에 5.1채널 돌비디지털 디코딩을 지원하는 필터를 적용한다면 컴퓨터용 HDTV 수신카드로도 DVD 재생시와 마찬가지로 제대로 된 돌비디지털 리얼5.1출력이 가능한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 FP_AUDIO 단자에 케이스 전면 오디오(AC97 단자) 케이블 연결 시 5, 6번과 9, 10번 핀에 꼽혀있는 점퍼를 빼고 연결하면 됩니다.(※ HD AUDIO 단자에 연결 시 사운드카드에 손상을 줄 수 있으니 반드시 AC97 단자에 연결하시기 바랍니다.)
연결 전 반드시 케이스 전면 오디오 연결 단자의 핀 배열이 위의 표와 일치하는지 확인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FP_AUDIO 단자는 Intel® 전면 패널 I/O 연결 설계 가이드에 따릅니다.
(메인보드 규격과 동일)
* 오디오트랙님에 의해서 게시물 이동되었습니다 (2006-06-21 14:10)
1. 외형 및 제품 구성물
제품의 구성물은 다음과 같습니다. 받으신 후 빠지신 제품이 있다면 당사의 고객지원센터로 연락주십시오.
1) 제품 본체 1개
2) 어댑터 1개 (220V용)
3) 스테레오 1:1 케이블 4개
4) 코엑시얼 to 스테레오 케이블 1개
5) 원형 광단자를 각형으로 컨버팅해주는 잭 1개
용어 설명
- 게인(GAIN) = 이득입니다. 간단하게 증폭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 dB = 음의 크기를 나타냅니다.
2. 제품의 각각 단자 설명
맥시마이저는 별도의 설정 없이 초기 값으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제품의 점퍼 설정은 가능한 하지 말아주십시오.
3. 입력 게인 설정 방법
입력 게인은 특히 조절할 일이 거의 없습니다. 혹시 모를 가능성에 대비하여, 넣어놓은 것입니다.
보통 사운드 카드 (프로디지 7.1, 프로디지 192, 6FIRE ) 등은 5~6V의 출력을 가지므로 이 점퍼를 0dB로
해놓는 것이 좋으나 프로 레코딩 카드의 경우는 출력이 15~18V에 이르는 경우가 있는데 이 경우 입력이
너무 커서 문제가 일어날 가능성이 높으므로 -3dB나 -6dB로 낮추어 입력을 받을 필요가 있습니다.
중요한 부분 중 하나인 7-8번 입력 단자는 S/PDIF IN(코엑시얼)을 받아 광출력으로 보내주는 기능을 가
지고 있습니다. 이 경우 맨 아래쪽으로 점퍼를 내려주시면 됩니다. 기본 값은 아날로그 입력으로 되어
있으므로 디지털을 출력하고자하는 경우는 반드시 이 부분을 맨 아래쪽으로 내려주시기 바랍니다.
4. 헤드폰 앰프 설정 방법
헤드폰 앰프 부분도 기본 값에서 거의 변경할 필요가 없습니다. 단 고임피던스 헤드폰 (150오음 이상)
을 사용하는 경우는 게인을 올려주십시오.
5. 출력 게인 설정 방법
출력 게인을 높혀주면 소리가 증폭됩니다. 기본 값은 0dB입니다. 조절하실 때는 두개의 점퍼를 똑같이 이동
시켜주시기 바랍니다.
많은 고객님들이 닥터앰프및 맥시마이져나 닥터헤드의 음색 튜닝을 위해 opamp를 교체 하시는데 opamp를 소켓에 장착시
방향성을 무시하시고 임의대로 꼽으시는 경우가 있습니다. 하지만 opamp를 소켓에 방향을 틀리게 꼽으시면 opamp는 물론
이요 제품자체에 이상을 줄수 있습니다. 꼭 아래 그림을 참고 하셔서 opamp의 글씨가 위로 하시고 왼쪽에 홈을 확인하셔서
꼽아 주시기 바랍니다.
다른 맥시마이져나 닥터헤드도 마찮가지로 모든 opamp 변경가능 소켓에는 옆면 한쪽에 홈이 패여 있습니다.
또한 opamp에도 이렇게 홈이 패여 있으니 이 홈부분을 서로 맞게 끔 꼽아 주시면 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