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커뮤니티

AUDIOTRAK logo, are trademarks of GYROCOM C&C Co., LTD.
  • Q: [제품활용] EEPROM 수정 및 윈도우 비스타(한글)에서의 드라이버 설치/사용 방법입니다.
    A:

    안녕하세요? 오디오트랙입니다.


    프로디지 HD2 전용 드라이버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JP4 점퍼를 ON 하시고 도스모드에서 EEPROM 수정을 해야 합니다. 프로디지 HD2 전용 드라이버를 설치하시기 전에 반드시 아래의 내용을 숙지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참고로 JP4 점퍼를 ON 하는 것과 EEPROM 수정을 하는 것의 순서는 상관없습니다.


    ▶ EEPROM 수정 방법

    아래의 링크를 눌러 다운받은 파일을 부팅용 플로피 디스켓에 압축을 풀고 도스로 부팅하여 실행하면 됩니다. (기존 프로디지 HD2 전용 드라이버를 사용중이신 경우에는 이미 EEPROM 수정을 하신 상태이므로 안 하셔도 되고, 구입하셔서 공장출고시의 기본상태로 비아 레퍼런스 드라이버를 사용하시는 경우에 해당합니다)

    [ PRODIGY HD2 EWDM EEPROM 다운받기 ] ←  클릭

    다운받은 EEPROM 파일을 부팅용 플로피 디스켓에 압축을 풀고 부팅시 플로피 디스켓(A: 드라이브)으로 부팅한 다음,
    EEPRWA.EXE 를 입력하고 엔터키를 누르면 EEPROM Writing 이 진행되며 정상적으로 완료되면 화면에 PASS 라고 표시됩니다.


    ▶ JP4 점퍼 설정 방법

    1. 컴퓨터 전원을 끈 후, 전원공급장치에 연결된 전원코드를 분리합니다.

    2. 컴퓨터 케이스를 열고 메인보드 PCI 슬롯에 꼽힌 프로디지 HD2 Gold 사운드카드를 슬롯에서 빼내어 아래 그림의 빨간색으로 표시된 JP4 점퍼를 ON 합니다. 즉 JP4의 아래쪽 핀에만 꽂혀있는 점퍼를 빼내어 위, 아래 양쪽 핀에 걸쳐서 꽂으면 ON 상태가 됩니다)


    ※ 주의 : EEPROM 수정 후에는 점퍼를 OFF 하지 마시고 ON 상태 그대로 놔두시기 바랍니다. 만일 EEPROM 수정 후에 점퍼를 다시 원래 위치로 되돌릴 경우에는 전용드라이버 설치 후 소리가 안 나오게 되니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 윈도우 비스타(한글) 드라이버 설치 방법

    EEPROM 수정작업과 JP4 점퍼를 ON 하신 후에 윈도우 비스타로 부팅하여 '새 하드웨어 발견' 메시지가 나오면 아래의 순서를 따라 드라이버 설치를 진행하시면 됩니다.


    1.



    2.



    3.



    4. 압축을 해제한 폴더를 지정합니다.



    5.



    6.



    7.



    8.



    9. 드라이버 설치가 완료된 후 아래와 같은 컨트롤패널이 나오면 반드시 시스템을 재시작 하시기 바랍니다.



    시스템 재시작 후에 바탕화면 우측하단 시스템 트레이에 생성된 오디오트랙 아이콘을 눌러 컨트롤패널을 실행한 후 CONFIG 항목에서 Factory Default를 눌러 공장초기화를 시킨 후 사용하시면 됩니다.



    10. 컨트롤패널 → CONFIG → MME Panel을 누르면 아래와 같은 윈도우즈 MME Console이 나옵니다.


    ▶ 사운드 출력 기본장치는 아날로그 출력 모드인 스피커 - Prodigy HD2입니다. 패스쓰루 디지털출력을 사용할 경우에는 사운드 출력 기본장치를 디지털 - Prodigy HD2로 설정하시고 곰플레이어나 KMPlayer 등의 동영상 재생플레이어 → 환경설정에서 사운드 출력장치는 Default WaveOut Device로 설정하면 됩니다.

    ▶ 사운드 출력을 큐사운드 모드로 사용하려면 아래와 같이 스피커 - QVE for Prodigy HD2 (WDM)을 선택하시고  기본값으로 설정(S)을 누르면 됩니다.


    ▶ 사운드 출력 기본장치를 큐사운드 모드인 스피커 - QVE for Prodigy HD2(WDM)로 설정하면 아래와 같이 큐사운드 설정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 64비트 운영체제인 Vista x64 및 Windows XP 64bit Edition에서는 QSound 지원이 안 되니 이용에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3D effect에 체크하고 음악을 재생하면 자동으로 QXpander 기능이 동작합니다.

    * QSizzle에 체크하면 고음의 스펙트럼을, QRumble에 체크하면 중저음 대역의 스펙트럼을 강조합니다.

    * Normalizer에 체크하면 소리의 최소출력과 최대출력의 레벨을 자동으로 조절하여 급격한 소리크기의 변화를 줄여줍니다.

    * 큐사운드 모드에서 제공되는 10밴드 이퀄라이져를 사용하면 특정대역의 스펙트럼을 강조할 수 있습니다.




    ▶ 13. PRODIGY HD2 Gold의 경우 지원되는 아날로그 입력(LINE-IN 또는 AUX-IN)을 사용하려면 프로디지 컨트롤패널 → CONFIG → Input Monitor 항목에서 Ana In → Ana Out을 선택하면 됩니다.


    Ana In → Ana Out을 선택하면 아날로그 입력을 아날로그 출력(RCA 출력, 헤드폰 출력)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Ana In → Dig Out을 선택하면 아날로그 입력을 디지털 출력(광출력)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 PRODIGY HD2 Gold의 라인인 단자로 입력된 아날로그 신호는 추가 장착된 AD칩을 거쳐 디지털로 변환되어 메인컨트롤러 칩으로 디지털 입력받도록 되어 있는데, 이와 같은 디지털 입력 모드에서는 입력게인의 조절이 안 되므로 아날로그 출력(RCA, 헤드폰)으로 사용시에는 마스터 볼륨으로 조절하시거나 스피커 볼륨으로 조절하시면 되고 디지털출력(광출력)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디코더의 리모컨으로 볼륨을 조절하시면 됩니다. TV수신카드 사용시에는 TV수신 프로그램 → 환경설정 → 사운드(오디오) 항목에서 마스터 볼륨으로 설정하시면 됩니다.

    * PRODIGY HD2의 아날로그 입력인 내부 AUX-IN 단자와 외부 LINE-IN 단자는 동시에 사용은 안 되므로 내부 AUX-IN 단자를 사용시에는 외부 LINE-IN 단자에 다른 기기가 연결되어 있을 경우에는 케이블 연결을 해지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다이렉트 와이어 설정 방법

    ☞ PRODIGY HD2는 아래와 같이 다이렉트 와이어 설정으로 녹음이나 인터넷 음악방송(윈앰방송) 등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① 윈도우에서 재생중인 음악을 녹음하거나 인터넷 스트리밍 송출시 WDM OUT → WDM IN

    ② LINE-IN 단자로 입력받은 외부 아날로그 입력신호를 녹음하거나 인터넷 스트리밍으로 송출시 INPUT → WDM IN

    ③ foobar2000 ASIO 출력으로 음악을 재생하여 윈앰방송으로 인터넷 스트리밍 송출시 ASIO OUT → WDM IN



    ▶ 보다 자세한 컨트롤패널과 다이렉트 와이어 설정은 아래 컨트롤패널 설정 매뉴얼을 다운받아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 PRODIGY HD2 전용 드라이버용 컨트롤패널 설정 매뉴얼 다운받기 ] ←  클릭

    ※ 어도비 리더를 설치해야 볼 수 있습니다.

    [ Adobe Reader 다운받기 ] ←  클릭
  • Q: [자주하는 질문] 인터넷 라디오(KBS Kong)를 5.1채널 Dolby Digital 출력으로 듣는 방법 - 디코더 내장형 스피커나 A/V 리시버 사용시
    A:
    안녕하세요? 오디오트랙입니다.

    아래는 인터넷 라디오 청취시 AC3Filter의 Dolby Encoding 기능을 사용하여 5.1채널 Dolby Digital 출력으로 활용하는 방법에 대한 설명입니다.

    ※ KBS Kong의 경우 정상적으로 패스쓰루가 되나 MBC mini의 경우 패스쓰루가 안 되고 PCM 출력만 되는 것을 확인하였습니다.(KBS Kong의 경우 재생 샘플링레이트가 48,000Hz로 AC3 포맷과 일치하지만 MBC mini의 경우 방송용 포맷인 32,000Hz인 관계로 패스쓰루가 안 되는 것임)

    ※ 디지털 출력으로 디코더 내장형 스피커나 A/V 리시버 사용시에 해당하며, 이미 방법을 알고 계신 분들께서는 읽으실 필요가 없습니다.


    1. 아래 링크를 클릭하여 AC3Filter를 다운받아 설치한 후,

    [AC3Filter 1.01a RC5 다운받기] ←  클릭

    ※ AC3Filter는 아날로그 출력이나 디지털 출력시 모두 사용이 가능하며, 통합코덱이나 필수코덱 또는 ffdshow, nero 코덱 등이 설치되어 있을 경우에는 반드시 제어판 → 프로그램 추가/제거 에서 언인스톨 시키고 재부팅한 다음 설치하시기 바랍니다.


    2. 시작 → 프로그램 → AC3Filter → AC3Filter Config를 누르거나 시작 → 설정 → 제어판 → AC3 Filter를 눌러 AC3Filter를 단독으로 실행하면 아래와 같은 "OFFLINE" 상태임을 표시하는 문구가 먼저 뜹니다.


    "확인"을 누르면 아래와 같은 등록 정보(AC3Filter 설정) 화면이 나옵니다.

    3. 인터넷 라디오는 2채널 출력이지만 아래와 같이 Output을 "3/2+SW 5.1 channel"로 설정하면 AC3Filter에서 5.1채널로 확장하여 출력이 가능하며, 디코더 내장형 스피커나 A/V 리시버로 디지털 출력을 사용하려면 아래와 같이 "SPDIF" 항목에 체크하면 됩니다.



    4. Mixer 항목에서 아래와 같이 체크하면 AC3Filter에 내장된 Matrix 기능으로 5.1확장이 됩니다.

    - Auto gain control에 체크하면 소리의 최소출력과 최대출력의 레벨을 자동으로 조절하여 급격한 소리크기의 변화를 줄여줍니다. - Normalize matrix도 Auto gain control과 유사한 기능을 합니다.
    - Voice control에 체크하면 음성 대역폭에 해당하는 소리를 센터채널로 출력합니다.
    - Expand stereo에 체크하면 프론트 채널의 출력을 리어 채널로 확장하여 출력합니다.


    5. System 항목에서는 AC3Filter에 적용시킬 포맷과 디지털 출력시의 패스쓰루 옵션 적용 여부를 설정합니다.



    ▶ 아래는 AC3Filter의 Matrix 기능으로 5.1채널 확장이 되어 아날로그 5.1출력으로 사용중인 상태입니다.


    ※ AC3Filter의 디지털 출력(SPDIF) 옵션에 체크하지 않은 상태이므로 컨트롤패널 → OUTPUT 항목에서 아날로그 5.1출력으로 나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디지털 출력은 프론트채널에 해당하는 데이터만 PCM 출력됩니다.


    ▶ 아래는 디지털 출력(SPDIF) 옵션에 체크하여 2채널 PCM 출력에 해당하는 인터넷 라디오 재생이 AC3Filter에서 5.1채널로 확장되어 Dolby Digital로 인코딩 된 다음 5.1채널 압축 데이터 즉 패스쓰루 데이터가 디지털출력되고 있는 상태입니다.


    ※ 위와 같이 패스쓰루 데이터의 디지털출력시에는 디코더 표시창에 "Dolby Digital"이라고 표시되며, 사운드카드 출력은 AC3로 인코딩 된 패스쓰루 압축데이터가 나가는 것이므로 컨트롤패널 → OUTPUT 항목에서 아날로그 출력은 자동으로 OFF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 Q: [자주하는 질문] [참고] 마이크 사용시 잡음이 나올 경우
    A:


    안녕하세요? 오디오트랙입니다.

    마이크나 라인인 사용시 잡음이 나올 경우에는 아래와 같이 설정을 해 보시기 바랍니다.


    NSP 라우팅 설정은 아래와 같이 합니다.



    1번 슬롯과 2번 슬롯에 프리 플러그인 중 "Leveler"를 로딩합니다.

    Leveler 의 경우 기본값은 -6dB 이기 때문에 소리가 작을 수 있으므로 모두 0dB로 설정하시고, 그림에서 "Link"를 누르면 좌, 우 채널의 볼륨이 같이 조절되며, 마이크 사용시에 에코효과를 주고자 할 경우에는 1번이나 2번 슬롯중 한 곳에는 Free Plug-In 중에서 "FreeverbToo15"를 불러오면 됩니다.



    WDM 녹음이나 인터넷 음악방송시에 다이렉트 와이어 설정은 아래와 같이 하면 됩니다.



    녹음은 하지 않고 스피커출력만 한다면 3번과 4번의 ASIO OUT → ASIO IN 연결만 놔두고 나머지 연결은 해지하셔도 됩니다.

  • Q: [제품활용] 프로디지 7.1 LTM 내부 3핀 단자 핀배열 (프로디지 7.1LT / 5.1LT / 7.1 구형 포함)
    A:

    안녕하세요? 오디오트랙입니다.


    프로디지 7.1 LTM 내부 3핀 단자 핀배열입니다.

    prodigy_3pin.jpg


    프로디지 7.1LTM과 프로디지 7.1LT / 5.1LT 핀배열은 동일하며,

    프로디지 7.1(구형)의 경우도 아날로그 출력 내부 3핀 단자를 모두 갖추고 있기 때문에 케이스 전면의 헤드폰 단자로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prodigy71.jpg
    ① 마이크 입력 (분홍색)
    ② 라인 입력 (파란색)
    ③ 프론트 출력 (연두색)
    ④ 리어 출력 (연두색)
    ⑤ 센터/우퍼 출력 (연두색)
    ⑥ 백서라운드 출력 (연두색)
    ⑦ 코엑시얼(S/PDIF) 입력 (가운데 부분이 빨간색)
    ⑧ 코엑시얼(S/PDIF) 출력 (가운데 부분이 검정색)
    ⑨ CD-IN 1
    ⑩ CD-IN 2
    ⑪ AUX-IN
    ⑫ CD-DIGITAL IN


    위 그림에서 ③번 프론트 출력 단자 옆에 있는 내부 3핀 단자를 케이스 전면의 헤드폰 단자로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①번 마이크 입력에 해당하는 내부 3핀 단자는 아래 FP_AUDIO 단자 연결 케이블에서 1번핀(MIC)과  3번핀(MIC BIAS) 두개의 핀만 연결하면 됩니다.


    아래 그림은 오디오트랙 마야 5.1MK-II POS(또는 LTX)와 일반적인 메인보드에서 지원하고 있는 FP_AUDIO 단자인데,

    케이스의 전면패널 연결용 케이블을 보면 이것과 동일한 각각의 핀 배열이 표기되어 있습니다.

    프로디지 7.1 프론트 출력 내부 3핀 단자에서 LEFT는 아래 그림에서 9번에 해당하고 RIGHT는 5번, GND는 2번입니다.

    바늘이나 핀셋같은 표족한 것으로 세개의 케이블만 빼내어 프로디지 7.1 프론트 출력 내부 3핀 단자에 연결하시면 됩니다.

    fp_audio1.jpg
  • Q: [제품활용] 음악감상시 스피커 배치 및 OPAMP 조합
    A:

    ☞ 스피커 배치

    유닛 사이즈가 비교적 큰 중형 스피커나 트위터/미들레인지/우퍼 유닛을 모두 모두 갖춘 톨보이형 스피커의 경우 좌, 우 양쪽에서 저·중·고 전대역에 이르는 모든 음을 고르게 출력해 주므로 하이파이 음감시에 밸런스가 잘 맞는 소리를 들을 수 있는데 반해, 주로 중·고음 위주로 출력하는 위성스피커와 120~150Hz 이하의 낮은 대역의 소리만 출력하는 우퍼스피커로 구성된 2.1채널 스피커의 경우 일반적으로 우퍼는 책상 밑에 두고 좌, 우 위성스피커는 모니터 양쪽에 배치하게 되는 경우가 많은데 이런 스피커 배치 상태에서는 청취자와 스피커의 거리가 가깝게 되면 중저음은 아래에서 퍼지고 위성스피커는 청취자의 귀와 가까운 곳에 일직선상에 위치하게 되어 음악감상시 고음역이 부각되어 들리게 되므로 다소 쏘는 듯한 소리로 느낄 수가 있어 유닛 사이즈가 비교적 작은 소형 PC스피커나 2.1채널 스피커를 사용할 경우 청음의 질을 떨어뜨리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비교적 저렴한 가격대의 소형 PC스피커를 사용할 경우에는 스피커와 청취자 사이의 거리를 적절히 확보하여 주시고, 2.1채널 스피커 사용자의 경우에는 우퍼스피커의 위치를 변경하여(책상 위로 올린다던가) 위성스피커와의 위상차이를 줄여주는 등 스피커 배치를 적절히 잘 해 주신다면 고역에서 귀에 부담을 주는 듯한 느낌이 훨씬 덜하게 되어 저·중·고 전대역의 소리가 모두 고르게 들릴 것입니다.


    ☞ OPAMP 조합

    프로디지 HD2의 아날로그 출력은 HiFi Audio에서 채용되는 기술인 FDO(Full Differential Output)의 Triple OPAMP 회로구성을 적용하여 전 대역의 재생능력 및 해상도를 아주 뛰어나게 해 주는 설계방식으로 주로 고가의 HiFi 앰프 & 스피커 시스템과 매칭시에 효과가 극대화되는 설계입니다.



    그림에서 ①번과 ②번 OPAMP소켓에 기본으로 장착되는 두개의 OPA2134는 좌, 우 채널의 신호를 따로따로 개별적으로 처리하며,③번 OPAMP소켓에 기본으로 장착되는 JRC5532는 최종출력에 해당하는데 가장 이상적인 OPAMP 조합은 공장출고시의 기본세팅이라고 할 수 있으며, 프로디지 HD2의 최종출력용 OPAMP인 ③번의 OPAMP소켓에 장착된 JRC5532를 제거하더라도 회로구성에서 보면 문제가 될 부분은 전혀 없으므로 사용하시는 장비와의 매칭여부 등을 따져보면서 최종출력용 OPAMP를 장착한 상태에서 사용하셔도 되고 제거하고 사용하셔도 됩니다. 참고로, 최종출력용 OPAMP를 제거한 상태에서는 음감시에 출력게인이 약간 줄어들게 되므로 적절한 수준의 음량확보를 위해 스피커 볼륨을 최종출력용 OPAMP를 장착했을때 보다 조금 더 올려주시면 됩니다.

    파코즈 오디오포럼이나 PC-SPEAKER.COM 사용기 란에 등록된 프로디지 HD2 사용기 중에 프로디지 HD2의 최종출력용 OPAMP인 JRC5532를 빼고 청음시에 소리가 많이 부드러워졌다는 내용의 글들을 볼 수 있는데, Triple OPAMP 회로구성에서 최종출력용 OPAMP의 증폭&필터링 역할이 바이패스되므로 일반 북쉘프 사이즈의 스피커에서는 음감시 부드러운 느낌을 받을 수 있는 것이며, 비교적 고가의 하이파이 시스템이나 톨보이형 스피커 등에 물려서 사용할 경우 최종출력용 OPAMP를 제거하게 되면 출력게인이 약간 낮아지고 고역에서 섬세하게 뻗어주는 느낌과 중저역에서 박력감 있게 밀어주는 느낌이 조금 줄어들 수 있으므로 사용하시는 장비가 비교적 고가의 하이파이급이라면 가급적 최종출력용 OPAMP를 제거하지 말고 그냥 장착한 상태에서 사용하시는 것이 디테일한 음악감상에 있어 보다 유리하다고 말씀드릴 수 있겠습니다.
  • Q: [제품활용] TV수신카드 사용시 5.1채널 출력에 관하여...
    A:

    [2006년 게시물입니다]


    안녕하세요? 오디오트랙입니다.

    최근 TV에서 영화나 월드컵 방송 등을 시청하다 보면 TV화면 오른쪽 상단에 DD 5.1 이라고 표시되는 것을 보고 무조건 5.1채널로 나올 것으로 생각하시는 분들이 더러 계시는 듯 한데 아날로그 TV수신카드를 사용하고 계신 경우에는 디지털 HD방송의 5.1출력은 당연히 안 되며, 컴퓨터에서 디지털 HD방송을 수신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디지털 HDTV수신카드를 사용해야 하고 또한 디지털 방송수신가능지역에 거주하고 계셔야 가능합니다.

    HDTV수신카드로 디지털 방송을 시청할 경우에는 윈도우즈 내부재생인 웨이브출력이므로 큐사운드 드라이버의 가상 5.1서라운드 기능인 QMSS기능이 동작하여 5.1출력이 되며 일반 아날로그 방송을 시청할 경우에는 외부 아날로그 오디오 입력신호를 라인입력 단자로 입력받아서 출력하므로 프론트 2채널만 출력됩니다.

    프로디지 7.1XT / 프로디지 7.1LT / 프로디지 7.1 / 프로디지 192 사운드 카드의 경우 HDTV 수신카드로 일반 아날로그 방송을 시청하거나 또는 아날로그 TV수신카드을 사용시에는 아날로그 입력에 NSP 플러그인을 적용(프론트 채널을 다른 채널에 복제)하여 5.1출력을 하는 것이 가능은 합니다만 단순 채널 복제에 불과하므로 2채널과 다를바 없습니다.

    그리고, 5.1채널을 지원하는 HD방송의 경우 TV수신 프로그램에서 5.1채널 돌비디지털 신호를 디코딩을 해줘야지만 사운드카드에서 5.1채널로 분리된 출력이 나옵니다.

    TV수신 프로그램에서 5.1채널 돌비디지털 디코딩이 제대로 지원이 안 될 경우에는 일반 2채널 웨이브 출력으로 나오므로 이런 일반적인 2채널 웨이브 출력에 대해서는 큐사운드 드라이버의 가상 5.1 서라운드 기능인 QMSS 기능이 동작하여 5.1출력이 됩니다.

    참고적으로 말씀드리자면, NVIDIA Pure Video Decoder를 지원하는 HDTV수신카드의 경우 엔비디아 홈페이지에서 5.1사운드패치를 다운받아 적용하면 NVIDIA Audio Decoder 가 적용되어 돌비디지털 신호의 5.1디코딩이 가능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저희쪽에서 체크해본 바에 따르면 NVIDIA Audio Decoder 지원목록에 포함되는 사운드카드가 아닐 경우 5.1디코딩이 제대로 지원되지 않는 것으로 나오며, NVIDIA Audio Decoder 버전이 업데이트 되거나 HDTV 수신카드 제조사에서 HDTV 수신카드의 드라이버에 5.1채널 돌비디지털 디코딩을 지원하는 필터를 적용한다면 컴퓨터용 HDTV 수신카드로도 DVD 재생시와 마찬가지로 제대로 된 돌비디지털 리얼5.1출력이 가능한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 Q: [자주하는 질문] [참고] 프로디지 7.1XT 와 기존 프로디지 제품과의 비교 및 비아 레퍼런스 드라이버를 사용하는 제품과의 차이점
    A:

    안녕하세요. 오디오트랙입니다.

    오디오트랙 전용 드라이버를 사용하는 프로디지 7.1XT(Made In Korea) 와 비아 레퍼런스 드라이버를 사용하는 일부 외산 브랜드 제품과의 차이점을 정리하였습니다.

    ● Optical/Coaxial(광/동축) 디지털 입/출력 지원
    프로디지 7.1XT 의 디지털 입력은 ASIO 2.0 및 WDM 레코딩과 실시간 아날로그/디지털 모니터링이 가능하며, 옵티컬(광) 및 코엑시얼(동축) 디지털 입력(24bit/96kHz) 및 디지털 출력(24bit/192kHz)을 모두 지원합니다.

    특히, 프로디지 7.1XT 에서 제공하는 디지털 입력에 대해 클럭을 표시해 주는 기능은 고가의 전문 레코딩 기기에서나 지원하는 기능입니다.

    ● 프론트 출력에 고성능 프리앰프 채용 / 헤드폰 출력에 고출력 고품질 헤드폰 앰프 내장
    프로디지 7.1XT 의 아날로그 출력부에 OPA2134(프론트채널) 및 JRC5532(헤드폰출력)를 채용하여 음질향상과 더불어 고임피던스 헤드폰(AKG K240DF/600오옴)도 완벽하게 구동이 가능하며 소켓방식으로 되어있어 OPAMP의 교체가 가능하도록 설계되었습니다.(닥터헤드 하이파이의 회로가 사용됨)

    ● 완전히 새롭게 바뀐 보드 설계 / 대폭 업그레이드된 전원부 구성 / PNK 회로 채용
    프로디지 7.1XT는 메인보드 상에서 발생하는 노이즈를 근본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필터링 기술인 PNK(PCI Noise Killer) 회로를 자체적으로 설계하여 적용하였으며, 디지털 및 아날로그 회로부에 안정적인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Part 별로 전용의 레귤레이터 및 대용량 콘덴서를 채용하였습니다. 또한, 디지털 출력단에 보호회로인 ESD 다이오드 및 트랜스를 탑재하여 안정성과 내구성 모두를 프로 오디오 카드 수준까지 끌어 올렸습니다. 그 밖에 라인입력과 마이크입력을 24Bit/96KHz CODEC에서 다이렉트로 입력받도록 하여 아날로그 외부 입력시 유입될 수 있는 노이즈를 최소화하였으며, 안티-팝 회로 장착으로 컴퓨터 전원 ON/OFF시 발생할 수 있는 노이즈 또한 최소화시켰습니다.

    ● ASIO 2.0, GSIF 2.0, DirectWIRE 3.0 드라이버 지원 / 고음질 인터넷 음악 방송 지원
    특히, 비아 레퍼런스 드라이버를 사용하는 일부 수입제품의 경우 녹음믹서 부재로 인해 윈앰방송마저도 지원하지 못 하는 반면, 프로디지 7.1XT오디오트랙 전용 드라이버를 사용하므로 ASIO 2.0 및 GSIF 2.0 을 기본으로 지원하는 것은 물론 입출력을 디지털 라우팅하는 세계특허 기술인 DirectWIRE 방식을 사용하므로 윈앰방송시에 스테레오믹스 방식보다 훨씬 뛰어난 음질로 방송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 풀버전의 QSOUND 드라이버 제공
    그리고, 기본 드라이버와 함께 제공되는 큐사운드 드라이버의 경우 프로디지 제품에는 풀버전의 큐사운드 드라이버가 라이센스가 되어 있어(비아 레퍼런스 드라이버의 큐사운드 드라이버는 풀버전 아님) 큐사운드 가상 써라운드 기능인 QMSS 기능 외에도 QSizzle, QRumble, Normalizer 등 큐사운드의 모든 기능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 마이크 입력에 프리앰프 탑재
    마이크 입력단에 마이크 프리앰프(JRC4580) 탑재로 2단계 증폭 회로(20dB Gain)를 구성하여 초 저잡음을 실현함으로써 보이스 레코딩(보컬녹음)이나 인터넷 노래방, 인터넷 음악방송(윈앰방송), 메신저 폰 사용, 음성채팅 시에 최고의 성능을 보여주며, +5V전원을 사용하는 콘덴서 마이크 및 다이내믹 방식의 마이크, 헤드셋, 핀마이크 등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그밖에, 기존 프로디지 제품들과의 차이점을 정리하면,

    프로디지 7.1 의 경우 ASIO 2.0 레코딩이 가능한 디지털 입력(코엑시얼만 지원)을 지원하며(실시간 아날로그 모니터링 안 됨),

    프로디지 7.1 LT 는 슬림컴퓨터에서 사용이 가능하며, 디지털 입력은 CD Digital In 단자로 들어온 S/PDIF 신호를 광/코엑시얼 출력단자로 패스아웃만 가능하며 레코딩 및 실시간 모니터링은 지원하지 않습니다.

    프로디지 192 에 디지털 입력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옵션카드인 "MI/ODI/O" 가 필요합니다.

    위의 세가지 제품과 프로디지 7.1XT과 가장 크게 차이나는 점만 정리해 보자면,

    1. 프로디지 7.1XT광(Optical)/동축(Coaxial) 방식의 디지털 입/출력을 자체적으로 모두 지원하며,

    입력받은 디지털신호에 대해 레코딩(윈도우즈 WDM 녹음과 ASIO 녹음) 및 스피커로의 출력(프론트)과 디지털 모니터링을 모두 지원합니다.

    2. 프로디지 7.1XT 의 프론트 출력에는 오디오트랙의 프리앰프 제품인 맥시마이저의 회로가 사용되었으며,

    3. 프로디지 7.1XT 의 헤드폰 출력에는 오디오트랙의 헤드폰 앰프 제품인 닥터헤드 하이파이의 회로가 사용되었습니다.

    그러므로, 프로디지 7.1XT 에는 MI/ODI/O 의 디지털 입력기능 + 맥시마이저의 프리앰프 기능 + 닥터헤드 하이파이의 헤드폰 앰프 기능이 모두 포함되어 있는 것입니다.

    이상, 제품구입에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고맙습니다.
  • Q: [자주하는 질문] 웨이브볼륨이 0 으로 떨어져 있어 소리가 작게 들릴때
    A:
    안녕하세요. 오디오트랙입니다.

    아래 설명은 하드웨어 가속을 지원하는 모든 사운드 카드에 해당되는 내용입니다.


    재생장치에서 사운드 볼륨을 제어하는 방식에는 다이렉트 사운드 출력과 웨이브 아웃 방식이 있습니다.

    다이렉트 사운드 출력의 경우는 재생 소프트웨어에 따라 독립적으로 볼륨조절이 되지만 웨이브 아웃 방식은 독립적인 볼륨조절이 안 되므로 특정 재생소프트웨어에서 웨이브 볼륨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전체적인 윈도우의 볼륨이 영향을 받게 됩니다.

    인터넷 익스플로러에 링크된 음악이나 동영상(Streaming Media), 플래시 게임 등은 기본적으로 윈도우 미디어 플레이어에 연동되어 있으므로 윈도우 미디어 플레이어의 사운드 출력장치를 "DirectSound Out"으로 설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또한 사운드 설정이 "웨이브 아웃"으로 설정되어 있을 경우에는 시스템 자원을 많이 사용하게 되어 소리가 끊기거나 잡음의 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 윈앰프나 곰플레이어, KMPLAYER, 아드레날린, 기타 동영상이나 MP3 등의 음악파일을 재생하는 모든 재생플레이어 및 프로그램의 사운드 옵션에서 "다이렉트 사운드 장치"로 설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 다이렉트 사운드 장치로 설정하는 법

    미디어 플레이어 => 도구 => 옵션 => DVD => 고급 을 누르고 아래와 같이 설정하시기 바랍니다.




    (시작 => 제어판 => AC3Filter Config 를 눌러도 되고, 시작 => 프로그램 => AC3Filter => AC3Filter Config 를 눌러도 됩니다)


    윈앰프의 경우,
    Options => Preferences => Plug-ins => Output => DirectSound ouput => Configure => "QVE 96-24" 또는 "Prodigy 7.1 LT"로 설정하시기 바랍니다.

    제트오디오의 경우,
    Preferences (Ctrl + P)=> Advanced => Output => Config => Use DirectSound => "QVE 96-24" 또는 "Prodigy 7.1 LT"로 설정하시기 바랍니다.

    곰플레이어의 경우, 환경 설정(F5) => 소리 => 출력 장치 => "DirectSound: QVE 96-24" 또는 "DirectSound: Prodigy 7.1 LT"로 설정하시기 바랍니다.


    AC3Filter 가 설치되어 있지 않을 경우 아래 링크를 눌러 AC3Filter 를 설치하시기 바랍니다.

    [AC3Filter 1.45b 다운받기] ←  클릭

    만일, 통합코덱이나 필수코덱 등이 설치되어 있다면, 제어판 => 프로그램 추가/제거 에서 언인스톨시킨 후 재부팅한 다음 설치하시기 바랍니다.

    고맙습니다.
  • Q: [자주하는 질문] 프로디지 192 v5.40 드라이버 큐사운드 모드에서 소리가 안 날때
    A:
    안녕하세요. 오디오트랙입니다.

    프로디지 192 v5.40 큐사운드 드라이버 설치 후 큐사운드 모드에서 소리가 안 나오는 증상이 있는 분들께서는 아래의 방법대로 실행하면 큐사운드 모드로 적용시 소리가 날 것입니다.

    일단 윈도우 탐색기를 열고 windows => inf 폴더에서 파일명이 oem으로 시작하는 파일들을 삭제한 후,

    제어판 => 시스템 => 장치관리자 => 사운드, 비디오 및 게임 콘트롤러 => QVE for Prodigy 192 (WDM) => 우측버튼 누르고 "드라이버 업데이트"을 눌러 아래의 순서대로 진행한 후 재부팅하시기 바랍니다.



                                                      



                                                      



                                                      



                                                      



                                                      



                                                      

    ※ "찾아보기"를 눌러서 다운받은 5.40 드라이버를 압축해제한 폴더를 지정합니다.



                                                      



                                                      



                                                      



    "마침"을 눌러 컴퓨터를 재시작하시기 바랍니다.


    프로디지 콘솔에서 지정한 드라이버 모드보다 재생 프로그램에서 지정한 디바이스가 우선권을 가지므로,

    큐사운드 모드에서 정상적으로 소리가 나오는지 체크하려면 반드시 윈앰프나 곰플레이어 등의 환경설정에서 "QVE for Prodigy 192"로 적용한 상태에서 확인하여 보시기 바랍니다.

    프로디지 콘솔에서 Q 버튼을 눌러 큐사운드 모드로 설정하였더라도 재생플레이어의 환경설정에서 장치설정이 "QVE for Prodigy 192" 로 설정되어 있지 않을 경우에는 큐사운드 드라이버가 적용되지 않으므로 반드시 아래 윈앰프처럼 재생장치를 "QVE for Prodigy 192" 로 설정하시기 바랍니다.




    ※ 아래와 같이 메인보드에 내장된 온보드 사운드 장치 또는 "주 사운드 드라이버" 로 설정되어 있으면 소리가 나지 않습니다.



  • Q: [제품활용] TV수신카드 등의 라인입력을 5.1 채널로 출력하는 방법
    A:
    안녕하세요. 오디오트랙입니다.

    최근 HDTV 보급이 늘어남과 동시에 주당 HD방송 편성횟수도 점점 늘고 있고 HD 방송의 수신가능 지역도 점차 확대됨에 따라 컴퓨터에 HDTV 수신카드를 장착하여 비교적 저렴한 비용의 지출로 HDTV를 보고자 하는 사례가 많아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HD 방송의 수신불가 지역에 거주하는 분들이나 SBS, KBS, MBC, EBS를 제외한 케이블 채널 방송의 경우 HDTV 수신카드라도 여전히 아날로그 방송을 볼 수 밖에 없습니다.


    TV수신카드 등에서 프로디지의 라인입력으로 들어온 아날로그 입력 신호는 기본적으로 프론트 2채널에서만 출력됩니다.

    허나 NSP 를 사용하여 아날로그 입력을 5.1채널이나 7.1채널로 출력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 이미 방법을 알고 계신 분들께서는 읽으실 필요가 없습니다.


    NSP를 실행한 다음 SETUP → Routing을 눌러 아래 그림과 같이 설정을 합니다.

    nsp03.jpg

    Config의 'S'는 스테레오, 'M'은 모노를 의미합니다.

    Input 항목에서는 슬롯 1번과 2번, 3번을 동일하게 'Prodigy 7.1 LT In-0 & In-1'로 설정하며,

    Output channel 항목에서는 슬롯 1번은 'Prodigy 7.1 LT 0 & Prodigy 7.1 LT 1'로 설정하고,

    슬롯 2번은 'Prodigy 7.1 LT 2 & Prodigy 7.1 LT 3'으로,

    슬롯 3번은 'Prodigy 7.1 LT 4 & Prodigy 7.1 LT 5'로 설정합니다.


    라우팅 설정이 끝났다면 아래 그림과 같이 첫번째 슬롯과 두번째 슬롯 및 세번째 슬롯에 Free Plug-In 중에서 'Leveler'를 불러온 후 Start를 누릅니다.

    leveler001.jpg

    ☞ 위의 그림에서 'Link'를 누르면 좌, 우 볼륨이 같이 조절됩니다.


    프로디지 콘솔에서 다이렉트 와이어 설정은 아래 그림과 같이 하면 됩니다.

    directwire02.jpg


    프로디지 라인입력으로 신호가 들어오면 아래 그림과 같이 프론트채널과 리어채널 및 센터/우퍼채널에서 레벨이 움직이며 아날로그 5.1채널 출력이 됩니다.

    consol03.jpg
  • Q: [자주하는 질문] FP_AUDIO : 케이스 전면 오디오 연결단자 설명
    A:



    ※ FP_AUDIO 단자에 케이스 전면 오디오(AC97 단자) 케이블 연결 시 5, 6번과 9, 10번 핀에 꼽혀있는 점퍼를 빼고 연결하면 됩니다.(※ HD AUDIO 단자에 연결 시 사운드카드에 손상을 줄 수 있으니 반드시 AC97 단자에 연결하시기 바랍니다.)

    연결 전 반드시 케이스 전면 오디오 연결 단자의 핀 배열이 위의 표와 일치하는지 확인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FP_AUDIO 단자는 Intel® 전면 패널 I/O 연결 설계 가이드에 따릅니다.
      (메인보드 규격과 동일)

    * 오디오트랙님에 의해서 게시물 이동되었습니다 (2006-06-21 14:10)

  • Q: [제품활용] 맥시마이저 점퍼 세팅 방법, 사용법
    A:
    안녕하세요? 오디오트랙입니다.


    맥시마이저의 간단한 사용 방법입니다.

    1. 외형 및 제품 구성물

    제품의 구성물은 다음과 같습니다. 받으신 후 빠지신 제품이 있다면 당사의 고객지원센터로 연락주십시오.

    1) 제품 본체 1개
    2) 어댑터 1개 (220V용)
    3) 스테레오 1:1 케이블 4개
    4) 코엑시얼 to 스테레오 케이블 1개
    5) 원형 광단자를 각형으로 컨버팅해주는 잭 1개


     


    용어 설명

    - 게인(GAIN) = 이득입니다.  간단하게 증폭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 dB = 음의 크기를 나타냅니다.
     

    2. 제품의 각각 단자 설명

    맥시마이저는 별도의 설정 없이 초기 값으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제품의 점퍼 설정은 가능한 하지 말아주십시오.


     


    3. 입력 게인 설정 방법

    입력 게인은 특히 조절할 일이 거의 없습니다.  혹시 모를 가능성에 대비하여, 넣어놓은 것입니다.  

    보통 사운드 카드 (프로디지 7.1, 프로디지 192, 6FIRE ) 등은 5~6V의 출력을 가지므로 이 점퍼를 0dB로
    해놓는 것이 좋으나 프로 레코딩 카드의 경우는 출력이 15~18V에 이르는 경우가 있는데 이 경우 입력이
    너무 커서 문제가 일어날 가능성이 높으므로 -3dB나 -6dB로 낮추어 입력을 받을 필요가 있습니다.

    중요한 부분 중 하나인 7-8번 입력 단자는 S/PDIF IN(코엑시얼)을 받아 광출력으로 보내주는 기능을 가
    지고 있습니다.  이 경우 맨 아래쪽으로 점퍼를 내려주시면 됩니다. 기본 값은 아날로그 입력으로 되어
    있으므로 디지털을 출력하고자하는 경우는 반드시 이 부분을 맨 아래쪽으로 내려주시기 바랍니다.


     


    4. 헤드폰 앰프 설정 방법

    헤드폰 앰프 부분도 기본 값에서 거의 변경할 필요가 없습니다.  단 고임피던스 헤드폰 (150오음 이상)
    을 사용하는 경우는 게인을 올려주십시오.


     


    5. 출력 게인 설정 방법

    출력 게인을 높혀주면 소리가 증폭됩니다.  기본 값은 0dB입니다.  조절하실 때는 두개의 점퍼를 똑같이 이동
    시켜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meta></meta></meta></meta>
  • Q: [제품활용] [공통] opamp 교체시 주의사항
    A:


    많은 고객님들이 닥터앰프및 맥시마이져나 닥터헤드의 음색 튜닝을 위해 opamp를 교체 하시는데 opamp를 소켓에 장착시
    방향성을 무시하시고 임의대로 꼽으시는 경우가 있습니다. 하지만 opamp를 소켓에 방향을 틀리게 꼽으시면 opamp는 물론
    이요 제품자체에 이상을 줄수 있습니다. 꼭 아래 그림을 참고 하셔서 opamp의 글씨가 위로 하시고 왼쪽에 홈을 확인하셔서
    꼽아 주시기 바랍니다.

    dramp-img12.gifdramp-img11.gif

    다른 맥시마이져나 닥터헤드도 마찮가지로 모든 opamp 변경가능 소켓에는 옆면 한쪽에 홈이 패여 있습니다.
    또한 opamp에도 이렇게 홈이 패여 있으니 이 홈부분을 서로 맞게 끔 꼽아 주시면 됩니다.

    감사합니다.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Next
/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