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품명 : | 마야 u5 |
---|---|
OS 및 서비스팩 버전 : | window10 64bit |
시리얼 넘버 : | ATSAM19E01005 |
예 답변 잘받았습니다만... 만족스러운 답변을 못받아 다시한번 쓰게 되었습니다.
0. 일단 이어폰을 마야 u5 Front 부분에 이어폰을 꽂았습니다. 헤드셋부분에 꽂으면 이어폰 자체내에서 잡음이 들리기 때문입니다. 그 후 마이크는 line in 과 헤드셋사이에있는 마이크단자에 꽂았습니다. 그외에 꽂은건 하나도 없습니다.
0-1. 무언가 잘못 이해시킨것 같습니다만. 이어폰만 들으면 잡음이 따로 들리지않습니다.
마이크를 사용하려고 녹음하거나 제 목소리가 어떻게 들리는지 확인하기위해 이 장치로 듣기로 실시간 확인 하고 있을 뿐인데 노이즈가 들려와서 귀아프기 시작한게 문제인것입니다.
마이크 조절로 50퍼로 해놓으면 아주 약하게 거슬릴정도만 들리긴 합니다. 본체에 꽂았을떄도 이렇기 때문에 내부 오디오 카드로는 더이상 해결 방법이 없다 생각했고 방법을 찾기 시작한겁니다. 또한 이것을 사고 방법을 찾았던 초반에 썼을땐 100인 상태에서도 노이즈가 없었기 때문에 문제점을 찾기 시작한 것입니다.
1.하드웨어 모니터링 이란것에 대한건 제대로 알 지 못했으므로 공부가 되었습니다. 답변 하신것을 보았습니다만. 이미 이전에 쓰신것을 확인하기위해 불필요한 부분은 다 끄라는것을 보았기 때문에 녹음이라는 부분에 있는것 중 Microphone 이라 적힌것 외엔 다 껐습니다. Microphone부분을 끄지 않은것은 저것이 마이크 역활을 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마이크 녹음하려고 하는데 막상 마이크로 나오는 부분을 음소거 해버리면 아무 소용이 없게 되지 않습니까?
혹시 몰라서 녹음 누른다음에 들을땐 끄고 녹음된걸 재생시켜보았지만 여전히 잡음자체도 같이 녹음이 되었습니다.
3. 증폭이 AGC라 쓰인것과 같다는건 잠깐 체크해본걸로도 알고 있습니다. 당연하게 킨적이 전혀 한번도 없으며, 처음 노이즈 들렸을때 이것부터 확인했습니다. 한번도 킨 적 없으며, 체크 풀려있는걸 제대로 확인 한 상태였습니다.
4. front, headphone 단자를 통해 노이즈가 들리는듯 하게 이해하시게 한 점은 죄송합니다. 제가 말씀드리고 싶었던것은 녹음 프로그램으로 녹음한 뒤 들었을때 잡음이 들린다는것이었습니다. 다행이 디코로 연결했을땐 잡음이 안들어가는것 같다는것은
제 컴퓨터로 녹음할땐 들리는 잡음이 상대방한테 수신할땐 같이 들리지 않는것 같아 보여 다행이다 라고 한 점입니다.
5. 녹음방식에 대해 다시한번 이해에 도움이 될 까 싶어 말씀드리지만, 기본적으로 녹음부분은 Microphone 부분외엔 모두 사용불가능으로 해놓았습니다.
5-1 Microphone 부분을 아예 쓰지 못하게 해놨더니 마이크가 안잡힌다며 아예 녹음이 안되었습니다.
5-2 Microphone 부분을 킨 뒤 마이크를 뺀상태서 녹음해도 잡음이 들렸습니다.
5-3 Microphone 부분을 킨 뒤 마이크 꽂고 말을 했을때도 녹음이 같이 잡혔습니다.
5-4 이 장치로 듣기 켰기때문인가 싶어 체크 푼뒤 3번과 4번 반복해도 잡음이 녹음되었습니다.
5-5 혹시몰라 Front 이어폰마저 뺸뒤 3번과 4번 반복해도 잡음이 녹음되었습니다.
5-6 혹시몰라 소리 나는 부분을 모니터서 나는것 외엔 다 사용 불가능 해놓은뒤 3번 4번 반복해 녹음하였으나 잡음이 녹음이 되었습니다.
6. 알려주신곳은 이미 읽어 본 적이 있습니다만. 마이크 자체는 다른곳에 꽂아도 문제가 없습니다. 저가형도 아니고요.
심지어 처음에 잡음이 없는 상태로 잘 사용하고 있었습니다. 접지문제는 어떻게 확인하는지 몰라서 대충 찾아본걸로 본체에 손을 얹으면 달라지는것이 있다고 들었는데 잘 모르겠군요. 전혀 달라지는 부분을 모르겠어서요. 이점에 참고할 만한것을 알려주시면 감사합니다.
부디 제 의문점이 해결될 방법을 찾아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이러해도 제가 중구난방으로 쓴듯 보인다면 다시 말씀해주시면 다시 설명을 쓰겠습니다.
원격으로 도움을 요청하시기 전에 왜 처음에 안 들리던 노이즈가 어느날부터 갑자기 들리게 되었는지에 대해 의문을 갖고 접근을 해 보실 필요가 있을 것 같은데요, 어떤 문제가 생겼을 때 흔히 '소거법'으로 해결하는 것이 가장 쉽고 보편적인 방법이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소거법이란?
: 문제해결의 방식으로, 문제발생의 원인을 순서대로 제거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문제발생의 원인으로 가장 의심되는 요소 부터 순서를 정해서 차근차근 제거하다 보면 어느 순간 결과에 도달하여 문제가 해결될 수 있습니다.
"이어폰만 들으면 잡음이 따로 들리지않습니다."
--> 접지가 잘 되어 있는 컴퓨터라면 원래 마이크나 라인인 단자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잡음이 거의 들리지 않는 것이 지극히 정상입니다 ^^
"마이크를 사용하려고 녹음하거나 제 목소리가 어떻게 들리는지 확인하기위해 이 장치로 듣기로 실시간 확인 하고 있을 뿐인데 노이즈가 들려와서 귀아프기 시작한게 문제인것입니다. 마이크 조절로 50퍼로 해놓으면 아주 약하게 거슬릴정도만 들리긴 합니다. 본체에 꽂았을떄도 이렇기 때문에 내부 오디오 카드로는 더이상 해결 방법이 없다 생각했고 방법을 찾기 시작한겁니다. 또한 이것을 사고 방법을 찾았던 초반에 썼을땐 100인 상태에서도 노이즈가 없었기 때문에 문제점을 찾기 시작한 것입니다."
고음질 음악감상용 2채널 사운드카드인 프로디지 HD2의 경우 마이크 단자를 아예 없앰으로 외부 노이즈 유입을 완전히 차단하며, 인풋 모니터링 기능을 없애고 고성능 마이크 증폭 회로를 채용한 프로디지 CUBE의 경우 고음질 마이크 녹음 기능을 제공합니다.
프로디지 HD2나 프로디지 CUBE와 다르게 MAYA U5의 경우 마이크, 라인인, 스테레오 믹스 녹음 기능을 지원하기 때문에 인터넷방송(음악방송, 유튜브방송, 아프리카TV 방송, 게임방송 등), 마이크 녹음, 음성 채팅 등을 할 수 있는데요, 당연하게도 마이크를 활성화 한 상태에서는 외부 노이즈 유입은 필연적으로 동반됩니다.
즉 셋팅이나 환경에 따라서 정도의 차이만 있을 뿐 외부 노이즈 유입 없이 마이크를 사용할 수 있는 사운드카드는 없고요, 환경셋팅(접지 등)이나 사운드설정만 잘 하면 외부 노이즈 유입을 최소화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처음 사용할 때는 노이즈가 없었는데 어느 순간부터 갑자기 노이즈가 들리기 시작했다면 뭔가 설정을 잘 못 만졌거나 마이크 사용환경에 어떠한 변화가 발생한 것이므로 처음 노이즈가 없던 당시와 동일하게 모든 설정 및 환경을 초기화 해 보시기 바랍니다.
마이크 사용환경 세팅 및 윈도우 사운드 설정과 관련하여 뭘 어떻게 잘 못 건드린 후 부터 노이즈가 시작되었는지는 사용자 본인만 알 수 있기 때문에 이런 경우 도움을 받을 수 있는 부분은 많지 않습니다.
"마이크 녹음하려고 하는데 막상 마이크로 나오는 부분을 음소거 해버리면 아무 소용이 없게 되지 않습니까?"
--> '마이크 녹음'을 하는 경우에는 윈도우 10 - 사운드 제어판 - 녹음 - 마이크(Microphone MAYA U5)를 기본 장치로 설정하므로 재생 - 스피커 - 속성 - 수준 탭의 인풋 모니터링을 활성화를 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불필요한 외부 노이즈 유입 방지를 위해 스피커 속성 - 수준 탭에서 Microphone 항목의 음소거에 체크하고 마이크 녹음을 하면 된다는 뜻입니다.
마이크 사용시 노이즈가 들리는 경우 아래 유튜브 영상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YDKuyGjh3mo
그리고 아래 주의 사항 꼼꼼히 읽어 보시고 이해하기 어려운 부분이 있다면 원격으로 도와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마이크 녹음시 주의 사항 !!
1. Microphone - 속성 - 수준 탭에서 인풋게인을 적절히 조절하세요. 인풋게인을 과도하게 올릴 경우 잡음이 커질 수 있습니다.
2. 마이크 입력 감도가 낮은 경우에는 인풋게인을 올리는 것 보다 마이크를 입에 좀 더 가까이 대고 사용하는 것이 잡음이 훨씬 적게 들어갑니다.
3. 마이크 사용시 잡음이 녹음된다면 AGC를 끄세요. AGC를 켜면 마이크 소리만 커지는게 아니라 잡음까지 증폭됩니다.
4. 마이크 녹음시에는 '이 장치로 듣기'에 체크하지 마세요. '이 장치로 듣기'에 체크하면 스피커에서 나온 소리가 마이크로 재입력되어 잡음이 커질 수 있으니 '이 장치로 듣기'에 체크하고 잡음 들린다면 '이 장치로 듣기'에 체크하지 마세요 !!
https://audiotrack.co.kr/kr/question/227709
5. 마이크 녹음시에는 스피커 - 속성 - 수준 탭에서 인풋 모니터링을 켜지 마세요. 인풋 모니터링을 켜놓고 마이크 녹음을 하게 되면 마이크 녹음시 불필요한 노이즈가 유입되거나 피드팩 현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https://audiotrack.co.kr/kr/question/225720
원격으로 도움을 요청하시려면 서비스센터로 전화 주시면 됩니다 ^^
기술상담 ☎ 032-876-9420
최근 윈도우10 운영체제가 업데이트 되면서 보안설정에서 네이트온 원격지원이 막혔으므로
인터넷 검색 -> 애니데스크 anydesk 실행하시고 전화주세요
[ 원격이 도저히 곤란한 상황일 경우 자가진단 및 해결 방법 ]
일단 MAYA U5를 제외한 컴퓨터에 연결된 다른 USB 장치는 모두 제거한 상태에서
1. 윈도우 10 - 사운드 제어판 - 재생 - 재생 장치 목록에서 '스피커 MAYA U5'가 기본값으로 설정되어 있는지 확인하세요.
2. 기본값으로 설정된 '스피커 MAYA U5'를 제외한 사용하지 않는 다른 모든 장치를 마우스 우클릭 --> '사용 안 함' 하세요.
3. 재생 - 스피커 MAYA U5 - 고급 - 기본 형식에서 공유 모드 샘플레이트를 16비트, 44100Hz로 설정하세요. (매우 중요 !!)
4. 윈도우 10 - 사운드 제어판 - 녹음 - 녹음 장치 목록에 등록된 마이크(Microphone MAYA U5), 라인인, 스테레오 믹스, Spdif Rx 중에서 마이크(Microphone MAYA U5) 이외에는 모두 마우스 우클릭 --> '사용 안 함' 하세요.
5. 녹음 - 마이크(Microphone MAYA U5)를 기본 장치로 설정하세요.
6. 녹음 - 마이크(Microphone MAYA U5) - 속성 - 고급 - 기본 형식에서 공유 모드 샘플레이트를 16비트, 44100Hz로 설정하세요. (매우 중요 !!)
만일 재생 장치와 녹음 장치의 샘플레이트 설정을 모두 최대값으로 적용하게 되면 USB 대역폭이 초과되어 장치가 먹통이 되거나 소리출력이 안 나오게 되므로 재생 장치와 녹음 장치가 동시에 작동하는 Full Duplex 모드에서는 USB 대역폭이 초과되지 않도록 샘플레이트 설정을 16비트, 44100Hz로 적용하면 되고, 스피커와 마이크 이외의 사용하지 않는 다른 장치는 모두 마우스 우클릭 -> '사용 안 함' 하면 되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마이크 소리를 스피커로 듣고 싶을 경우 - 인풋 모니터링 기능 사용 방법 ]
1. 아래 스샷처럼 녹음에서 마이크 입력 신호가 정상적으로 들어오는 것이 확인되었다면
2. 재생 탭에서 '스피커 MAYA U5'를 기본 값으로 설정하고 속성을 누릅니다.
3. 스피커 속성 - 수준 탭에서 Microphone 항목의 음소거 체크를 해제하고 모니터링 볼륨을 적절히 올려 주면 마이크에 입력된 소리 신호가 스피커로 나오게 됩니다.
※ 아프리카TV, 유튜브 방송 및 세이캐스트, 인라이브 등의 음악방송이나 게임방송 등을 하는 경우에는 윈도우 재생음과 마이크 맨트를 믹싱하는 '스테레오 믹스'를 녹음장치 기본값으로 설정하는데요, '스테레오 믹스'를 녹음장치 기본값으로 설정시에는 '모니터링 볼륨'으로 마이크 신호가 '스테레오 믹스' 녹음장치로 전달됩니다.
즉 '스테레오 믹스' 녹음 믹서를 사용해서 인터넷 방송(게임방송, 음악방송 등)을 하는 것의 기본 원리는 '내가 듣는 소리를 녹음 믹서에서 상대방으로 송출하는 것'입니다.
'스테레오 믹스' 규격을 지원하는 하드웨어 코덱 칩셋(AC'97 코덱, HD Audio 코덱)의 내부에서 '아날로그 신호'를 믹싱하는 처리를 하는데요, '아날로그 신호'란 윈도우 재생음, 마이크, 라인인을 뜻합니다.
스테레오 믹서를 다른 말로 '아날로그 믹서' 또는 '들리는 소리'라고도 하는데요, 내가 듣는 소리(윈도우 재생음, 마이크, 라인인)를 코덱칩셋에서 믹싱하여 녹음하는 것을 '스테레오 믹스'라고 합니다.
따라서 '마이크 녹음'을 하는 경우에는 윈도우 10 - 사운드 제어판 - 녹음 - 마이크(Microphone MAYA U5)를 기본 장치로 설정하므로 인풋 모니터링을 활성화를 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불필요한 외부 노이즈 유입 방지를 위해 스피커 속성 - 수준 탭에서 Microphone 항목의 음소거에 체크하고 마이크 녹음을 하면 됩니다.
한줄 요약
: 마이크 음량을 줄여보시고 마이크 증폭을 끈 상태에서 체크해 보시기 바랍니다. 위 방법으로 해결 되지 않을 경우 저희가 안내 드릴 수 있는 별다른 해결책은 없으므로 노이즈가 없던 처음의 상태로 환경셋팅을 초기화 하면 해결될 겁니다.
원격으로 도와 드리도록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