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고객지원

AUDIOTRAK logo, are trademarks of GYROCOM C&C Co., LTD.

04

2019-Dec

드디어 dr.dac3 구매했습니다.

작성자: 금귀 조회 수: 308

제품명 : dr.dac3 
OS 및 서비스팩 버전 : 윈도우10 

신제품 나오길 기다렸지만 다른게시글 댓글에 예정없다는 글 보고 그냥 질렀네요.

배그하는데 이제품 샀다고하면 이상하게 생각하겠지만 너무 궁금하네요

어쨋든 opamp 교체하면 소리가 달라진다고 하는데 게임소리와도 연관있나요? 

해상도가 가장 좋은 opamp는 뭐가있을까요?


그리고 usb3.0은 제대로 동작 안할수도 있나요?

profile

service

2019.12.05 11:14



OPAMP에 대해 궁금하신 부분은 아래 링크내용 꼼꼼히 읽어 보시면 명쾌하게 이해될 겁니다 ^^


https://audiotrack.co.kr/kr/question/184579


https://audiotrack.co.kr/kr/question/220257


https://audiotrack.co.kr/kr/question/224722


https://audiotrack.co.kr/kr/question/225273




USB 3.0 관련하여 혹시라도 문제가 있는 메인보드의 경우 USB 오디오 호환성이 가장 좋은 NEC 컨트롤러 사용을 적극 권장합니다.


http://prod.danawa.com/list/?cate=11316924



NEXT-305NEC

http://prod.danawa.com/info/?pcode=1686003


NEXT-405NEC

http://prod.danawa.com/info/?pcode=8563880


NEXT-407NEC

http://prod.danawa.com/info/?pcode=9397149




아래는 2017년 작성된 자료입니다.


- USB 오디오와 USB 3.0 호환성 총정리 편 -



[ 서두 ]


USB 3.0 포트에 USB 오디오기기 연결시 잡음이나 인식오류 등의 문제가 발생할 경우 USB 오디오기기 문제로 잘 못 판단하여 불필요한 A/S 접수 및 컴플레인을 제기하는 경우가 많은데요, 실제로는 인텔 및 일부 서드파티 칩셋 제조사의 기술적인 결함 및 패치 지연 등이 문제의 원인이라는 것이 확인된 사실이지만 USB 인터페이스와 관련하여 전문지식이 없는 일반 사용자 레벨에서는 특정 분야에 대한 기술적인 이해가 전반적으로 부족할 수도 있고 경험적인 지식 수준에서 알고 있는 만큼만 납득하여 오판하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문제 발생 원인을 시스템적인 부분(인텔 USB 3.0 오류 등)에서 유추하기 보다는 USB 오디오 제품의 결함이나 하자를 의심하기 쉽습니다. 이에 소비자 분들이 불필요한 시행착오로 인한 스트레스와 불편을 더 이상 겪지 않도록 일반 사용자 수준에서 충분히 이해하기 쉽게 USB 오디오장치 사용시 발생할 수 있는 각종 트러블의 원인과 해결방법에 대하여 검증된 내용을 바탕으로 수집된 자료와 USB 3.0 컨트롤러 제조사 리스트 등을 정리하였습니다.





[ 인텔 USB 3.0 오작동의 원인과 해결 방법 ]

인텔 USB 3.0 오류의 원인  <--  링크 클릭



USB 오디오장치를 메인보드(인텔) USB 3.0 포트에 연결시 오작동하는 원인은 위 링크에 자세히 설명되어 있듯이 USB 전송 규격 중 Isolated Transfer Mode에서 인텔 칩셋의 전송 블럭 중 블럭 끝의 몇 비트가 손실되는 심각한 오류로 인한 것이 핵심내용이며, 이와 같은 인텔 데스크탑 메인보드에서 발생하는 USB 오디오장치 오작동 문제의 경우 호환성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알려진 NEC/Renesas 컨트롤러를 채용한 확장카드(PCI Express)를 사용하는 것으로 간단히 해결되지만 인텔칩셋을 장착한 랩탑이나 맥북 등의 경우 NEC/Renesas 확장카드를 사용하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하기 때문에 해결이 쉽지 않고 Intel xHCI 옵션을 Disable 설정하여 USB 2.0으로 사용하거나 인텔칩셋 패치 업데이트만이 유일한 해결책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 USB Audio Class ]


USB Audio Device는 USB Audio Class 표준에 의해 설계 및 제조되며, 지원스펙에 따라 UAC 1.0과 UAC 2.0으로 분류됩니다.




● USB Audio Class 1.0 (1998, USB Full Speed / 12Mbps)


- UAC 1.0의 지원 스펙은 최대 24bit 96kHz, 드라이버는 윈도우 XP이상이면 운영체제에 기본 포함




● USB Audio Class 2.0 (2009, USB High Speed / 480Mbps)


- UAC 2.0의 지원 스펙은 컨트롤러에 따라 최대 24bit 192kHz ~ 32bit 384kHz(간혹 지원스펙에 최대 768kHz까지 명시된 제품도 있음)


- USB Audio Class 2.0 드라이버는 OSX 10.6.4 이상 그리고 리눅스 및 안드로이드 운영체제에서 지원되며, Windows 10 Creator Updates(레드스톤2)에서 USB Audio Class 2.0 지원 시작

Windows 10 Creator Updates


- 2017년 현재 제조 유통되는 USB 오디오 제품은 모두 UAC 1.0 / UAC 2.0 스펙이며, USB Audio Class 3.0 제품은 없음


※ 주의 : USB 3.0과 혼동하지 말 것. 간혹 단자만 USB 3.0인 제품도 있지만 실제로는 UAC 2.0 칩셋이므로 의미 없음


※ USB-IF에서 USB Type-C™를 사용하는 USB 오디오규격만 공개(2016년 9월)된 상태

USB 오디오 디바이스 클래스 3.0(USB Audio Device Class 3.0) 규격




[ USB 스펙 ]


- USB(Universal Serial Bus) 스펙은 아래 링크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USB(Universal Serial Bus) 스펙

USB-IF(USB Implementers Forum)


USB 2.0 Full Speed / 12Mbps --> USB Audio Class 1.0 에 대응



USB 2.0 High Speed / 480Mbps --> USB Audio Class 2.0 에 대응



USB 3.0 Super Speed / 5Gbps --> 고속 외장 스토리지에 적합(하위 호환)



USB 3.1 Gen.2 Super Speed Plus / 10Gbps  --> 고속 외장 스토리지에 적합(하위 호환)





[ USB Audio 호환성 ]


1. USB 3.0은 하위 호환성을 갖지만 실 사용에 있어 ITM(Isolated Transfer Mode) 관련 이슈가 해결되지 않은 컨트롤러(인텔 등)도 존재



2. USB 3.0 컨트롤러 중 ITM 이슈가 없는 NEC/Renesas 컨트롤러가 USB 오디오 스트리밍 디바이스나 비디오 스트리밍 디바이스에는 가장 적합하며, ITM 이슈가 해결되지 않은 컨트롤러(인텔 등)에는 해당 대역폭이 필요한 고속 외장 스토리지나 Isolated Transfer Mode를 사용하지 않는 다른 기기는 대부분 호환됨



3. USB 구조의 특성상 동일 루트허브에 연결된 장치끼리 서로 충돌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가급적 Low Speed Device와 인접한 포트에 USB 오디오 스트리밍 디바이스 및 비디오 스트리밍 디바이스를 물리는 것은 권장하지 않음



※ Low Speed Device : 1.5Mbps의 매우 낮은 전송대역폭을 가지는 저속장치(마우스 키보드 등)





[ USB 3.0 컨트롤러 칩셋 양산 제조업체 ]


NEC/Renesas, Etron Technologies, ASMedia, Fresco Logic, Texas Instruments, VIA(VLI)


- USB 관련 표준 개발 단체인 USB-IF에서 2009년 9월에 최초로 인증을 획득한 NEC(Renesas)를 시작으로, Etron Technologies와 VIA(VLI), ASMedia, Fresco Logic, Texas Instruments의 6개 서드파티 제조사에서 USB 3.0 컨트롤러 칩셋을 제조




● NEC/Renesas : NEC와 르네사스의 합병기업으로 세계에서 처음으로 표준 개발 단체인 USB-IF에서 인증을 받은 비교적 높은 호환성의 칩셋을 만들고 있으며, USB 2.0 및 USB 3.0 확장카드에 주로 채용



● Etron Technology : USB-IF의 인증을 받지 못하고 호환에 어려움이 있었지만 이후 개선하고 인증을 받았다고 함



● ASMedia Technologies : 일부 메인보드에 탑재되어 있고, 확장카드에도 일부 채용

https://www.bodnara.co.kr/bbs/article.html?num=104662



● Fresco Logic : HP 등의 일부 메인보드에 채용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거의 접하기 어려움



● Texas Instruments : 타 제조사에 비해 호환성은 상대적으로 문제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거의 접하기 어려움



● VIA Technologies : ‘VLI 컨트롤러’ 장착 확장카드 및 일부 VIA 칩셋 메인보드에 탑재되어 있으나 인증을 받지 않은 것으로 알려져 있음



● Intel : USB 3.0 컨트롤러가 내장된 7 / 8 / 9 시리즈 칩셋 및 B150, H170, Z170 시리즈(스카이레이크)와 2시리즈(카비레이크) 칩셋 메인보드 등에서 네이티브로 USB 3.0을 지원하며 드라이버는 Intel Chipset Drivers에 기본적으로 포함. USB 3.0 스펙이 막 도입된 초창기 시절의 6시리즈 인텔 칩셋은 USB 3.0 미지원이었기 때문에 ASMedia, Etron Technologies, Renesas 등의 서드파티 컨트롤러 칩셋을 장착하여 USB 2.0 포트와 USB 3.0 포트를 관리하는 칩셋과 드라이버가 서로 상이하였고, USB 3.0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제품들이 시장에 모습을 보이기 시작하던 과도기 시절의 7시리즈에서는 인텔칩셋의 호환성 결여 문제로 인해 일부 메인보드 제조사에서는 ASMedia, Etron Technologies 등의 서드파티 컨트롤러를 추가로 장착하여 USB 포트마다 관리하는 칩셋과 드라이버가 서로 달라 USB 3.0을 네이티브로 처음 지원하기 시작한 인텔 7시리즈의 경우 호환성이 거의 막장 수준이었으나 이후 인텔칩셋 패치 업데이트 등으로 점점 향상되는 듯한 모습을 보이다가 다시 인텔 9시리즈부터 잡음 및 인식 문제(소리재생 중 먹통이 된다거나 하는) 등이 발생됨.



※ USB 오디오 사용중 잡음이나 인식문제가 발생하는 경우 메인보드에 탑재된 USB 컨트롤러 드라이버를 최신 버전으로 패치 업데이트하면 해결되기도 하는데요, 인텔칩셋 메인보드의 경우 아래 링크에서 최신버전의 Intel xHCI 드라이버를 다운받을 수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https://www.intel.com/content/www/us/en/support/products/65855/software/chipset-software/intel-usb-3-0-extensible-host-controller-driver.html




[ USB 오디오 관련 트러블슈팅 ]


● Intel USB 3.0에서 잡음 및 인식 문제 발생시 해결방법 (윈도우 7 / 10 공통)


1. 메인보드 UEFI 셋업 - Intel xHCI 옵션에서 Smart Auto / Auto(Enable) / Disable로 설정 가능. Intel xHCI 옵션 Disable로 설정시 USB 2.0으로 작동 --> 시스템에 따라 해결되는 경우도 있으나 실제로는 대역폭만 제한될 뿐 문제해결에는 사실상 별 도움이 안 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확인(★★☆☆☆)


2. 따라서 가장 확실한 해결방법은 호환성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알려진 NEC/Renesas 확장카드 사용(★★★★★)



● 윈도우 10에서 컴퓨터를 껐다가 다시 켰을 때 간헐적으로 USB 오디오장치 인식이 안 되거나 사용자가 설정한 윈도우 볼륨값이 초기화 되는 경우 해결방법


1. USB를 뺐다 다시 꽂으면 정상적으로 인식됨 --> 이 방법은 다소 번거로울 수 있기 때문에 권장하지 않음(★☆☆☆☆)


2. 윈도우 10에서 기본으로 활성화 되어 있는 ‘빠른 부팅’ 옵션을 끄면 100% 해결 됨(★★★★★)


3. 윈도우 10에서 컴퓨터를 껐다가 다시 켰을 때 사용자가 설정한 윈도우 볼륨값이 초기화 되는 경우도 ‘빠른 부팅’ 옵션을 끄면 해결 됨



※ 윈도우 10 ‘빠른 부팅’과 관련하여 윈도우 7에서는 전혀 없던 문제가 윈도우 10에서 컴퓨터를 껐다가 다시 켰을 때 간헐적으로 USB 오디오 장치 인식이 안 되거나 사용자가 설정한 윈도우 볼륨값의 초기화 등은 아마도 윈도우 8부터 적용된 ‘빠른 부팅’ 활성화 시 부팅 과정 중 USB 오디오 장치 인식에 필요한 중요 루틴을 건너뛰기 때문인 것으로 보이며(시스템 재시작 시에는 정상이므로), 그리고 최근에 출시되는 USB 3.1 지원 신형 메인보드에는 대부분 ASMedia의 USB 3.1 Gen.2 칩셋이 장착되는데요, 호환성을 생각한다면 USB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USB 3.0 / USB 3.1에 연결하는 시행착오는 하지 말아야겠습니다. USB 오디오 장치에 전혀 불필요한 USB 3.0(5Gbps), USB 3.1(10Gbps)의 전송대역폭은 고속 외장 스토리지 장비 등에 양보하여 주시고, USB 오디오 인터페이스는 USB 2.0(480Mbps)에 사용하거나 호환성이 검증된 NEC/Renesas 컨트롤러를 이용할 것을 적극 권장합니다.





[ 내용 정리 ]


1. USB 전송 규격 중 Isolated Transfer Mode에서 인텔칩셋(Intel xHCI)의 전송 블럭 중 블럭 끝의 몇 비트가 손실되는 심각한 오류가 있는 것이 확인됨


2. 해당 전송모드를 사용하는 USB 오디오 인터페이스와 비디오 인터페이스에서 스트리밍 처리 지연 등으로 잡음이나 끊김 및 작동 중 멈춤 현상 등이 발생됨


3. 인텔 메인보드 UEFI 셋업 - Intel xHCI 옵션 Disable 설정시 USB 2.0으로 작동하지만 실제로는 대역폭만 제한될 뿐 문제해결에는 별 도움이 안 되는 경우가 많음


4. USB Full Speed 스펙의 USB Audio Class 1.0 기기들에서는 거의 문제가 없으나, USB 2.0 High Speed 스펙의 USB Audio Class 2.0 기기에서 주로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됨


5. 인텔에서는 이 문제를 정확하게 인식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No plan To Fix”를 선언하였고, USB 오디오 인터페이스 제조사들의 드라이버 지원이 중단 됨 (TASCAM, Native Instruments, YAMAHA 및 VIA Audio Controller 등)


6. USB 2.0 메인보드에서는 문제 없음


7. NEC/Renesas 컨트롤러에서는 문제 없음


8. 윈도우 10 ‘빠른 부팅’의 문제는 특정 메인보드나 USB 컨트롤러 및 오디오 인터페이스에서만 한정적으로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윈도우 10 환경에서 공통사항이므로 컴퓨터를 껐다가 켰을 때 간헐적으로 USB 오디오장치 인식이 안 되거나 사용자가 설정한 윈도우 볼륨값이 초기화 되는 경우 윈도우 10 ‘빠른 부팅’ 옵션을 끄면 해결됨


9. USB 오디오 장치와의 호환성 검증이 해결되지 않은 ASMedia의 USB 3.1 Gen.2 칩셋이 장착된 신형 메인보드에서 USB 오디오 인터페이스 사용은 가급적 USB 3.0 / USB 3.1에는 연결하지 않는 것이 정신건강에 이로움






[ 핵심 요약 ]


1. CPU 설계 보안 이슈(멜트다운/스펙터)에서도 확인할 수 있듯이 ‘신뢰’를 상징하는 인텔 같은 글로벌 대기업도 치명적인 기술 결함은 발생하며, 호환성이 검증된 NEC/Renesas 컨트롤러를 사용하면 대부분의 USB 오디오 관련 트러블은 한방에 해결됩니다.




2. 윈도우 10에서 기본으로 활성화 되어 있는 ‘빠른 시작 켜기’ 옵션은 USB 오디오 장치 인식에 필요한 중요 과정을 바이패스 하여 USB 오디오 장치의 간헐적인 인식 불가 증상이나 사용자가 설정한 윈도우 볼륨값의 초기화 등의 문제를 야기할 수 있으며, 윈도우 10 ‘빠른 시작 켜기’ 옵션을 끄는 것으로 간단히 해결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A/S 택배접수 배송주소 변경 안내 공지 service 2022-05-12 166
공지 고객지원 업무축소에 따른 이용 안내 AUDIOTRAK 2023-04-07 48
공지 [ 프로디지 CUBE2 ] EEPROM 데이터가 지워져서 USB 오디오 장... service 2022-05-26 177
공지 USB 대역폭 초과 메시지가 뜨면서 작동이 멈추는 경우 해결방법... service 2020-12-04 14576
공지 ATM-520P 4극 COMBO 핀마이크를 3.5단자가 없는 스마트폰에서 ... service 2020-11-13 13819
공지 MAYA 5.1 PCIe 사운드카드가 설치되지 않을 경우 해결 방법 !! service 2020-10-23 14146
공지 스테레오 믹스 설정입니다 ^^ service 2020-09-22 15621
공지 광출력 사용시 패스쓰루 설정 방법 file service 2020-07-29 15979
공지 MAYA U5 마이크 녹음시 필독 사항 !! file service 2020-07-09 14815
공지 노트북 3.5단자에 마이크 연결시 작동이 안 될 경우 해결 방법 !! service 2020-04-27 25914
공지 MAYA U5 스테레오 믹스 방송시 소소한 팁 file service 2020-01-07 14519
공지 윈도우 10 최신빌드 호환성 테스트 file service 2020-01-06 15609
공지 윈도우 10 넷플릭스 앱 사용시 설정 방법 (스피커출력/광출력) file service 2019-01-23 33610
공지 스마트폰에서 외장 핀마이크 사용에 대해 알려 드립니다!! file service 2018-01-31 22685
공지 PCI-Express to PCI 컨버터 호환 테스트 file + 1 오디오트랙 2014-06-26 39893
공지 USB 3.0 포트와 USB 오디오기기 호환성(14.01.22 Dr.DAC3 호환... + 10 오디오트랙 2014-01-17 48148
35766 프로디지 HD2 사운드카드 LP브라켓만 따로 구매할 순 없나요? + 1 지후니 2020-02-18 156
35765 Prodigy cube 질문입니다. + 1 쿠리스 2020-02-17 236
35764 Prodigy 7.1LT 한글 메뉴얼은 없는지요... + 2 kimtaek8 2020-02-14 167
35763 프로디지 7.1 LT 사운드카드 매뉴얼 부탁드립니다. + 1 kimtaek8 2020-02-14 163
35762 마이크 잘안되요 secret + 1 K90s 2020-02-12 4
35761 노래방어플용(smule) 마이크 분리형 변환젠더에 대한 + 3 호박이 2020-02-10 795
35760 마야 U5 - 외부입력 녹음 안됩니다. file + 3 조춘호 2020-02-11 229
35759 프로디지 큐브 수리 문의 secret + 3 cheap 2020-02-10 1
35758 U5 스피커와 이어폰 둘다에서 소리가 나와요 + 1 손성태 2020-02-07 233
35757 Dr.dac2 dx te 잡음발생영상입니다. secret + 1 주댕 2020-02-03 2
35756 DR.DAC3 BSDeck 컨트롤페널 프로그램 관련 + 3 그리난 2020-01-07 241
35755 프로디지 HD2 호환문의 + 3 개차 2020-01-22 309
35754 마야 u5 드라이버 제대로 적용된건지 여부를 어떻게 알수있나요?? + 1 꾸름꾸름 2020-01-22 245
35753 마야 U5 광출력말고는 소리가 나오지 않습니다. + 1 듣고싶다 2020-01-18 215
35752 Maya ex 5 windows 7 드라이버 요청드립니다. + 1 경성버디사랑 2020-01-10 173
35751 내장형 사운드 카드 잡읍 및 왜곡 심함 + 1 큰소나무 2020-01-02 228
35750 마야 u5의 돌비 애트모스 지원 여부 + 1 likehotcoffee 2019-12-30 318
35749 마야u5 플스4이용시 + 1 권규범 2019-12-19 244
35748 설치 오류 secret + 5 아설치 2019-12-14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