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고객지원

AUDIOTRAK logo, are trademarks of GYROCOM C&C Co., LTD.

02

2019-Oct

u5 부팅시 프리징 현상

작성자: 사카가문제야 조회 수: 402

제품명 : maya u5 
OS 및 서비스팩 버전 : win10 
드라이버 버전 : 1903 
메인보드/노트북 모델명 : b350-plus 
인터페이스 : USB 2.0 

(해결 방법은 아래의 마지막 댓글에 기재해두었습니다.(19.10.15 추가))


부팅 시 프리징 현상이 발생합니다.

에이수스 로고가 나오고 점들이 빙글빙글 도는 대기열에서 한참 걸리다 부팅이 되고, 사운드카드는 인식이 안 되어 있으며, 가끔은 무선 마우스까지 작동불능이 됩니다. 프리징 되었을 때 사운드카드 연결선을 빼버리면 언제 그랬냐는 듯이 바로 마우스도 잡히고 부팅도 순식간에 끝납니다.

연결선을 빼지 않으면 한참동안 프리징 되었다가 부팅이 되기는 합니다만... 사운드도 안 들리고 마우스도 못 써서 상당히 곤란합니다.

가끔은 그렇게 느리게 부팅 되고 usb 장치 인식 불가 메세지가 뜨구요.

빠른 부팅 기능은 꺼놨구요, 바이오스 상에서도 꺼놨습니다.


아, 프리징 현상은 장시간 PC를 전원 오프 상태로 두었을 때만 발생합니다. 연결선 뺐다 꼽고 10분 안에 재부팅하면 해당 현상은 발생하지 않습니다. 컴퓨터를 종료하고 한 6시간 후에 부팅하면 확실하게 이 증상이 나타나더군요. 그래서 전원부 문제인가 해서 파워 아이들 모드를 티피컬 모드로 했는데도 소용 없었습니다.


현재까지 취해본 조치로는 XHCI 오프로 usb 3.0동작 방지

usb 드라이버 삭제 후 재설치.

usb 최대 절전 설정 해제.

다른 usb 모두 빼기.

마야 드라이버 삭제 후 바이오스 리셋, 드라이버 재설치.

ERP 단계별 설정.

바이오스 업데이트.

윈도우 재설치.

내장 사운드 cmos에서 비활성화.

바이오스 리셋 / 수은 전지 탈착으로 방전

사운드 출력 헤르쯔 조정(최저 품질).


레드스톤 2에선 정상작동 확인. 레드스톤 4 이상에선 현 증상이 발생합니다.


확실히 재작년엔 이런 일이 없었는데 작년부터 이래서 한 100시간 정도는 이거 고쳐보겠다고 주기적으로 검색하고 별 짓을 다 한 거 같습니다.


그러다 포기하고 이렇게 질문 글 올립니다. 살려주세요... 이거 못 고치면 제가 화병으로 죽겠습니다.


그렇다고 1903을 포기하자니 라이젠 성능이 대폭락할게 뻔해서 어떻게든 설정을 만져 고치고 싶습니다.


profile

service

2019.10.02 16:07

 


다른 컴퓨터에서도 똑같은지 확인해 보세요.


만일 다른 컴퓨터에서도 동일증상일 경우 A/S 접수해 주시기 바랍니다.


https://audiotrack.co.kr/kr/as


 

profile

사카가문제야

2019.10.05 07:21

다른 컴퓨터에서는 프리징은 걸리지 않지만 부팅 시 드라이버를 잡지 못합니다. 결국 뺏다 꼽아야하는 건 같네요. 1809 버전부터 해당 현상이 발생하는 거 같으며, 드라이버 업데이트 외에는 답이 없어 보입니다. 레드스톤 4부터 오래된 사운드카드 기기들이 충돌하는 건 예전부터 유명한 이슈던데요... 혹시 u5는 더 이상 드라이버 지원이 없는 건가요? 다른 사카들은 RS4,5 용으로 수동 설치가 등록되어 있더라구요.... 슬프군요 ㅠ

profile

service

2019.10.07 09:20
윈도우 10 종료 옵션 중에서 '다시 시작'은 전혀 문제가 없는데 '시스템 종료' 후 컴퓨터 전원을 켰을 때에만 사운드 장치 인식이 안 되는 것은 대표적인 윈도우10 버그 중 하나입니다 ^^

다른 USB 포트로 옮겨서 꽂아 보시고 똑같다면 '윈도우 10 빠른 시작' 때문에 그럴 수 있는데요,

윈도우 10에서 기본으로 활성화 되어 있는 ‘빠른 부팅’은 USB 오디오 장치 인식에 필요한 중요 과정을 바이패스 하여 USB 오디오 장치의 간헐적인 인식 불가 증상이나 사용자가 설정한 윈도우 볼륨값의 초기화 등의 문제를 야기할 수 있으며, 윈도우 10 전원 옵션에서 ‘빠른 시작 켜기’를 끄는 것으로 간단히 해결됩니다.


윈도우 10 -> 시작 -> 마우스 우클릭 -> 전원 옵션 -> 추가 전원 설정 -> 전원 단추 작동 설정 클릭

빠른부팅_01.jpg 



현재 사용할 수 없는 설정 변경 클릭

빠른부팅_02.jpg



빠른 시작 켜기(권장) 체크 해제

빠른부팅_03.jpg

'빠른 시작 켜기'에 체크된 상태에서 부팅시간은 고작해야 몇 초 밖에 안 줄어드는 대신 발생하는 여러 가지 문제점들로 인해 사용자는 알게 모르게 상당한 스트레스와 고통을 받게 되는데요, 스트레스 받지 않고 쾌적한 컴퓨팅을 즐기려면 그냥 '빠른 시작 켜기'만 끄면 간단히 해결되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profile

사카가문제야

2019.10.07 14:12

그.... 복붙 하시기 전에 일단 본문을 읽어주시지 않겠어요? 빠른 시작은 꺼놨다고 적어놨는데.... 이 증상 알아보니까 다른 유저들에게서도 다수 나타나고 있더만요. 지원이 종료됐으면 그냥 종료 됐다고 알려주세요. 버리고 다른 거 쓰게. 다나와에서도 이 증상 호소하는 사람들한테 똑같은 댓글 달아주시던데 혹시 그게 회사 방침인가요? 솔직하게 답변하시기 어려우면 메일로 답변주셔도 됩니다. 회사에서 이용자들의 특정 문의를 묵살하라고 지시하는게 어디 질답게 담당자님의 잘못이겠습니까? 이해합니다.

아, 최근에는 퀘이사존에 올라온 팀 pete 글 보고 https://quasarzone.co.kr/bbs/board.php?bo_table=qn_hardware&wr_id=313235

여기서 알려준 명령어도 실행해봤지만 안 듣네요. nx mode 도 disable 로 해봤는데 소용 없었구요 ㅎㅎ

profile

service

2019.10.07 14:57

 


'다시 시작'은 전혀 문제가 없는데 컴퓨터 전원을 종료한 상태에서 컴퓨터를 켰을 때 USB 사운드장치 인식이 안 되는 원인은 실제로 거의 대부분 윈도우 10 빠른 시작 켜기 옵션에 체크되어 있었으므로 대부분의 경우 위에 설명 드린 방법으로 간단히 해결 되지만 만일 위의 방법으로도 해결이 잘 안 된다면 다른 방법을 알려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


1. 윈도우 10 사운드 제어판 - 재생 - 스피커 - 속성 - 고급에서 공유모드 샘플레이트를 16비트 44100Hz로 설정하세요.


이미 공유모드 샘플레이트를 16비트 44100Hz로 설정 하였다면


2. 녹음장치를 사용하지 않는다면 윈도우 10 사운드 제어판의 녹음 탭에 등록된 장치를 모두 마우스 우클릭 -> '사용 안 함' 하세요.


이미 사용하지 않는 녹음장치를 '사용 안 함' 하였다면


3. 윈도우 10 사운드 제어판 - 재생 - 스피커 - 속성 - Enhancements 탭에서 Disable all enhancements에 체크하세요.


disable_all_enhancements_maya_u5.jpg


만일 혼자서는 도저히 해결이 어려울 경우에는 원격지원으로 도와드릴 수 있으니 도움이 필요하시면 서비스센터로 연락주세요 ^^


원격으로 헤결이 안 된다면 그냥 단순 불량일 수도 있으니 서비스센터로 보내서 점검 및 교환을 받아 보시는게 좋지 않을까 싶습니다..



 

profile

사카가문제야

2019.10.07 15:43

이미 다 해보았던 작업이네요. 애초에 레드스톤 2에서는 정상작동하는 걸 확인했는데 이거저거 만져볼 필요가 있었을까... 라는 후회가 듭니다. 이건 아무리 봐도 윈도우 업데이트에 따른 호환성 문제인데 말이죠. 단순 불량이라기엔 사무실에서 쓰는 인쇄용 단말(OS windows7)에서도 전혀 문제 없이 돌아갑니다. 물려놓고 다음날 다시 전원 넣었을 때도 아무 문제없이 인식 되더군요. 단말 고장이 아니라는 거죠. 이렇게 단순한 칩셋은 내구도도 높은데 그럼 그렇지...

참고로 지금까지 5대의 컴퓨터에서 실험한 결과, 윈도우 7 두 대에서는 정상 작동. 1903 버전인 세 대에서는 모두 똑같은 증상이 나타납니다. 인터넷에서 다운 받은 레드스톤 2를 설치 했을 때는 정상 작동했구요. 11년도 출시 후 7년 동안 이런 증상 호소하는 사람이 없다가 다나와나 디씨에서 정확히 작년 초부터 이 문제 호소하는 사람들이 나타나기 시작한 걸로 봐서는 100퍼센트 윈도우와의 문제입니다. 담당자분도 알고 계신거 같네요. 모를 리가 없겠죠 자그마치 1년 반이나 지났는데. 아무래도 오디오트랙은 MAYA U5를 완전히 내놓은 모양이군요...

profile

service

2019.10.07 17:51

 


정말 이상하네요.. 저희 서비스센터에 컴퓨터 전원 종료 후 켰을 때 인식이 안 되는 증상에 대해 전화로 문의하신 건은 최근 2년 동안 3번정도 있었는데요. 3번 모두 시스템 재시작시에는 정상, 컴퓨터 전원 종료 후 켰을 때 인식이 안 되는 증상에 대한 문의였고요, 3번 모두 윈도우 10 빠른 시작 켜기 옵션의 체크를 끄는 것으로 말끔하게 해결이 되었습니다.


MAYA U5는 출시 후 누적판매량으로 보면 거의 10만개를 넘어가는 베스트셀러 제품인데 오디오트랙 홈페이지 질문과답 게시판에는 문의 주신 내용과 동일한 질문내용을 찾아보기가 어렵습니다.


즉 시스템 재시작시에는 정상인식, 컴퓨터 전원 종료 후 켰을 때 인식이 안 되는 증상의 경우 질문과답 게시판에서 페이지를 계속 넘기다 보면 어쩌다 한두개 정도 보일까 할 정도고요 그마저도 해결이 안 되었던 사례는 없었고요


윈도우 10 1903 빌드에 내장된 Microsoft USB 오디오 드라이버 버전이 문제라면 VIA USB 오디오 드라이버에서도 동일증상이 나타나는지 확인해 볼 필요가 있을 것 같습니다. 혹시라도 VIA USB 오디오 드라이버로 문의주신 문제가 잘 해결이 되면 댓글로 알려주세요 ^^


https://audiotrack.co.kr/kr/driver/213692


※ 윈도우 10 RS4 까지는 셋업설치가 막혔다가 최근 윈도우 10 RS5 1903 빌드로 업데이트 되면서 셋업설치가 가능해졌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윈도우 10에 내장된 Microsoft USB Audio Driver는 아날로그 5.1채널 출력과 PCM 스테레오 출력 및 패스쓰루 출력, 마이크 & 라인인 녹음, 스테레오 믹스 녹음, 광입력(PCM 스테레오) 녹음 기능 등이 완벽히 지원되며, VIA USB 드라이버 설치시 큐사운드 기능을 활성화 할 수 있습니다.



VIA USB Audio Dirver가 필요한 경우 : 윈도우 XP, 윈도우 7에서 패스쓰루 기능

※ 윈도우 XP, 윈도우 7에 내장된 Microsoft USB Audio Driver는 패스쓰루 미지원.

※ 윈도우 XP, 윈도우 7에서 패스쓰루를 사용하지 않는다면 VIA USB Audio Dirver를 설치할 필요가 없습니다.


BSDeck 컨트롤패널이 필요한 경우 : 아날로그 5.1채널 출력단자 사용시 스테레오 확장 기능

※ 아날로그 5.1채널 스피커를 사용하지 않는다면 BSDeck 컨트롤패널 설치가 필요 없습니다.



"아무래도 오디오트랙은 MAYA U5를 완전히 내놓은 모양이군요..."


--> 그럴리가요 ^^ MAYA U5는 처음 출시때보다 해가 지날 수록 판매량이 점차 꾸준히 늘고 있고요.. 한 분은 주변 지인분들과 인터넷 음악방송 카페 회원분들께 권유하셔서 500개 넘게 구입하셨다고..


정말로 문제가 있는 제품을 500개 넘게 구입할리가 있나요..


인터넷 음악방송 설정을 잘 못하는 지인 및 카페회원 분들을 그분께서 원격으로 다 봐주신다고 하셨는데


그 많은 분들께 MAYA U5를 권해 주시는 이유는 설정이 간편하고 소리가 너무 좋아서라고..



그리고 얼마 전에 나이가 좀 있으신 분께서 서비스센터에 전화 주셨는데요

처음에 약간 흥분하신 상태로 막 빠르게 내쏟듯이 말씀하셔서 당황스러웠는데

괜찮으니까 천천히 말씀하셔도 된다고 진정시켜 드리고 나서 한참동안 말씀을 들어보니

윈도우 새로 설치하고 사운드카드 셋팅 중에 뭐가 잘 안 돼서 이것 저것 다 해보다가

컴퓨터 내부 부품 같은거는 전혀 건드린거 없이 단순히 윈도우만 새로 설치한거 뿐이라 당연히 고장은 아니라는건 알겠는데 도대체 뭘 잘 못 만진건가 싶어 일주일 동안 혼자서 고생고생 하다가 도저히 해결이 안 돼서 전화주셨다고 하시는데

말씀을 다 듣고 나서 그럼 저희가 원격으로 봐드리면 어떻겠어요? 라고 말씀을 드려더니


그런식으로 저희쪽에서 원격으로 쉽게 해결해 버리면 나중에 또 문제가 생겼을 때 혼자서 해결이 안되니까 설정방법을 자세히 알려주면 본인이 직접 하시겠다고 고집하셔서 거의 30분 넘게 전화통화로만 이것저것 시도해 보다가 도저히 해결의 기미가 보이지 않아서 아무래도 원격으로 뭐가 잘못 됐는지 확인해 보는게 좋을거 같은데요 라고 간곡하게 부탁(?) 드렸더니 그제서야 알겠다고 그럼 원격으로 한번 봐달라고 하셔서 원격 연결하고 채 1분도 안걸려서 완벽하게(허무하게) 해결이 된 사례도 있었습니다.

이처럼 연령대가 다소 높으신(연세좀 있으신 듯한) 분들은 사소한 부분에서 시행착오가 발생하여 문제해결이 쉽지 않은 경우가 있지만 컴퓨터 관련한 해박한 지식과 구글검색 등이 습관화 되어 있는 컴잘알 분들은 전문가 못지 않은 실력으로 능숙하게 문제해결을 잘 하시는데요, 간혹 단순한 문제를 너무 복잡하게 생각하거나 또는 결론을 미리 도출하여 좀처럼 문제해결의 실마리를 못찾게 되는 경우도 더러 있습니다.

USB 사운드장치를 먹통(인식불가)으로 만드는 요인은 주로 리소스 부족 또는 리소스 충돌이 대표적인데요,

무선마우스용 USB 리시버는 USB 오디오 스트리밍 디바이스나 USB 외장 스토리지와의 충돌현상이 가장 많이 보고됩니다.

예를 들어 로지텍 무선마우스용 유니파잉 수신기 또는 나노수신기의 경우 다른 USB 장치와 리소스 충돌시 뽑으면 감쪽같이 증상이 없어지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USB 장치들은 대부분 호환성이 좋기 때문에 메인보드에 달려 있는 모든 USB 포트 중에 아무데나 막 꽂아서 다 잘 작동하면 좋겠지만 실제로는 잘 붙는 포트가 따로 있는데요

특히 실시간 오디오 스트리밍 신호를 처리하는 USB 오디오 스트리밍 디바이스의 경우 메인보드에 달려 있는 모든 USB 포트 중에서 인식이 잘 안 되는 포트도 있고 잘 되는 포트도 있으므로 윈도우를 새로 설치했을때 인식 및 작동이 가장 안적적으로 잘 유지되고 충돌이 없는 USB 포트에 USB 오디오 스트리밍 디바이스를 설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

사카가문제야

2019.10.08 07:00

링크해주신 드라이버 설치를 해보았습니다만 안 되네요... 나중에 한국 갈 일 있으면 A/S 보내겠습니다. 

profile

사카가문제야

2019.10.14 03:34

csDesktop Screenshot 2019.10.14 - 03.22.54.71.png

최근 기묘한 사실 하나를 알게 되어 첨부합니다. 부팅하고 나서 오류 코드 43이 뜨기 직전에 잠시나마 드라이버가 설치 되다 마는 광경을 목격했습니다. 딱 저기서 멈추고 금세 오류 코드 45로 넘어가고 그 직후 오류 코드 43이 뜹니다. 신기하군요... 도대체 그 짧은 시간에 무슨 일이 일어난 건지 짐작도 안 갑니다... 혹시나 이 현상에 집히는 곳이 있으신지요. 그리고 가능하다면 원격 지원을 한 번 부탁드려도 되겠습니까?

첨부
profile

사카가문제야

2019.10.15 23:05

원격지원을 받았지만 기사님도 처음보는 증상이라고 하십니다. 해결 방법을 모르시더군요. 재현할 수 있는 증상이 아니라 방법이 없다 하셨습니다.


그래서 직접 해결 했습니다.


저와 같은 문제를 겪으시는 분은 제어판 전원 설정에서 빠른 시작을 꺼주시고, cmd 관리자 권한에서 'powercfg /hibernate off' 명령어를 입력하세요.

그 다음 장치 관리자에서 MAYA U5 속성에 들어가 드라이버를 오디오트랙 홈페이지 다운로드 란의 U5 VIA 드라이버로 업데이트 하십시오. 업데이트 후, 속성에서 제조업체(드라이버 공급자)가 VIA로 바뀌었는지, 드라이버 버전이 6.0.1.2로 바뀌었는지 확인하십시오.

확인하셨다면 윈도우 키를 눌러 톱니바퀴 모양 아이콘(설정)을 클릭 후, 계정으로 들어가서 로그인 옵션 -> 개인정보란의 '업데이트 하거나 다시 시작한 후 내 로그인 정보를 사용하여 내 장치 설정을 완료하고 내 앱을 다시 엽니다' 란을 끔으로 설정해주세요.


원인으로는 부팅 시 윈도우에서 장치 연결 탐색을 실시할 때 기존 S4, S5 대기 상태에서의 드라이버 실행 상태를 로드하고 재실행을 하는데, 이 때 기존에 실행중이던 드라이버와 새로 시작되는 드라이버 간의 이중 실행으로 인한 드라이버 충돌로 예상됩니다. 한마디로 윈도우와의 호환성 문제 같습니다. 바이오스 초기화와 윈도우 클린 설치 후 각종 로그를 분석한 결과입니다. 이 댓글이 다른 U5 유저분들과 오디오트랙 직원분들에게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수고하십시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공지 당사의 고품질 DAC인 DR.DAC3의 할인이벤트(25%) 안내. AUDIOTRAK 2023-08-11 407
공지 A/S 택배접수 배송주소 변경 안내 공지 service 2022-05-12 412
공지 고객지원 업무축소에 따른 이용 안내 AUDIOTRAK 2023-04-07 328
공지 [ 프로디지 CUBE2 ] EEPROM 데이터가 지워져서 USB 오디오 장... service 2022-05-26 480
공지 USB 대역폭 초과 메시지가 뜨면서 작동이 멈추는 경우 해결방법... service 2020-12-04 14915
공지 ATM-520P 4극 COMBO 핀마이크를 3.5단자가 없는 스마트폰에서 ... service 2020-11-13 14064
공지 MAYA 5.1 PCIe 사운드카드가 설치되지 않을 경우 해결 방법 !! service 2020-10-23 14437
공지 스테레오 믹스 설정입니다 ^^ service 2020-09-22 15963
공지 광출력 사용시 패스쓰루 설정 방법 file service 2020-07-29 16449
공지 MAYA U5 마이크 녹음시 필독 사항 !! file service 2020-07-09 15109
공지 노트북 3.5단자에 마이크 연결시 작동이 안 될 경우 해결 방법 !! service 2020-04-27 27504
공지 MAYA U5 스테레오 믹스 방송시 소소한 팁 file service 2020-01-07 14790
공지 윈도우 10 최신빌드 호환성 테스트 file service 2020-01-06 15934
공지 윈도우 10 넷플릭스 앱 사용시 설정 방법 (스피커출력/광출력) file service 2019-01-23 34896
공지 스마트폰에서 외장 핀마이크 사용에 대해 알려 드립니다!! file service 2018-01-31 23279
공지 PCI-Express to PCI 컨버터 호환 테스트 file + 1 오디오트랙 2014-06-26 40384
공지 USB 3.0 포트와 USB 오디오기기 호환성(14.01.22 Dr.DAC3 호환... + 10 오디오트랙 2014-01-17 48835
35738 상황이 심각해졌습니다 + 4 금귀 2019-12-04 326
35737 드디어 dr.dac3 구매했습니다. + 1 금귀 2019-12-04 312
35736 마야2 + 2 윰윰 2019-12-03 212
35735 마야 + 1 윰윰 2019-11-29 171
35734 새로운 음장이 생겼네요? 설명 부탁드려요 file + 3 금귀 2019-11-29 374
35733 이제 HD2 GOLD를 놓아 줘야 겠어요 ㅜㅜ + 1 송붐 2019-11-20 301
35732 제품은 개발계획이 없나요?? + 1 요츠바 2019-11-09 302
35731 큐브 블랙에디션 노이즈 질문. file + 1 큐브블랙 2019-11-05 223
35730 DR.DAC3 QSound 비활성 secret + 1 그냥이개냥 2019-11-05 3
35729 인터넷 동영상 재생시 큰 소리로 재생되는 문제? + 1 답없는사운드 2019-11-05 165
35728 마야U5, 프로디지큐브 녹음소리 크게 + 3 only 2019-10-28 217
35727 prodigy 7.1e x-fi 후면 마이크가 안됩니다. file + 1 별꼬리반쪽 2019-10-25 181
35726 큐브 블랙에디션 케이스 구입 문의입니다 + 1 JS 2019-10-12 208
35725 마야 u5 외장 사운드 카드 이용 이어폰 사용 secret + 1 랜드로버 2019-10-11 2
35724 프로디지7.1LTM 드라이버 + 4 라라 2019-10-09 272
35723 마야 U5 5.1ch 옵티컬 패스스루 질문입니다. file + 1 페이더 2019-10-07 763
35722 마야 U5 입니다. 마운트가 되지 않았다고 합니다. file + 1 공명인 2019-10-04 214
35721 30분 이상 컴퓨터 미사용후 음향 출력시 잡음 + 1 RedWine 2019-10-02 233
» u5 부팅시 프리징 현상 + 10 사카가문제야 2019-10-02 402
35719 Prodigy 7.1LT와 Audacity와의 충돌 + 1 살여울 2019-09-25 2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