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래픽 카드를 바꾼뒤에 본체와 모니터의 연결이 잘안되고" --> DP(Display Port) / HDMI / DVI 중에서 어떤 연결을 사용하시나요? UHD 출력(4k해상도)를 지원하는 모니터라면 케이블은 반드시 DP 또는 HDMI 2.0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그래픽 카드를 바꾼뒤에 본체와 모니터의 연결이 잘안된다면 케이블을 뺐다가 다시 잘 꽂아보시거나 케이블(DP 또는 HDMI 2.0)을 교체해 보시기 바랍니다. 참고로 모니터에 DP(Display Port) 연결단자가 있다면 DP 케이블로 연결하는 것이 가장 높은 전송대역폭을 사용할 수 있는데요, 만일 DP 연결을 사용할 수 없다면 차선책으로 HDMI 2.0 케이블로 연결하는 것이 좋습니다. 즉, DP / HDMI / DVI 중에서 전송대역폭이 가장 높은 DP 연결방식을 권장하고요, 본체와 모니터 연결에 사용한 케이블이 디스플레이 전송대역폭 처리를 제대로 못하거나 또는 모니터 단자와 케이블 연결이 약간이라도 헐거우면 디스플레이 전송이 원활하지 않아 모니터 신호없음이 뜰 수도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사운드도 깨질때도 있고 정상일때도 있습니다" --> 사운드카드가 오디오트랙 제품인가요? 그래픽카드를 바꾸면서 메인보드 슬롯이나 USB 포트에 할당된 대역폭이 바뀌어서 그럴 수 있습니다. 따라서 그래픽카드를 바꾸기 전에는 전혀 없던 증상이 발생한 경우 PCI 사운드카드라면 슬롯을 옮겨서 설치하면 해결될 수 있고요 USB 사운드카드라면 다른 USB 포트로 옮겨서 설치해 보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그래픽카드 드라이버를 업데이트하지 않고 윈도우10에서 자동으로 인식되는 드라이버를 그냥 사용하면 충돌현상이 많다고 하니 NVIDIA 홈페이지에서 gtx 1060 드라이버를 직접 다운받아서 설치해 보세요.
재질문시에는 가급적 메인보드 제조사, 모델명 등 시스템 사양을 자세히 기입해 주시고요, 사용중인 사운드카드가 오디오트랙 제품이라면 정확한 모델명도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그래픽 카드를 바꾼뒤에 본체와 모니터의 연결이 잘안되고" --> DP(Display Port) / HDMI / DVI 중에서 어떤 연결을 사용하시나요? UHD 출력(4k해상도)를 지원하는 모니터라면 케이블은 반드시 DP 또는 HDMI 2.0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그래픽 카드를 바꾼뒤에 본체와 모니터의 연결이 잘안된다면 케이블을 뺐다가 다시 잘 꽂아보시거나 케이블(DP 또는 HDMI 2.0)을 교체해 보시기 바랍니다. 참고로 모니터에 DP(Display Port) 연결단자가 있다면 DP 케이블로 연결하는 것이 가장 높은 전송대역폭을 사용할 수 있는데요, 만일 DP 연결을 사용할 수 없다면 차선책으로 HDMI 2.0 케이블로 연결하는 것이 좋습니다. 즉, DP / HDMI / DVI 중에서 전송대역폭이 가장 높은 DP 연결방식을 권장하고요, 본체와 모니터 연결에 사용한 케이블이 디스플레이 전송대역폭 처리를 제대로 못하거나 또는 모니터 단자와 케이블 연결이 약간이라도 헐거우면 디스플레이 전송이 원활하지 않아 모니터 신호없음이 뜰 수도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사운드도 깨질때도 있고 정상일때도 있습니다" --> 사운드카드가 오디오트랙 제품인가요? 그래픽카드를 바꾸면서 메인보드 슬롯이나 USB 포트에 할당된 대역폭이 바뀌어서 그럴 수 있습니다. 따라서 그래픽카드를 바꾸기 전에는 전혀 없던 증상이 발생한 경우 PCI 사운드카드라면 슬롯을 옮겨서 설치하면 해결될 수 있고요 USB 사운드카드라면 다른 USB 포트로 옮겨서 설치해 보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그래픽카드 드라이버를 업데이트하지 않고 윈도우10에서 자동으로 인식되는 드라이버를 그냥 사용하면 충돌현상이 많다고 하니 NVIDIA 홈페이지에서 gtx 1060 드라이버를 직접 다운받아서 설치해 보세요.
재질문시에는 가급적 메인보드 제조사, 모델명 등 시스템 사양을 자세히 기입해 주시고요, 사용중인 사운드카드가 오디오트랙 제품이라면 정확한 모델명도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