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테레오 믹스를 사용하려면 일단 아래와 같이 '스테레오 믹스'를 기본 장치로 설정하면 됩니다.
'스테레오 믹스'를 기본 장치로 설정하고 윈도우에서 음악을 재생하면 '스테레오 믹스' 녹음 믹서가 작동하여 위의 스샷과 같이 오른쪽의 녹음 게이지가 녹색으로 반응합니다.
하지만 스테레오 믹스를 기본 장치로 설정하지 않고 아래와 같이 '마이크'를 기본 장치로 설정하였다면 윈도우에서 소리를 재생하더라도 '스테레오 믹스' 녹음 믹서가 기본 장치가 아니므로 스테레오 믹스 우측의 녹음 게이지는 반응하지 않습니다.
그럼 '스테레오 믹스'를 제대로 사용하기 위해 '스테레오 믹스'의 기본 개념과 작동 원리에 대해 알기 쉽게 설명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스테레오 믹스'는 윈도우 내부 재생음(Playback Sound)과 외부 아날로그 입력(Mic / Line in) 신호를 믹싱해서 녹음하는 기능인데요
윈도우 녹음 장치 목록에서 사용자가 '기본값으로 설정'한 기본 장치만 활성화 되어 작동하므로 윈도우 소리 설정에서 스테레오 믹스를 '기본값으로 설정'하지 않았다면 스테레오 믹스는 당연히 작동하지 않습니다.
즉, 윈도우에서 소리가 재생되고 윈도우 소리 설정 재생 탭에서 스피커 항목 오른쪽의 녹색 게이지가 움직이고 있더라도 녹음 장치 목록에서 사용자가 스테레오 믹스를 기본값으로 설정하지 않으면 윈도우에서 재생되는 소리는 녹음되지 않습니다.
해당 녹음 장치의 인풋 게이지가 반응하지 않으면 인터넷 방송(게임방송, 음악방송, 아프리카TV, 유튜브방송 등)을 할 때 해당 녹음 믹서의 입력은 없는 것이므로 상대방에게도 전달되지 않고요, 아래와 같이 사용자기 녹음 장치 목록에서 스테레오 믹스를 기본 장치로 설정해야만 윈도우에서 재생되는 소리가 스테레오 믹스 녹음 장치로 전달되어 인터넷 방송시 상대방에게 전송됩니다.
그리고 스테레오 믹스를 사용하려면 윈도우 소리 설정 재생 장치 목록에서 스피커 - MAYA U5를 제외한 다른 장치는 모두 '사용 안 함' 하세요 ^^
그리고 아래 내용은 '스테레오 믹스'의 개념을 이해하는데 있어 아주 중요한 부분입니다.
스피커 속성 - 수준 탭에서는 스테레오 믹스 녹음 장치로 입력되는 소스(윈도우 재생음, 마이크, 라인인)의 개별적인 인풋게인을 따로 따로 조절할 수 있으며, 스피커 속성 - 수준 탭에서 조절되는 입력소스(윈도우 재생음, 마이크, 라인인)의 개별적인 게인 값은 '실시간 하드웨어 모니터링'으로 직결됩니다.
※ 실시간 하드웨어 모니터링(Real Time Hardware Monitoring)이란 사운드카드의 아날로그 출력 단자(프론트 출력 / 헤드폰 출력)로 출력되는 소리를 의미하는데요, 레이턴시가 매우 낮기 때문에 인터벌이 거의 없습니다.
스테레오 믹스 녹음 장치로 입력되는 개별적인 소스의 게인을 조절하려면
1. 윈도우 소리 설정 - 재생 탭에서 스피커를 기본값으로 설정합니다.
2. 스피커 - 속성 - 수준 탭에서
스피커 : 윈도우 재생음의 게인을 조절합니다.
Line In : 라인인 게인을 조절합니다.
Microphone : 마이크 게인을 조절합니다.
※ 스피커 속성 - 수준 탭에서 조절되는 입력소스(윈도우 재생음, 마이크, 라인인)의 개별적인 게인 값은 '실시간 하드웨어 모니터링'으로 직결됩니다.
※ 실시간 하드웨어 모니터링(Realtime Hardware Monitoring)이란 사운드카드의 아날로그 출력 단자(프론트 출력 / 헤드폰 출력)로 출력되는 소리를 의미하는데요, 레이턴시가 낮기 때문에 인터벌이 거의 없습니다.
[ 스테레오 믹스 게인조절 ]
스테레오 믹스 - 수준 탭에서는 윈도우 재생음과 외부 아날로그 입력(마이크, 라인인)을 믹싱하였을 때의 게인값을 설정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