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고객지원

AUDIOTRAK logo, are trademarks of GYROCOM C&C Co., LTD.

04

2018-Jun

프로디지 큐브 잡음 자동증폭문제

작성자: 쥬러머 조회 수: 860

제품명 : cube atm520p 
OS 및 서비스팩 버전 : win10 
인터페이스 : USB 3.0 

프로디지큐브 블랙에디션 + atm520p 사용자입니다.


두가지 문제가 발생합니다.


첫째로 빈 바탕화면에서 녹음시 무난한데 pc를 갈구는 작업을 할시 지속적으로 부우웅~ 하는 벌이 날아다니는듯한 잡음이 생깁니다. (ex배그)


두번째 문제는 그 잡음이 마이크에 소리를 입력하고 있지 않을때 자동으로 점점 증폭된다는 것입니다. (평소 볼륨 6~70사용)


마이크선을 뽑으면 그즉시 잡음은 사라지고 다른마이크를 써도 이증상은 동일합니다.


마이크에대고 큰소리로 말을하면 그 잡음은 잠시 줄어들지만 입력이 없으면 또 잡음이 점점 커집니다.


프로디지 큐브에 내장된 자동증폭 기능인거같은데 이 기능을 off할수 없나요?

profile

쥬러머

2018.06.04 16:40

메일로 보내드린 동영상을 보면 33초 격발음이 마이크로 들어갔을때

잡음이 확연히 잠시 줄어듭니다.

profile

쥬러머

2018.06.04 17:13

https://audiotrack.co.kr:46168/kr/question/151976

답변은 요지캐치가 잘 안됐지만 비슷한 질문이 있었네요.


profile

service

2018.06.04 18:10


https://audiotrack.co.kr:46168/kr/question/151976


--> 예전에 프로디지 7.1 시리즈에서 사용되던 EWDM 드라이버에 제공되던 기능인 다이렉트와이어(DirectWiRE)의 연결 설정을 잘 못 할 경우 발생할 수 있는 하울링이나 피드백 관련 사례이므로 문의 주신 내용(마이크 입력 신호가 없이 조용한 상태에서 주변 노이즈가 점점 커지는 증상)과는 전혀 다른 경우라고 할 수 있고요 ^^


시스템 자원의 사용률이 낮은 상태에서 마이크 녹음시에는 무난한데 PC를 갈구는 작업을 할시 부우웅~ 하는 벌이 날라가는 듯한 잡음이 생기는 현상은 아마도 PC 자원을 최대로 사용할 때 팬소음이 증가하고, 증가된 팬소음이 그대로 마이크로 수음되어 증폭을 거치는 과정에서 부우웅~ 하는 잡음이 발생하는 것으로 보이고요,


윈도우에서 지원되는 소프트웨어 루프백 녹음 모니터링(녹음 장치 - 속성 - 수신 대기 - 이 장치로 듣기)을 사용하는 것도 아닌데 마이크 녹음시 입력이 없는 조용한 상태에서 주변 노이즈가 점점 커지는 것은 반향성과 중첩성으로 인한 맥놀이 현상으로 판단됩니다.


조용하다고 생각되는 환경이라도 일정량의 기본잡음이 깔려 있는데요 귀로 실제 들리는 소음은 크지 않더라도 마이크 녹음 환경에서는 맥놀이 현상으로 인해 컴퓨터 팬소음 등의 주변 노이즈가 점점 커지는 현상을 쉽게 체험하게 되는데요, 이와 같은 현상은 구글검색시 비슷한 사례는 많이 있지만 딱부러지는 해결책이 제시된 것은 별로 없는 것 같습니다.


https://www.clien.net/service/board/kin/10056165


위 링크의 경우 처럼 조용한 환경에서 마이크 녹음시 컴퓨터 팬소음 등이 점점 크게 증폭된 녹음결과물이 나온다면 컴퓨터와 마이크 수음 위치 사이에 흡음재나 차단막 같은 것을 설치하거나 마이크 수음 방향을 조정해 보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메인보드(리얼텍) 내장사운드의 경우 오디오칩셋 버전에 따라 마이크 녹음 옵션에 '음향반향제거' 등의 추가 기능이 제공되기도 하는데요, 프로디지 CUBE의 마이크 녹음 기능은 Tenor TE7022L 오디오 컨트롤러의 라인입력핀을 녹음용으로 사용하는 구조의 하드웨어 회로 설계 방식이기 때문에 리얼텍 오디오패널에서 제공되는 '음향반향제거'와 같은 기능은 Tenor TE7022L 오디오 컨트롤러에는 제공되지 않는 관계로 소프트웨어적으로는 해결이 어려우므로 가급적 컴퓨터의 팬소음(케이스 흡배기팬, 파워서플라이 흡배기팬, CPU 쿨링팬, 그래픽카드 쿨링팬 등)이 마이크에 입력되지 않게끔 마이크의 수음위치를 조정해 보시는 것이 유효한 방법일 수 있으며, 아래 마이크 녹음시 도움이 될 만한 유튜브 영상도 참고해 보시기 바랍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UTGXHGgQdq0



profile

쥬러머

2018.06.04 21:23

마이크 위치를 멀리 떨어뜨린후 수음 방향도 정반대로 돌리고 수음 위치도 막으면서 실험을 해보았으나

증상은 동일합니다. 멀리떨어질수록 노이즈 볼륨 변화가 있어야 하는데 전혀 없구요.

마이크 수음으로 인한 증상은 아닌게 확실한듯 하네요.

마이크의 수음 위치를 막으니 처음에 노이즈 소리가 확 줄었다가 (막을때의 마찰음으로 인해)

다시 특정 소리가 입력될때까지 점점 크레센도 됩니다.

우선 그래픽카드 or cpu를 갈궜을때 이 현상이 발생하는건 확실한 것 같네요.

새로 실험하여 메일을 하나 보냈는데 확인해주십시요.

처음에 소음이 등장하다가 로비로 나갈때 검은화면에서 소음이 멈춥니다.

다시 로비화면에서 소음이 등장하나 프로그램을 종료하는순간 감쪽같이 사라져버립니다.

답답하네요

profile

service

2018.06.05 11:17



골드웨이브로 녹음해 보세요 !!


프로디지 CUBE와 핀마이크를 사용해서 골드웨이브로 녹음을 해 봤는데요 그런 현상이 안 나타나네요 ^^


첨부파일은 라인볼륨 60으로 녹음한 건데요 재생해서 들어보면 말씀하신 것과 같은 배경소음이 점점 증가하는 그런 증상이 전혀 없습니다.


심지어 레벨리미터 필터도 적용하지 않고 골드웨이브 처음 설치시 기본값으로 녹음한건데 말이죠.



즉 말씀하신 증상은 사용하는 프로그램에 따라 생길 수도 있고 안 생길 수도 있는 것으로 보이는데요 입력신호가 아주 작은 경우 프로그램에 내장된 노말라이즈 필터가 자동으로 작동해서 배경소음이 점점 증가하게 되는 원인이 될 수 있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노말라이즈'란 일정 레벨에 못 미치는 너무 작은 신호는 일정 수준으로 증폭시켜서 크게 만들어 주고 너무 큰 신호는 작게 낮춰주는 기술인데요 오디오레벨이 너무 큰 신호가 입력될 때의 클리핑 방지 및 오디오레벨이 너무 작은 신호의 증폭 등을 처리하는 Volume Normalizer (볼륨 평준화 또는 오디오 정규화) 필터로 마스터링 작업시 맥시마이저나 리미터 등과 병행하여 사용되기도 하지만 노멀라이즈는 신호의 크기가 증가한 만큼 녹음시 발생한 노이즈도 동반상승하게 되므로 가급적 사용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한데요 마이크 감도와 밀접한 관련이 있으므로 녹음환경에 따라 사용유무를 결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리고 노말라이즈 필터는 오디오 파일이나 동영상 파일 등을 재생시에도 자주 이용되는데요 예를 들어 팟플레이어로 5.1채널 영화 볼 때 노말라이저 필터를 꺼 놓으면 대사음이 거의 잘 안 들리잖아요? 기본값은 노말라이저가 항상 켜져 있는 상태에서 AC3/DTS 증폭 기능과 노말라이저 필터가 병행되어 자동으로 작동되기 때문에 대사가 잘 안 들리거나 하는 불편함 없이 5.1채널 영화를 감상할 수 있는 거고요.


마이크 녹음시에는 조용하다고 생각되는 환경(하지만 컴퓨터 팬소음 및 생황소음은 깔려있는 상황)에서 노말라이즈 필터가 자동으로 작동해서 작은 신호를 크게 증폭해 주게 된다면 말씀하신 것 처럼 배경소음이 점점 증가하는 그런 현상이 나타날 수 있는데요 사운드카드 마이크 입력단의 하드웨어 회로에는 그런 노말라이저 같은 기능은 없고요. 물론 사운드카드 하드웨어 회로에 문제가 있어서 그런 현상이 나타날 리도 없고요. 사운드카드의 하드웨어 회로나 핀마이크에는 원치 않는 일정 볼륨 이하의 소리를 다 삭제시켜 버리는 기능은 제공되지 않으므로 외부 필터을 활용하는 방법이 유효할 수 있으니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결론은


그래픽카드 or CPU를 갈궜을때만 그런 현상이 나타나는건 이미 설명드린 것과 같이 팬소음이 증가 --> 마이크 입력단에서 증폭되는 것이고요.


녹음 프로그램을 골드웨이브로 바꿔서 녹음해 보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액션캠 녹화시에도 배경소음이 점점 증가하다가 보이스 신호가 입력되면 배경소음이 감쪽같이 사라지는 현상을 자주(뭐 거의 항상) 겪게 되는데요


바로 어제(6월 4일) tvN 백종원의 푸드파이터 일본편에서도 문의하신 것과 완전히 똑같은 현상이 있는 것을 볼 수 있는데요


백종원씨가 대사를 하지 않고 음식만 보여주는 장면에서는 주변 배경소음이 점점 커지다가 백종원씨가 대사를 치면 배경소음이 바로 잠잠해지는..



이런 식으로 액션캠 영상의 경우 문의 주신 것과 완벽히 동일한 현상을 자주 접하게 되는데요 그래서 유튜브 액션캠 영상 업로더들은 이와 같은 시행착오를 몇번쯤 겪고 나서 액션캠 영상에 배경음악(BGM)을 넣거나 별도의 오디오레코더를 사용해서 제작하는 거고요 액션캠을 처음 사용하는 초보분들이 유튜브 동영상 올린거 보면 대부분 배경소음이 점점 증가하는 문제가 잔뜩 있고요



사운드카드의 하드웨어 회로나 핀마이크에는 원치 않는 일정 볼륨 이하의 소리를 다 삭제시켜 버리는 기능은 제공되지 않으므로 외부 필터을 활용하는 방법이 유효할 수 있으니 참고하여 주시고요 나중에 방법을 터득하시면 아주 깨끗한 녹음결과물을 만드실 수 있을 겁니다.



마지막으로 마이크녹음시 팁 하나 알려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골드웨이브 녹음 설정에서 Level activated에 체크하고 값을 지정하면 원치 않는 일정 볼륨 이하의 소리는 녹음이 되지 않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goldwave03.jpg



첨부
profile

쥬러머

2018.06.05 12:44

긴 답변 우선 감사드립니다.

하지만 깨끗한 녹음을 원한다면 따로 골드웨이브를 받아서 사용하진 않겠죠..

이미 사용하는 DAW와 홈레코딩 장비가 있으니까요.

문제가 되는건 간이녹음과 게임등 녹화시 입니다.

그리고 말씀드렸다싶이 마이크 거리와 수음방향 마이크 구멍을 막으면서까지 이것이 팬소음인지 아닌지 몇번 녹화하며 실험을 했습니다.

당연히 결과는 아니였구요. 저도 그정도는 구분합니다 귀가 민감한 편이라.

팬소리가 안난다는게 아니고 아예 그것과 소리가 다릅니다.

고주파소리는 그냥 입력볼륨을 낮추고 쓰려는데

이놈은 웅~하는 소리가 계속저음대역에 깔려서

신경을 안 쓸 수가 없어요.


그리고 골드웨이브서 실험하실때 컴퓨터를 갈구면서 해보셨나요?

저역시 바탕화면이나 간단한 프로그램 몇가지 구동하면서 녹음하면 그 노이즈가 발생하지 않습니다.

profile

service

2018.06.05 13:10




https://www.clien.net/service/board/kin/10056165


위 링크의 경우처럼 아직 해결을 못 찾으신 것 같네요 ^^ 증상은 완전히 똑같은데 말이죠


혹시 모르니 네이버지식검색에 올려 보세요. 음향엔지니어가 보고 해결방법을 알려 줄지도 모르니까요


저희 주변에 녹음이나 믹싱 관련 음향업계 종사자 분이 계시면 물어라도 볼텐데 아쉽게도 음향엔지니어는 아는 분이 없어서요.. 도움을 드리기 어려울것 같습니다.


혹시 나중에라도 해결방법을 찾게 되면 알려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profile

service

2018.06.05 13:27



찾았습니다!! 잘 해결되길 바랍니다 ^^


https://www.youtube.com/watch?v=1giE11NUFy0



profile

쥬러머

2018.06.05 22:12

감사합니다. 이전에 해보았던 방법이지만.. 

그리고 오늘 오후 10시경 영상하나 메일로 보냈습니다.

기본 내장사카인 PC 후면에 mic(atm520p)을 꼽으니.

이전에 발생했던 고주파수 노이즈와 화이트노이즈만 발생하고.

웅웅 거리는 벌소리같은 노이즈는 증폭시키고 녹음해도 들리지 않네요.

즉 저음역 노이즈는 Prodigy Cube 제품에 입력시 발생하는것을 확인했습니다.

직전에 보낸 영상도 안보셨던데 꼭 보시고 직접 귀로 비교해주세요.

내장사카는 화이트노이즈 CUBE는 벌소리노이즈

진퇴양난이네요.


ff.png



첨부
profile

오디오트랙

2018.06.07 10:15


시스템 사용률에 따라서 마이크 녹음시 벌소리 같은 게 증가한다면 원인은 전원과 관련된 것이 거의 확실한데요 유튜버는 잘 해결되었다는데 안 된다니 이상하네요 ^^


남들은 잘 해결되는 문제가 내 컴퓨터에서는 동일한 방법으로 해결이 안 된다면 남들과 다른 뭔가 알 수 없는 원인이 추가적으로 있을 수 있는데요 PC방이라도 좋고 친구집에서 확인해 보시는 방법도 있으니 일단 다른 컴퓨터에서 재현이 되는지 꼭 확인해 보셔서 남들과 다른 원인을 꼭 찾으시기 바랍니다.


구글 검색하면 그런 분들이 몇 분 나오기는 하지만 오디오트랙 사용자중에서는 지금까지 보고된 사례가 없었고요, 프로디지 CUBE와 핀마이크를 사용해서 벌소리가 나오는지 재현시켜 보려고 해도 도저히 재현이 안 되네요 ^^ 뭔가 특별한 방법이 따로 있는 건지.. 어떻게 하면 그런 현상이 나타나는지 방법이라도 자세히 알면 한번 시도해 보겠는데요. 만일 다른 컴퓨터에서도 똑같이 100% 확률로 재현이 가능할 경우 서비스센터에 방문 가능하시면 서비스센터로 직접 오셔서 재현을 시켜주시는 것이 가장 좋을 것 같습니다.


그리고 네이버 지식인에도 올려 보셔서 해결방법을 꼭 찾아 보시기 바랍니다.

(혹시라도 해결 방법을 찾게 되면 공유 부탁 드립니다 ^^)


참고로, 윈도우 10 기준으로 소리 - 녹음 장치 - 수준 탭에서 라인입력 인풋게인 63 = 100(입력에 대해 1:1)이고요, 인풋게인을 63 이상으로 올리게 되면 소프트웨어 증폭모드가 적용됩니다. 즉 프로디지 CUBE의 경우 고음질 마이크 녹음을 위한 하드웨어 증폭 회로가 기본적으로 채용되어 있으므로 수준 탭에서 라인입력 인풋게인 최적값은 63(프로디지 CUBE 처음 설치시 기본값)입니다. 그리고 라인입력 인풋게인 63 이상에서는 하드웨어 증폭 + 인풋게인 값을 추가적으로 증가시킨 만큼 소프트웨어 증폭까지 더해져서 이중증폭이 적용되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메인보드 내장사운드의 경우 하드웨어증폭 회로 같은 건 없고요.


다른 USB 포트에 설치된 장치로 인해 마이크 녹음에 영향을 끼칠 수도 있으니 다른 USB 장치는 모두 제거하고 USB 오디오만 연결해서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USB 포트에 따라서도 다를 수 있으니 문제가 없는 USB 포트를 찾아 보시고요. 경우에 따라서는 메인보드 내장 USB 컨트롤러의 문제일 수도 있으니 NEC 칩셋 PCIe USB 컨트롤러를 사용하는 방법 또는 유전원 USB 허브를 사용하는 방법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profile

쥬러머

2018.06.07 14:56

또 동영상은 확인도 하지 않으시고

무조건 제 pc가 문제라고만 얘기하고 계시네요. 네 물론 그럴 수 있죠.

그런데 보세요.

같은상황 같은소켓에 TASCAM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사용할경우 그 소리가 나지 않습니다.

아예 노이즈가 없다고 할순 없지만 귀 터질만큼 볼륨을 올려야 노이즈가 겨우 들립니다. 똑같이 pc를 갈구는 상황에서요.

제가 프로디지 큐브를 샀던 이유를 기억하세요?

마이크 고주파 노이즈때문에 고생하고있을때 제가 사용하는 usb 오카들을 조잡한 저가형 취급하셨죠.

그래서 추천해주신 두가지 모델중 큐브를 믿고 산건데

타스캠에서 들리지 않는 노이즈가 큐브에서 들린다면 조잡한 저가형 usb 오디오카드와 다른게 무엇인가요?

중간에서 컷을 하거나 확 죽여줘야할 노이즈 신호를 cube가 못해내고 있다는 증거 아닌가요? 오히려 증폭만 시키고

타스캠 us- 322가 딱히 좋은 모델도 아니구요.

제가 CUBE를 사서 덕을본건 딱 한가지. 내장사카에 물리면 나오던 화이트노이즈가 사라진거.

이거 딱 하나입니다. 나머지 노이즈는 pc까지 바꾼 상태에서도 못잡아주고 있죠.


계속 테스트를 해보셨다고 하는데 세상에 얼마나 많은 pc들이 있고, 그분들이 다 완벽하게 사용한다고 확신하실 수 있나요?

대부분 노이즈를 무시하거나 못느껴서 사례가 덜 발견된 것 뿐이겠지요. 제 주변 지인들만 봐도 그러니까요.

제가 일반 사용자들에 비해 민감한건 압니다. 이 제품은 민감하지 않은 사람들을 위한 제품인가요?

테스트 환경이 대체 얼마나 많은 경우의 컴퓨터들과 상황이 있는지 저로썬 알 수 없지만.

제대로 테스트를 해보고 싶으시다면 제 스펙을 다 말씀드리겠습니다.

Asrock z370 extream4

i5-8600k (47배)

삼성 ddr4 8+8램 (3200)

gtx1080

삼성ssd(120G)+삼성ssd(240G)+시게이트hd(2TB)


또 다른 말씀만 하실까봐 다시 한번더 강조하는데

같은 USB외장오디오카드 TASCAM US-322에서는 들리지 않는 노이즈가 PRODIGY CUBE에서는 발생합니다.

profile

service

2018.06.07 16:55



그럼 원격지원으로 도와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


https://audiotrack.co.kr/kr/remote



참고로 CPU 오버클럭은 노이즈 발생의 중요원인이 될 수 있으니 원격요청시 오버클럭을 풀어 놓은 상태에서 전화 주시면 됩니다.



profile

쥬러머

2018.06.07 17:22

역시 오버클럭에 태클을 거실거같아서 마지막 문단을 강조한겁니다..

다른 오디오인터페이스는 오버클럭해도 노이즈가 안들려요.

오버클럭을 안할거면 더비싼 오버보드며 k시리즈를 사지 않았겠지요.

만약 오버클럭 문제라 생각되시면 항상 강조하시던 테스트를

비슷한 환경으로 맞춰주시고 해보는게 맞지 않을까요.

오버클럭 환경에 대한 대응책을 마련해주시는게 맞다고 생각되구요.



profile

service

2018.06.08 17:39



https://dvdprime.com/g2/bbs/board.php?bo_table=comm&wr_id=7106249

오버클럭시 문제가 없는 분들도 있지만 잡음이나 시스템 불안정 등의 원인이 되기도 하니 참고하여 주시고요. 프로디지 CUBE에 채용된 USB Audio 컨트롤러와 클럭제너레이터의 경우 사용하시는 다른 오디오인터페이스와 동일한 것이 아니기 때문에 같은 환경에서도 다른 결과가 나올 수 있는 점 참고 바랍니다. 그리고 프로디지 CUBE에 채용된 TENOR TE7022L 컨트롤러는 Asynchrosnous 방식이 아니기 때문에 시스템 환경에 따라 오버클럭 셋팅이 미묘하게 잘 안 맞게 되면 주파수 간섭의 영향을 받을 수도 있는데요(참고로 프로디지 CUBE에 채용된 TENOR TE7022L 컨트롤러의 클럭제너레이터는 12MHz) 따라서 오버클럭시 잡음이 발생되는 환경에서는 일단 기본클럭으로 문제가 없는지 확인해 보실 필요가 있습니다. 만일 기본클럭에서도 벌소리가 나온다면 배그 등으로 시스템을 갈궜을때만 그런 현상이 있는 것으로 볼 때 고사양 그래픽카드에서 풀로드시 주로 발생하는 고주파노이즈와도 관련이 있을 수 있고요.

https://quasarzone.co.kr/bbs/board.php?bo_table=qf_vga&wr_id=106086
http://www.hwbattle.com/bbs/board.php?bo_table=vga&wr_id=152156
http://www.bodnara.co.kr/bbs/article.html?num=124507

그리고 사용하시는 시스템 사양과 완전히 동일하지는 않지만 얼추 비슷한 게이밍PC 환경에서 테스트 가능합니다 ^^

ASUS Z97 Pro Gamer 메인보드에 CPU는 Intel Core i7-4790K (Haswell), up to 4.40 GHz Turbo Boost, Unlocked Multiplier, 그래픽카드는 GTX 980Ti(고주파노이즈 당연히 있음 ㅋ), 16기가 램, 그리고 파워서플라이는 1000와트 사양이고요 2015년에 4k 게이밍을 위해 만들어 본 시스템인데요 4k(3840 x 2160p) 해상도 풀옵에서는 좀 버벅거리는 감이 없지 않아 있지만 게임내 그래픽 옵션에서 약간만 타협하면 위쳐3, 라이즈 오브 툼레이더, 배틀필드나 배그 같은 건 뭐 그런대로 무난하게 잘 돌아가는 사양입니다. 참고로 인텔 내장 USB 컨트롤러의 결함으로 USB HDTV 수신카드 사용시 TV 화면이 뚝뚝 끊기는 매우 심각한 증상이 있어 NEC 칩셋 PCIe to USB 3.0 컨트롤러를 추가 장착해서 사용중인데요, 이 부분은 잘 아시겠지만 인텔 칩셋 메인보드의 경우 USB 스트리밍에 주로 이용되는 ITM 모드의 치명적인 이슈가 확인되었으나 해결되지 않는 부분이라 NEC 칩셋 컨트롤러가 가장 완벽하고 훌륭한 대안이 될 수 있기 때문에 NEC 칩셋 PCIe to USB 3.0 컨트롤러를 추가 장착해서 사용하는 것이고요.

그런데 말입니다 처음 질문글에 "프로디지 큐브에 내장된 자동증폭 기능인거같은데 이 기능을 off할수 없나요?" 라고 적어주셨잖아요? 하지만 프로디지 큐브에 잡음을 자동으로 증폭하거나 하는 그런 기능은 없거든요. 잡음이 자동으로 증폭되는 기능을 끌 수 없냐고 질문을 주셔서요 이건 저희가 어떻게 해 드릴 수 있는 그런 문제가 아니라서요. 그리고 만일 프로디지 CUBE에 채용된 마이크 증폭 회로가 말씀하신 벌소리의 원인이 된다고 가정을 하더라도 마이크 증폭 회로를 강제로 사용하지 않게 하는 것은 불가능하고요. 마이크 입력 단자와 코덱칩 사이의 중간에 마이크 증폭 기능을 수행하는 하드웨어 회로가 적용되어 있는 것이기 때문에 마이크 증폭을 하는 하드웨어 회로를 전기인두로 막 간단히 뜯어 낼 수 있는 그런 구조는 아니라서요..

참고로 프로디지 CUBE는 2008년에 출시되어 현재까지 10년 넘게 장수판매중인 웰메이드 굳퀄리티 제품인데요, 국내판매 보다 해외판매 비중이 더 높아서 유럽 일본 대만 등의 해외판매채널을 통해 전세계로 꾸준히 판매중이며 해가 지날수록 판매가 확대되어 생산수량도 점차 지속적으로 늘고 있는 추세지만 지금까지 10년 넘게 해외문의나 국내문의 접수된 건 중에서 벌소리가 들린다는 경우는 첨이고요;; 암튼 각설하고 어쨌든간에 사용하시는 컴퓨터 사양과 최대한 얼추 비슷한 셋팅의 '게이밍 PC 환경'에서 기본클럭으로 게임을 돌려보고 요청하신 오버클럭 셋팅으로도 게임을 돌렸을 때 말씀하신 벌소리가 똑같이 재현이 되는지 테스트 해 보고 다시 답변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


profile

쥬러머

2018.06.09 00:01

제목을 바꾸지 않았을뿐 이젠 다른 문제를 주제로 삼고있는데 굳이 제목에 대한 말씀을..수정했어야 하나요.

그리고 링크걸어주신 글들은 말씀하신데로 그래픽카드 풀로드시 고주파가 잦던 하드웨어를 말하는 것인데 제 하드웨어에서는 소리가 나지 않습니다. 패스하고


또 방금 CPU//Ram 오버클럭과 전압을 모두 초기화시킨후 실험을 해보았으나

증상은 동일 즉 오버클럭에 의한 노이즈는 아닌게 확실합니다.

오버를 하기전 후 노이즈가 아예 동일합니다.

CPU-Z 로 일일히 초기화됐나 확인하고 HW 모니터로 온도가 확 다운된거까지 확인하며 실험했고

동영상을 보내도 읽지 않으실거 같아서 기록은 안했습니다.


그리고 너무 CUBE는 문제가 없었다 최고다 강조하시는건

이제 그만해주셨으면 좋겠습니다. 충분히 알아들었고.

고객지원 상담해주시는 입장에서 당연히 커버를 계속 쳐주셔야하는건 알지만

제가 표현한게 '벌소리'일 뿐이지 어찌 이런종류의 노이즈가 전세계 단한건도 없었다 확신하시나요.

유튜브만봐도 노이즈는 개판인데 그냥 업로드 하거나 BGM으로 가리는 유튜버들도 많고, 이정도 노이즈를 잘 캐치 못하거나 볼륨을 확줄이고 얼추 이정도면 됐다 싶어서 사용하는 사람도 많을것이고

대부분 저와는 pc환경과 cube의 사용용도도 다를것이며 노이즈사운드도 차이가 있을 수 있는데.

또한 유튜브에 cube 사용기나 실사중인 스트리머도 다른 오인페에 비해 찾기 힘들지요. 왜일까요?

저도 집에오면 이 문제에만 신경쓸만큼 해결하고싶어서 별짓을 다하고있는데

써주시는 답변을 읽을때마다 화가나고 저도 공격적으로 자꾸 글을 썼다 지웠다 하게됩니다.

남은건 USB 전원공급과 Cube간의 문제가 아닐까 생각되는데.

다른 오디오카드에서는 거의 안들리는 수준으로 작고 cube에선 거슬릴정도로 매우 크게 노이즈가 잡히니 어떤 이유에서건 이건 분명히 문제가 있는 사항 아닌가요?

제가 만약 상담원분처럼 얼추 비슷하다고 말씀하신 테스트 환경을 꼬투리잡고 보드와 cpu세대부터 일일히 제것과 비교하면서 집고 하나하나씩 설명하면 어이없고 기분 나쁘시잖아요.. 요점이 그게 아니니까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공지 당사의 고품질 DAC인 DR.DAC3의 할인이벤트(25%) 안내. AUDIOTRAK 2023-08-11 407
공지 A/S 택배접수 배송주소 변경 안내 공지 service 2022-05-12 412
공지 고객지원 업무축소에 따른 이용 안내 AUDIOTRAK 2023-04-07 328
공지 [ 프로디지 CUBE2 ] EEPROM 데이터가 지워져서 USB 오디오 장... service 2022-05-26 480
공지 USB 대역폭 초과 메시지가 뜨면서 작동이 멈추는 경우 해결방법... service 2020-12-04 14915
공지 ATM-520P 4극 COMBO 핀마이크를 3.5단자가 없는 스마트폰에서 ... service 2020-11-13 14064
공지 MAYA 5.1 PCIe 사운드카드가 설치되지 않을 경우 해결 방법 !! service 2020-10-23 14437
공지 스테레오 믹스 설정입니다 ^^ service 2020-09-22 15963
공지 광출력 사용시 패스쓰루 설정 방법 file service 2020-07-29 16449
공지 MAYA U5 마이크 녹음시 필독 사항 !! file service 2020-07-09 15109
공지 노트북 3.5단자에 마이크 연결시 작동이 안 될 경우 해결 방법 !! service 2020-04-27 27504
공지 MAYA U5 스테레오 믹스 방송시 소소한 팁 file service 2020-01-07 14790
공지 윈도우 10 최신빌드 호환성 테스트 file service 2020-01-06 15934
공지 윈도우 10 넷플릭스 앱 사용시 설정 방법 (스피커출력/광출력) file service 2019-01-23 34896
공지 스마트폰에서 외장 핀마이크 사용에 대해 알려 드립니다!! file service 2018-01-31 23279
공지 PCI-Express to PCI 컨버터 호환 테스트 file + 1 오디오트랙 2014-06-26 40384
공지 USB 3.0 포트와 USB 오디오기기 호환성(14.01.22 Dr.DAC3 호환... + 10 오디오트랙 2014-01-17 48835
35518 마야 u5 마이크 단자 사용시 고주파음이 들립니다 + 1 한스미 2018-07-02 332
35517 prodigy 7.1 xt 롬복구 요청 + 1 백송당 2018-07-02 245
35516 드라이버 설치 질문 드립니다. + 1 Coica 2018-07-02 301
35515 마야U5 스테레오 믹스 현재 사용할 수 없음 ?? + 1 작전동참치 2018-07-01 826
35514 배틀그라운드 사용중 사운드 먹통이 되는 문제 secret + 1 루시 2018-07-01 5
35513 프로디지 큐브 a/s 이후 발생된 문제점 + 3 상이 2018-06-28 208
35512 프로디지 큐브 블랙에디션 opamp 질문입니다. + 2 미키민 2018-06-18 367
35511 프로디지 큐브랑 리시버연결 + 4 겨울활화산 2018-06-18 281
35510 프로디지 hd2 op 질문있어요 + 2 두부형님 2018-06-15 224
35509 마야 U5 노이즈 심함, 해결방법 file + 2 작전동참치 2018-06-15 856
35508 답변 잘 보았습니다. + 2 금귀 2018-06-14 225
35507 마야u5 5.1채널 소리크기 + 2 금귀 2018-06-13 398
35506 마야u5 로 5.1채널 소리를 듣고싶습니다. + 3 금귀 2018-06-08 922
35505 a/s 신청은 어떻게 하나요? + 1 정대명 2018-06-06 155
» 프로디지 큐브 잡음 자동증폭문제 + 15 쥬러머 2018-06-04 860
35503 프로디지 큐브에 opamp교체요 OPA128lm장착될까요 + 1 아이스 2018-06-03 263
35502 마야 U5 주기적 삐이 소리. file + 7 홍길동 2018-06-01 713
35501 a/s 관련 문의 드립니다. + 2 정대명 2018-05-31 186
35500 프로디지 큐브에 opamp요 OPA637BP장착될까요 + 1 아이스 2018-05-28 545
35499 오디오트랙 ATM-520P 3극 인식 불량으로 문의드려요 secret + 1 이승 2018-05-28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