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
2017-Apr
Intel Z170 USB 2.0 포트와 DR.DAC3를 연결해도 재생이 멈추는 경우가 있네요작성자: feynman 조회 수: 179
제품명 : | DR.DAC3 |
---|---|
OS 및 서비스팩 버전 : | Windows 10 RS1 64bit |
드라이버 버전 : | 6.0.1.2 |
메인보드/노트북 모델명 : | ASUS SABERTOOTH Z170 MARK 1 |
인터페이스 : | USB 2.0 |
시리얼 넘버 : | ATAAE13K00129 |
그렇군요. USB 2.0포트라고 재생 멈춤 문제가 생기지 않는 건 아니군요.
그러면, 아래와 같은 문의를 추가로 드리겠습니다.
현재, 제 PC 메인보드에서 외부로 나와 있는 USB 2.0 포트는 4개인데요.
PC 스피커 전원공급용, Logitech USB 마우스, 타사(Creative社) 외장 사운드카드 그리고 DR.DAC3를 물리고 있습니다.
이 중, 타사 외장 사운드카드와 PC 스피커를 제거하고 foobar2000에서 DR.DAC3를 통해 음악 재생을 시도할 시 간헐적인 멈춤 현상은 드문 편이긴 하지만 발생했습니다. (이는 이미 오래 전부터 겪은 현상입니다.)
제가 이해가 되지 않는 건 동일하게 USB 2.0 포트에 물리고 있는 타사 외장 사운드카드인 Creative사의 제품은 (모델은 Sound BlasterX G5입니다) DR.DAC3를 함께 물리고도 동일하게 foobar2000에서의 음악 재생시 멈춤현상이 단 한 번도 발생하지 않았다는 겁니다. 물론, 그럼에도 불구하고 음악 재생에서 귀사의 DAC를 사용하는 건 그만큼 DR.DAC3의 우수함을 저도 인정하기 때문이지만, 단 한 가지 간헐적인 멈춤 현상은 여전히 거슬립니다.
둘째, 현재 저는 USB 3.0 확장카드로 PCIe x1타입인 River Network사의 NEXI NX311 USB3.0이란 모델을 메인보드의 PCIe x1 슬롯에 추가로 장착해서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 모델에 장착된 칩셋이 바로 조언해 주신 NEC 칩셋인데요. (칩셋의 구체적인 버전은 PD720201입니다)
모델에 장착되어 있는 USB 3.0 포트는 총 4개로 현재 2개의 포트는 외장 HDD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그 중 하나에 지금까지 foobar2000으로 재생한 음악파일들이 저장되어 있는 외장 HDD가 장착되어 있습니다.
제 두번째 문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혹시, 메인보드에 내장된 인텔 USB 2.0 포트말고 상기한 바와 같은 NEC 칩셋의 USB 3.0 포트에 DR.DAC3를 물리면 간헐적인 재생멈춤 현상의 개선에 혹시 도움이 될까요? 아니면 USB 2.0이 아니라 USB 3.0이라서 오히려 더 안 좋을까요?
그러면 조언 기다리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오디오트랙입니다.
USB 3.0에서 모든 USB 오디오 스트리밍 디바이스나 비디오 스트리밍 디바이스가 문제가 생기는 것은 아니고요, USB 3.0에서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도 있고 아닌 경우도 있는데, 실제로는 아닌 경우가 훨씬 더 많으므로 DR.DAC3의 경우도 문제 없이 정상적으로 잘 작동하는 메인보드가 훨씬 더 많지만, 지금까지의 보고된 사례에서 짐작할 수 있듯이 일부 Z97 시리즈 메인보드 및 170 메인보드의 Intel xHCI에서 나타나는 것으로 파악하고 있으며, 이전에 보고되었던 B85 칩셋이나 B81 칩셋 메인보드의 경우 Intel xHCI에서 발생한 블루스크린 이슈였는데요, 당시 용산 전자상가의 컴퓨터 조립 전문 업체분에게 제보를 받고 개발실 보고 후 펌웨어 업데이트로 쉽게 해결되었습니다.
USB 오디오 스트리밍 디바이스나 비디오 스트리밍 디바이스에서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는 대부분 전송 대역폭 관련 트러블이거나 USB 절전모드와 관련된 사례가 많은데요, 예를 들어 윈도우 10에서 컴퓨터 전원을 껏다가 다시 켰을 때 최종 설정된 윈도우 볼륨레벨이 초기값(보여지는 값은 정상인데 실질적인 청감상 볼륨은 55)으로 되는 경우는 아래 유저분께서 제보해 주신 방법으로 간단히 해결 가능합니다.
http://audiotrack.co.kr/kr/question/214128
또한 시스템 자원이 균등하게 배분되는 경우에는 문제가 발생할 확률이나 빈도가 훨씬 낮지만 메인보드의 PCI Express 슬롯과 SATA 포트 및 USB 포트를 거의 꽉 채워서 사용하는 헤비유저 분들이나 비트 토렌트 및 웹 다운로드 등으로 과도한 네트워크 트래픽이 발생되는 시스템, 그리고 다른 USB 장치가 DR.DAC3와 충돌을 야기하는 경우에 문제 발생 빈도를 높일 수 있는데요, 장치 관리자의 범용 직렬 버스 컨트롤러 항목에 보시면 Generic USB Hub가 2개 표시되며, 전원탭에 USB Composite Device - 0 mA로 표시되는 장치가 DR.DAC3로, 아래 스샷과 같이 다른 USB 장치는 목록에 표시되지 않고 DR.DAC3만 잡히도록 한다면 일단 다른 USB 장치와의 충돌은 피할 수 있습니다.
전원탭에 USB Composite Device - 0 mA로 표시되는 DR.DAC3와 다른 USB 장치가 목록에 함께 표시된다면 다른 USB 장치를 제거하고 '새로 고침' 누르면 됩니다. 그리고 다른 USB 장치는 포트를 옮긴 후 '새로 고침' 눌렀을 때 장치 관리자의 범용 직렬 버스 컨트롤러 항목에 표시되는 Generic USB Hub 2개 중에서 DR.DAC3가 연결되어 있지 않은 Generic USB Hub에 연결되게끔 USB 포트 배분을 적절히 해 주시면 됩니다.
이처럼 DR.DAC3의 오디오 스트리밍 처리에 할당되어야 할 USB 전송 대역폭을 다른 USB 주변기기와 동일 허브에 묶여서 발생하는 문제는 다른 USB 장치를 다른 포트로 옮겨서 꽂으면 쉽게 해결될 수 있는데요, 이와 달리 일부 Z97 시리즈 메인보드 및 170 메인보드의 Intel xHCI의 호환성과 관련하여 발생하는 이슈(소리 출력의 간헐적인 끊김이나 멈춤 현상)는 펌웨어(Release 8, Release 9) 업데이트로 해결이 안 될 경우 가장 호환성이 뛰어난 NEC 칩셋 컨트롤러를 사용하는 방법으로 간단히 해결될 수 있지만 NEC 칩셋 컨트롤러에도 각종 USB 장치를 주렁주렁 연결해 놓고 사용한다면 역시 충돌문제를 피할 수 없게 되므로 Intel xHCI에서 별다른 문제가 없는 USB 마우스나 USB 키보드, USB 메모리, USB 외장 HDD, USB 프린터 및 스캐너, 블루투스 USB 동글 등은 모두 메인보드의 USB 포트를 사용하도록 하시고 NEC 칩셋 컨트롤러에는 가급적 DR.DAC3만 연결해 놓고 사용하실 것을 권장 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오디오트랙입니다.
foobar2000 WASAPI 모드 재생시에만 그런 증상이 있는지 아니면 윈도우 공유모드 소리 출력시에도 동일한 문제가 발생하는지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윈도우 공유모드 소리 출력시에도 간헐적인 멈춤 현상이 동반된다면 다른 USB 장치와의 충돌 때문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PC USB 포트에 설치된 USB 메모리, USB 블루투스 리시버, USB 동글, USB 프린터, USB 스캐너, USB 외장 HDD 등의 다른 USB 장치가 USB 오디오 장치의 스트리밍 처리에 영향을 주어 소리 출력 끊김이나 USB 오디오 재생시 간헐적인 멈춤 등의 증상을 유발하는 경우도 있으니 마우스, 키보드를 제외한 다른 USB 장치를 모두 제거하고 확인해 보실 필요가 있는데요, 만일 사용중인 다른 USB 장치와의 충돌이 원인이 아니라면 사용하시는 메인보드에 내장된 인텔 USB 컨트롤러의 호환성으로 인해 USB 오디오 장치의 소리 출력에 문제가 발생하는 것으로 의심될 수 있는데요, 이런 경우에는 아래 링크의 답변 내용을 참조하셔서 NEC 칩셋 USB 컨트롤러를 사용해 보실 것을 적극 권장 드립니다.
http://audiotrack.co.kr/kr/question/204010
해외에서도 NEC 칩셋 USB 컨트롤러를 사용하여 메인보드 내장 인텔 USB 컨트롤러의 문제가 해결되는 사례가 굉장히 많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실제로 메인보드 내장 인텔 USB 컨트롤러의 문제인지 전혀 모르고 몇달 또는 몇년씩 고생하고 지속적인 스트레스를 받다가 저희가 알려 드린 방법 대로 NEC 칩셋 컨트롤러 설치 후 한방에 속시원하게 해결되는 사례가 꽤 많습니다.
참고로, 최근의 인텔칩셋 메인보드에서는 USB 3.0을 별도의 외부 서드파티 컨트롤러에 의존하지 않고 인텔 칩셋에서 네이티브로 USB 3.0을 지원하게 되었는데요, USB 3.0과 USB 2.0이 분리된 칩셋에서 개별적으로 처리되는 것이 아니라 인텔칩셋에서 통합적으로 관리되기 때문에 USB 3.0 포트에서 USB 오디오 스트리밍 장치의 문제가 있을 경우 USB 2.0 포트에 연결하더라도 문제가 해결되지는 않으며, 이런 경우 호환성이 가장 뛰어난 것으로 알려진 NEC 칩셋 USB 컨트롤러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최상의 해결 방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