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
2020-Aug
DAC과 오디오 인터페이스 연결작성자: 반야선 조회 수: 2052
제품명 : | DR. DAC3 |
---|---|
OS 및 서비스팩 버전 : | WIN10 |
안녕하세요,
아래 Q&A 로 도움받아 DAC을 잘 설치하였습니다. 도움 감사드립니다.
추가하여 문의 드립니다.
어쩌다보니 제가 오디오인터페이스(야마하 AG-06)라는걸 가지게 되었습니다.
들은 바로는 오디오인터페이스도 DAC기능이 있으므로
녹음이 필요하다든지 등의 상황에 따라 쓰라고 하시는데요.
1) 두 제품을 같이 연결해서 사용해도 되는지요?
2) 만약 연결해서 써도 된다면 어떻게 연결해야 하는지요?
3) 아니면 전혀 같이 연결할 필요가 없는 것인지요?
현재로서는 주로 음악 감상이 메인입니다.(향후에야 어떨런지 모르지만요)
감사합니다.
아~ 상세한 설명 감사합니다.
그러면 이렇게 이해해도 될까요?
"음악을 켜고 (예컨데 유튜브나 반주기 같은거)
+ 기타도 치면서(앰프기타)
+ 노래를 하는 소리를 녹음하고싶다면"
AG-06을 쓰면 된다.
그러면 음악을켤때 (예를 들어 노트북이라고 가정하고) 노트북과 DAC3를 USB케이블로 연결해준 다음
DAC3에서 바로 스피커로 보내지 말고 DAC 아날로그 OUTPUT과 AGO6 LINE02와 RCA로 연결해주고
+ MIC2에 기타 연결하고
+ MIC1에 마이크 연결해서
동시에 녹음하면
DAC3를 거친 반주기 음악+기타+마이크 소리가 한꺼번에 녹음되는식이네요?
만약 그게 맞다면 노트북=>DAC3=>스피커 조합처럼 좋은 소리를 듣다가
노트북음악=>DAC3=>AG06=>녹음 이런식이니까
음질을 많이 까먹겠네요.
아~ 제대로 이해한게 맞는지 ...ㅠㅠ
용도와 성격이 서로 상이한 두 제품을 연결하려고 하지 마시고요 ^^
DR.DAC3는 앰프&스피커, 헤드폰 등을 연결해서 고음질 음악감상용으로 사용하시고
AG-06은 보컬녹음이나 인터넷방송용으로 사용하시면 됩니다.
AG-06 사용법은 아래 링크 게시물 참조해 보시기 바랍니다.
https://m.blog.naver.com/kuwkdud/221527904381
https://ask.audio/articles/review-yamaha-ag06-6channel-mixer-usb-audio-interface
오인페(오디오 인터페이스) 사용과 관련하여 큐오넷 사이트에 질문글 올리면 전문가분들이 바로바로 답변 달아줍니다 ^^
http://www.cuonet.com/bbs/board.php?bo_table=qna2&wr_id=1313276
믹싱에는 두 가지 방식이 있는데요
1. 디지털 믹싱 --> 디지털 믹서, 최종 믹싱을 디지털 레벨에서 처리
2. 아날로그 믹싱 --> 아날로그 믹서에서 아날로그 신호를 믹싱
디지털 믹서의 경우 상당히 고가의 전문 장비로 분류되는데요
최근의 스튜디오 녹음실이나 방송국 등에서는 대부분 디지털 믹서 장비를 운용합니다.
요즘에는 고성능 디지털 믹서가 보편화 되어 있지만 예전에는 스튜디오 녹음실이나 방송국 등에서도 아날로그 믹서를 사용했습니다.
그런데 디지털 믹서든 아날로그 믹서든 '상급 장비'는 수천에서 억단위를 넘어가기 때문에 개인이 사용하는 경우는 드뭅니다.
아날로그 믹서의 경우 메인보드 내장사운드에도 들어가 있는데요
메인보드에 채용되는 코덱칩셋(AC' 97 코덱, HD Audio 코덱)에서 지원되는 '스테레오 믹스' 기능이 바로 아날로그 믹서에 해당합니다.
그리고 오디오트랙 제품 중에서 '스테레오 믹스' 기능을 지원하는 MAYA U5 사운드카드도 마찬가지로 '아날로그 믹서'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즉 일반 사용자 레벨에서 사용할 수 있는 가장 저렴한 형태의 아날로그 믹서가 바로 '스테레오 믹스'인데요
MAYA U5 사운드카드의 경우 외부 아날로그 입력(마이크 단자, 라인인 단자)으로 부터 입력된 아날로그 신호와 컴퓨터 내부에서 재생하는 사운드(윈도우 재생음)을 '스테레오 믹스' 녹음믹서에서 실시간으로 아날로그 믹싱하는 기능을 지원합니다.
'스테레오 믹스' 녹음 믹서를 사용해서 인터넷 방송(유튜브방송, 음악방송, 게임방송 등)을 하는 것의 기본 원리는 '내가 듣는 소리를 아날로그 녹음 믹서에서 상대방으로 송출하는 것'입니다.
'스테레오 믹스' 규격을 지원하는 하드웨어 코덱 칩셋(AC'97 코덱, HD Audio 코덱)의 내부에서 '아날로그 신호'를 믹싱하는 처리를 하는데요, '아날로그 신호'란 윈도우 재생음, 마이크, 라인인을 뜻합니다.
스테레오 믹서를 다른 말로 '아날로그 믹서' 또는 '들리는 소리'라고도 하는데요, 내가 듣는 소리(윈도우 재생음, 마이크, 라인인)를 코덱칩셋 내부에서 아날로그 믹싱하여 녹음하는 것을 '스테레오 믹스'라고 합니다.
- 스테레오 믹스의 활용 -
1. MR 사운드(윈도우 재생음)와 보컬(마이크) 입력을 동시에 녹음시
2. 유튜브방송, 아프리카TV방송, 윈앰방송(인터넷 음악방송), 게임방송 등 실시간 스트리밍 송출시
문의 주신 AG-06의 경우 가장 저렴한 형태의 입문급 오인페(오디오 인터페이스 = 아날로그 믹서)로 분류되는데요
AG-06에서 지원하는 '루프백' 기능이 바로 '스테레오 믹스' 기능을 대체합니다.
그런데 문의 주신 것과 같이 AG-06의 라인인 단자(CH 5/6)에 DR.DAC3의 아날로그 출력을 연결하여 믹싱을 하는 경우에는
DAC --> ADC 변환을 한 번 더 거치게 되므로 녹음 품질은 떨어질 수 밖에 없습니다.
왜냐하면 DAC에서 바로 스피커나 헤드폰으로 출력하는 고품질의 아날로그 신호는 사람의 귀에 들리는 것은 매우 높은 품질의 소리이지만
DAC에서 변환된 아날로그 신호를 다시 AG-06의 라인인 단자(CH 5/6)에 입력하게 되면
AG-06에 내장된 'ADC'에서 '디지털 신호로 변환'되고
AG-06애 내장된 'DAC'에서 다시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 후 아날로그 믹서에서 믹싱처리를 하는 단계를 거치기 때문에
DAC --> ADC --> DAC 단계가 여러 차례 반복되면서 음질열화가 발생할 수 밖에 없습니다.
고기도 얼리지 않은 생삽겹이 비싸고 맛도 좋지만, 얼렸다 녹였다 반복하면 육질도 떨어지고 맛도 없는 것과 비슷한 이치입니다.
즉 녹음작업시 음질열화를 최소한으로 하려면 DAC(디지털 -> 아날로그 변환)과 ADC(아날로그 -> 디지털 변환)를 최소화 해야 하는데요
디지털 믹서의 경우 최종 믹싱을 디지털 레벨에서 처리하기 때문에 높은 등급의 ADC 부품이 채용되고
스튜디오 녹음실이나 방송국, 공연장 등에서 사용하는 상급 아날로그 믹서에는 높은 등급의 ADC 부품과 DAC 부품이 채용되지만
저렴한 가격대의 입문급 아날로그 믹서에 채용되는 ADC 부품과 DAC 부품은 결코 높은 등급이 아니므로 퀄리티가 그닥 좋지 않습니다.
결론은 MR 사운드(윈도우 재생음)와 보컬(마이크) 입력을 동시에 녹음시에는 AG-06에서 지원하는 '루프백' 기능을 사용하는 것이 그나마 퀄리티가 나옵니다.
참고로 DR.DAC3의 RCA 라인아웃 신호를 아날로그 믹서의 라인인풋에 연결시 DR.DAC3의 아날로그 볼륨조절기를 3시 이상 올리면 클리핑이 동반될 수 있습니다.
DR.DAC3의 아날로그 볼륨조절기 3시 ~ 5시 구간은 600옴 헤드폰 사용시 필요한 오버게인 구간이므로 RCA 라인아웃 사용시에는 3시 방향이 맥시멈(바이패스)입니다.
따라서 DR.DAC3의 라인아웃(RCA)을 AG-06의 라인인 단자(CH 5/6)에 입력하여 녹음을 하려면 DR.DAC3의 아날로그 볼륨조절기를 3시 이상 올리지 마세요 ^^
문의 주신 야마하 AG-06은 녹음용 믹서 제품인데요,
DR.DAC3와는 용도가 다른 제품이므로 연결할 필요가 전혀 없습니다 ^^
그리고 AG06에는 디지털출력 단자가 없기 때문에 DR.DAC3와 연결할 방법도 없습니다.
http://prod.danawa.com/info/?pcode=3433026
외장 DAC = 고음질 음악감상용으로 설계된 음향기기. DR.DAC3의 경우 하이엔드 스펙의 고성능 부품을 채용하여 아날로그 출력단의 퀄리티 등급이 매우 높습니다.
오디오 인터페이스, 녹음용 믹서 = 아날로그 입력 녹음(마이크 녹음, 보컬 녹음, 라인인 녹음)용으로 설계된 음향기기.
※ AG-06은 입문급(엔트리 등급) 제품이므로 모니터링을 위해 내장된 DAC의 등급은 높지 않습니다.
AG-06의 핵심기능은 2개의 마이크 녹음 단자, 그리고 2개의 라인인 단자에 있는데요
즉 마이크 녹음 또는 라인인 녹음이 주목적이 아니라면 구입할 가치가 매우 희박하다고 보시면 됩니다.
MIC Input 1 : +48V 팬텀전원 콘덴서 마이크 연결용
MIC Input 2 : 다이내믹 마이크, 일렉기타 연결용
Line In 1 : 키보드(건반) 연결용
Line In 2 : CDP 등과 연결용
그리고 나머지 기능은 모니터링 및 컨트롤 용도라고 보시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