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
2021-Oct
CUBE 인식문제로 질문드립니다.작성자: 통크루즈 조회 수: 271
제품명 : | prodigy cube |
---|---|
OS 및 서비스팩 버전 : | 윈도우10 21H1 |
메인보드/노트북 모델명 : | 기가바이트 H97 |
안녕하세요.
오랫만에 큐브 사용해보려고 연결하니 소리 속성에서 SPDIF만 나오며 아날로그 출력이 안됩니다. (광출력 정상이구요)
USB3.0 인식문젠가 해서 XHCI 옵션도 꺼보고 2.0 포트에도 연결했으나 동일하며
다른 노트북에 연결시에도 동일한데 확인 부탁드립니다.
사진 첨부하려했으나 안되네요.
1. 소리-재생에 SPDIF인터페이스 (PRODIGY CUBE 24/96)만 뜨며
2. 장치관리자에서
사운드, 비디오 및 게임컨트롤러에서 PRODIGY CUBE 24/96
오디오 입력 및 출력에서는 SPDIF인터페이스 (PRODIGY CUBE 24/96) 과 라인(PRODIGY CUBE 24/96) 만 뜨고 있네요.
수고하세요~
네 RCA 단자 기준으로 음량의 최대 값은 프로디지 HD2 윈도우 볼륨 100 = 프로디지 CUBE 윈도우볼륨 100 + 아날로그 볼륨조절기 맥시멈에 해당합니다.
프로디지 HD2를 윈도우볼륨 100 설정으로 사용하였다면 프로디지 CUBE의 경우 윈도우볼륨100 그리고 아날로그 볼륨조절기는 5시까지 올려야 프로디지 HD2 윈도우볼륨 100과 동일한 음량이 됩니다.
프로디지 HD2 윈도우 10 사운드 제어판 재생 탭에는 '스피커'와 'SPDIF 인터페이스' 두 개의 장치명이 표시됩니다.
● 스피커 -> 아날로그 출력(RCA L, R / Headphone), 광출력(PCM Stereo)
● SPDIF 인터페이스 --> 아날로그 출력(RCA L, R / Headphone), 광출력(PCM Stereo / Dolby Digital / DTS Audio)
광출력시에는 소리 출력이 정상인데 아날로그 단자에서 소리가 안 나온다고 하셨는데요
전면 헤드폰 단자에서 소리가 안 나오나요?
후면 RCA L, R 단자에서 소리가 안 나오나요?
아니면 헤드폰과 스피커 출력 모두 안 나오나요?
일단 윈도우 10 소리 속성에 표시되는 장치명은 정상입니다 ^^
아마 마지막으로 사용했던 게 너무 오래돼서 기억의 혼동이 있으신 것 같은데요
프로디지 CUBE는 원래 윈도우 10 사운드 제어판 - 재생 탭에 'SPDIF 인터페이스' 장치만 표시되는 게 맞고요
그리고 윈도우 10 사운드 제어판 - 녹음 탭에 'SPDIF 인터페이스'와 '라인'만 표시되는 것도 당연히 정상입니다.
프로디지 CUBE를 오랜만에 다시 사용하려고 연결해보니 윈도우 10 사운드 제어판에 표시되는 장치명이 'Realtek High Definition Audio' 등의 다른 사운드장치와 약간 다르게 나오는 부분에서 당황하셔서 착오가 있으셨던 것 같은데요
프로디지 CUBE 시리즈는 'S/PDIF 인터페이스' 재생 장치에서 아날로그 출력과 광출력 기능을 동시에 수행합니다.
광출력시 소리가 잘 나오는데 아날로그 단자에서 소리가 안 나온다면?
--> 윈도우 10 사운드 제어판에서 소리 테스트 시 'S/PDIF 인터페이스' 출력 게이지가 정상적으로 움직이고 광출력시 소리가 잘 나오는데 아날로그 단자에서 소리 출력이 안 나온다면 스위치와 볼륨 조절기 등을 다시 조정해 보시기 바랍니다.
● 스위치가 눌러진 상태 --> 라인아웃 (RCA L, R 단자)
● 스위치가 돌출된 상태 --> 헤드폰(3.5 폰잭 / 6.35 폰잭)
※ 만일 아날로그 출력 전환 스위치 조작을 반대로 설정하면 해당 단자에서 소리 출력이 안 나옵니다.
아날로그 출력 전환 스위치의 조작을 정상적으로 했는데 아날로그 단자에서 소리가 전혀 안 나온다면?
--> 아날로그 출력 전환 스위치 또는 아날로그 볼륨조절기 부품의 고장일 수 있습니다.
스위치 고장 --> 좌우 한 쪽이 안 나오거나 지직 거리는 잡음이 나오거나 좌우 소리가 모두 안 나올 수 있습니다.
볼륨조절기 고장 --> 좌우 한 쪽이 안 나오거나 지직 거리는 잡음이 나오거나 좌우 소리가 모두 안 나올 수 있습니다.
아날로그 출력 전환 스위치와 아날로그 볼륨조절기 내부에는 전도성 구리스가 도포되어 있어 접점의 컨디션을 유지하는데요,
노후된 기계 부품은 내부의 전도성 구리스가 경화되어 정상적인 컨디션 상태를 유지하지 못 하고 오작동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전자부품과 기계부품은 특히 사용환경의 영향을 크게 받는데요,
온도가 너무 높거나 너무 낮은 장소 및 먼지와 습기가 많은 환경에 장시간 방치된 경우 산화, 부식 등으로 부품의 노후가 빠르게 진행될 수 있으며,
사용하지 않고 오랜 기간 방치된 제품의 경우 케이스 외부에 노출된 각종 단자와 커넥터 등에 흡착된 이물질로 인해 높은 빈도의 접촉 불량 증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해결 방법 -
사용하지 않고 오랫동안 방치된 상태라면 스피커 연결 RCA 케이블과 RCA 단자의 접촉 불량이 있을 수 있으니 RCA 단자를 깨끗하게 청소하고 케이블을 연결해 보세요.
케이블이 너무 오래되어 노후된 상태라면 버리고 새 케이블로 연결하세요.
그리고 3.5 이어폰은 6.35 폰잭에 변환젠더 같은 거 사용하지 마시고 3.5 폰잭에 이어폰을 직접 꽂아서 확인하세요.
구입한지 오래되어 케이스 외부에 노출된 부품의 노후가 진행된 상태라 RCA 단자가 뿌옇다면?
--> RCA 금도금 단자를 물티슈로 깨끗하게 닦은 후 마른 헝겊이나 극세사천 등으로 물기를 완전히 제거합니다.
너무 오래되어 극세사천 등으로 닦아도 RCA 단자가 여전히 더럽다면 매니큐어 지울 때 사용하는 아세톤을 구해서 닦아주면 됩니다.
방법 : 아세톤을 면봉에 적셔서 더러워진 RCA 단자를 뽀득뽀득 꼼꼼하게 잘 닦아줍니다. 단자에 흡착된 이물질로 뿌옇던 금도금 단자가 반짝반짝 거린다면 어느 정도 정상적인 컨디션 상태로 회복되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 아세톤은 약국에서 구할 수 있는데요, WD40 등의 접점 부활제 따위는 절대로 사용하지 마세요. 그리고 알콜도 사용하지 마세요.
문의 주신 내용 중 착오가 있으셨던 부분
--> 리얼텍(Realtek) 메인보드 내장사운드와 USB DAC 및 USB 사운드카드 등은 윈도우 10 사운드 제어판에 표시되는 장치명과 작동방식 등에 차이가 있으니 혼동하지 않도록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윈도우 10 사운드 제어판 - 재생 탭 ]
프로디지 CUBE 시리즈 & CUBE2 / DR.DAC2 & DR.DAC2 DX 시리즈 / DR.DAC3
● SPDIF 인터페이스 --> 아날로그 출력(RCA L, R / Headphone), 광출력(PCM Stereo / Dolby Digital / DTS Audio)
MAYA U5
● 스피커 -> 아날로그 출력(Front, Headphone, C/W, Rear), 광출력(PCM Stereo)
● SPDIF 인터페이스 --> 아날로그 출력(Front, Headphone), 광출력(PCM Stereo / Dolby Digital / DTS Audio)
[ 윈도우 10 사운드 제어판 - 녹음 탭 ]
프로디지 CUBE 시리즈
● SPDIF 인터페이스 --> 윈도우 재생음 무손실 녹음 기능
● 라인 --> 고음질 마이크 녹음 기능
프로디지 CUBE2
● SPDIF 인터페이스 --> 윈도우 재생음 무손실 녹음 기능
● 마이크 --> 고음질 마이크 녹음 기능
MAYA U5
● Microphone --> 아날로그 입력 마이크 녹음
● Line In --> 아날로그 입력 라인인 녹음
● Stereo Mix --> 윈도우 재생음 녹음 및 아날로그 입력과 윈도우 재생음을 믹싱(스테레오 믹스 녹음)
● SPDIF RX --> 광입력(PCM) 녹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