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
2021-Oct
마야u5 에서 큐브로 변경하려고 하는데요작성자: 깨비 조회 수: 294
제품명 : | MAYAU5 |
---|---|
OS 및 서비스팩 버전 : | 윈도우10 |
인터페이스 : | PCIe,USB 3.0 |
현재 돌비, dts를 지원하는 디코더가 있는 5.1채널 pc 스피커를 사용중인데 b450 메인보드에 옵티컬이 없어서 마야u5랑 디코더랑 옵티컬 케이블 연결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옵티컬단자가 있는 보드로 교체를 생각 중인데 옵티컬 출력은 사운드카드의 영향을 안받고 어떤 제품을 사용해도 똑같다고 해서 질문 드립니다.
1. 메인보드 내장된 옵티컬이랑 그래도 외장 사운드카드인 마야u5에 옵티컬 출력시 음질의 차이가 날까요?
2. 프로디지큐브에 옵티컬 연결해도 마야u5랑 동일하게 5.1 스피커에 돌비, dts로 출력이 되나요?
3. 게이밍할때 마야u5에 이어폰을 연결해서 즐기고 있는데 메인보드 내장 사운드카드에 연결할때 보다 소리의 차이가 있는지...그리고 마야u5보다
큐브에 연결할때 소리가 더 좋아 지는지 궁금합니다? :)
오디오트랙은 언제나 답변을 참 잘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어제 마야u5에서 큐브블랙에디션 으로 교체 했습니다. 광출력은 스펙의 차이가 있다고 하셨는데 어제 사용해보니 광출력은 사운드카드의 영향을 받지 않은거 같습니다. 일전에 고객센터 직원분께서도 광출력은 차이가 없다고 하셨고 제가 알아본 봐로도 그렇구요....
비교를 위해서 같은 영화를 광출력으로 5.1 스피커 재생시에도 사운드의 차이가 전혀 없었습니다. 음악은 아날로그 출력으로 이어폰으로만 듣는데 처음 들었을땐 차이를 잘 못느꼈는데 계속 들으니 마야u5보다 조금 더 좋아진거 같긴합니다~!
그리고 사운드 출력이 마야u5보다 작은데 기기특성 인가요? 큐브 사카에 볼륨 다이얼로 소리 최대로 키우고 마야u5는 컨트롤패널에서 소리 최대로 키운상태로 평소와 같이 팟플레이어로 음악을 재생시 큐브블랙 볼륨20% 설정해야 마야u5 볼륨15%랑 비슷합니다. 게임할때도 마찬 가지로 마야u5보다 소리가 작은데 큐브블랙은 마야u5처럼 컨트롤패널 프로그램이 없는건가요? 마야u5 제거하니 윈도우고정창에 컨트롤패널이 안뜨네요 ㅠㅠ
아날로그 5.1채널(Front, Rear, C/W) 출력을 지원하는 MAYA U5의 경우 컨트롤패널에서 '스테레오 확장' 기능을 사용할 수 있고요
프로디지 CUBE는 2채널 출력 제품이므로 컨트롤패널 따위는 전혀 필요 없습니다 ^^
MAYA U5에서 지원하는 '스테레오 확장' 기능이란?
: 2채널 사운드(음악, 유튜브 등) 재생시 아날로그 5.1채널(Front, Rear, C/W) 단자에서 소리가 나오게 하는 가상 서라운드 기능
MAYA U5 컨트롤패널에서 지원하는 스테레오 확장 기능은 디지털출력과는 전혀 무관한 기능으로, 아날로그 5.1채널 스피커 사용시 Front 채널의 출력을 Rear, C/W 채널로 복제출력하는 가상 서라운드 기능입니다.
MAYA U5에서 지원하는 '스테레오 확장' 기능은 언제 어떤 용도로 사용하면 되나요?
: 돌비 프로로직 기능을 지원하지 않는 저가형 아날로그 5.1채널 스피커를 사용하는 경우에 한해서 2채널 사운드(음악, 유튜브 등) 재생시 아날로그 5.1채널(Front, Rear, C/W) 단자에서 소리가 나오게 하고 싶을 때 컨트롤패널의 '스테레오 확장'에 체크하면 됩니다.
즉, 디지털 출력 사용시 컨트롤패널이 필요 없고요, 아날로그 2채널 출력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컨트롤패널은 필요가 없습니다
그럼 디지털 출력 사용시 볼륨 조절은 어떻게 하면 되나요?
: 디지털 출력 사용시에는 윈도우 볼륨으로 조절하면 됩니다 ^^
프로디지 CUBE 전면의 '아날로그 볼륨조절기'와 '아날로그 출력 선택 스위치'는 디지털 출력과 전혀 무관합니다.
아날로그 볼륨조절기
: 라인아웃(RCA L, R)과 헤드폰출력(3.5폰잭, 6.35폰잭)의 볼륨을 조절합니다.
아날로그 출력 선택 스위치
: 스피커출력(라인아웃 RCA L, R)과 헤드폰출력(3.5폰잭, 6.35폰잭)의 전환시 스위치를 눌러줍니다.
제품마다 디지털 출력 볼륨이 다른가요?
: 0dB의 기준값은 동일합니다.
윈도우 볼륨 100 = 0dB
즉 디지털 출력시 최대값은 0dB = 윈도우볼륨 100
MAYA U5 윈도우 볼륨 100 = 프로디지 CUBE 윈도우 볼륨 100
이전 보다 소리가 작다고 느껴지거나 또는 크다고 느껴진다면 이전 보다 윈도우 볼륨을 낮췄거나 높였거나 입니다.
따라서 디지털 출력 사용시 이전 보다 소리가 작게 느껴진다면 윈도우 볼륨 최대값 100으로 설정하면 되고, 이전 보다 소리가 크다고 느껴진다면 윈도우 볼륨을 줄이면 됩니다.
디지털 신호의 음질에 차이가 나는지 문의 주셨는데요,
USB 오디오기기와 DAC의 음질은 아날로그 출력단의 퀄리티에서 결정되며, 디지털에서는 '스펙'이라고 표현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디지털 신호는 '스펙'이 높고 낮음에 따라 등급을 나눌 수 있고, '음질'은 아날로그 신호의 퀄리티를 의미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예를 들어 오디오트랙 최상급 모델인 DR.DAC3의 경우 최대 지원스펙이 24bit 192kHz, 음질(아날로그 출력단의 성능 등급)은 129dB로 표기됩니다.
즉 디지털에서 음질이라는 개념은 '스펙'과 동일시 되는 경향이 있으며, 구형 메인보드(AC'97 코덱)와 비교할 경우에는 당연히 MAYA U5(HD Audio 코덱)가 더 높은 '스펙'을 가집니다.
구형 메인보드(16비트 코덱) <<< 넘사벽 <<< MAYA U5 (24비트 코덱)
- 제품별 스펙 비교 -
PRODIGY CUBE 시리즈 / DR.DAC2 & DR.DAC2 DX 시리즈
● SPDIF 인터페이스 --> 아날로그 출력(RCA L, R / Headphone), 광출력(PCM Stereo / Dolby Digital / DTS Audio)
● PCM Stereo : 44.1 / 48 / 96 kHz
PRODIGY CUBE2
● SPDIF 인터페이스 --> 아날로그 출력(RCA L, R / Headphone), 광출력(PCM Stereo / Dolby Digital / DTS Audio)
● PCM Stereo : 44.1 / 48 / 88.2 / 96 kHz
DR.DAC3
● SPDIF 인터페이스 --> 아날로그 출력(RCA L, R / Headphone), 광출력(PCM Stereo / Dolby Digital / DTS Audio)
● PCM Stereo : 44.1 / 48 / 88.2 / 96 / 176.4 / 192 kHz
MAYA U5
● 스피커 -> 아날로그 출력(Front, Headphone, C/W, Rear), 광출력(PCM Stereo)
● SPDIF 인터페이스 --> 아날로그 출력(Front, Headphone), 광출력(PCM Stereo / Dolby Digital / DTS Audio)
● PCM Stereo : 44.1 / 48 kHz